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PRIMUM INITIATIONIS CHRISTIANAE SACRAMENTA ARTICULUS 3 SACRAMENTUM EUCHARISTIAE
교회 교리서

Missa omnium saeculorum

모든 세기에 걸쳐 거행되어 온 미사

1345 A saeculo II, sancti Iustini martyris habemus testimonium circa lineamenta fundamentalia quibus eucharistica evolvitur celebratio. Haec ad nostros usque dies pro omnibus magnis liturgicis familiis permanserunt eadem. Ecce quid ipse circa annum 155 scribat ut imperatori pagano Antonino Pio (138-161) explicet id quod christiani peragunt:
1345 우리는 순교자 유스티노 성인의 증언으로 2세기 때부터의 개략적인 성찬례 거행 과정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우리 시대의 모든 전례 전통에까지 그대로 간직되어 있다. 다음은 155년경 유스티노 성인이 이교도 황제인 안토니누스(138-161년)에게 그리스도인들이 무엇을 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쓴 글이다.
“Ac Solis qui dicitur die omnium qui in urbibus aut agris degunt in eundem locum conventus fit.
일요일이라고 불리는 날, 도시나 마을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한곳에 모입니다.
Et commentaria Apostolorum aut scripta Prophetarum leguntur, quoad licet per tempus.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사도들의 기록과 예언자들의 글을 읽습니다.
Deinde, ubi lector desiit, is qui praeest oratione admonet et incitat ad haec praeclara imitanda.
독서가 끝나면, 모임을 주재하는 사람이 그 훌륭한 일들을 본받으라고 권하고 격려하는 말을 합니다.
Postea consurgimus communiter omnes et preces fundimus” “et pro nobis ipsis [...] et pro aliis ubique omnibus [...] ut rectam operibus vitam agentes et mandatorum observatores inveniamur, quo aeternam salutem adsequamur.
그다음에는 모두 함께 일어나 기도를 합니다.(175) 우리가 삶과 행동으로 의로운 사람이 되고 계명을 충실히 지키는 사람이 되어 영원한 구원을 얻도록, 우리 자신과……다른 사람들과, 또 그 어느 곳에 있는 사람이든지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기도하는 것입니다.
Invicem osculo salutamus ubi desiimus precari.
기도가 끝나면 우리는 서로 입맞춤을 합니다.
Deinde ei qui fratribus praeest panis affertur et poculum aquae et vini.
다음에 형제들의 모임을 주재하는 사람에게 빵과, 물과 포도주를 섞은 잔을 가져다줍니다.
Quibus ille acceptis laudem et gloriam Parenti universorum per nomen Filii et Spiritus Sancti sursum mittit et gratiarum actionem (graece:, \\\), pro eo quod nos his donis dignatus sit, prolixe exsequitur.
그 사람은 이것을 받아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우주의 아버지께 찬미와 영광을 드리고, 우리가 이 선물들을 받기에 합당한 사람으로 뽑힌 데 대하여 오랫동안 감사(그리스 말 eucharistia)를 드립니다.
Postquam preces et gratiarum actionem absolvit, omnis qui adest populus fauste acclamat dicens Amen.
그 사람이 기도와 감사를 드리고 나면 모든 참가자들은 “아멘.” 하고 환호성을 올립니다.
[...] Postquam vero is qui praeest gratiarum actionem absolvit et omnis populus fauste acclamavit, qui apud nos dicuntur diaconi panem et vinum et aquam "eucharistizata" (\\\) unicuique praesentium dant participanda et ad absentes perferunt”
모임을 주재하는 사람이 감사 기도를 드리고 회중이 응답하고 나면, 부제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모든 참석자들에게 ‘축성된’(eucharistethentos) 빵과 물 탄 포도주를 나누어 주고, 그곳에 오지 못한 사람들에게도 가져다줍니다.(176)
1346 Eucharistiae liturgia secundum structuram evolvitur fundamentalem quae per saecula usque ad nos conservata est. In duobus magnis explicatur cardinibus qui unitatem penitus efformant:
1346 성찬례는 오랜 세월을 통하여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온 기본 구조에 따라 진행된다. 이 전례는 기본적으로는 하나를 이루는 두 가지의 주요 부분으로 진행된다.
- congregatio, liturgia verbi, cum lectionibus, homilia et universali precatione;
- 모임과, 독서와 강론과 보편 지향 기도로 이루어지는 말씀 전례.
- liturgia eucharistica, cum panis et vini praesentatione, gratiarum actione consecratoria et communione.
- 빵과 포도주의 봉헌, 축성의 감사 기도, 영성체로 이루어지는 성찬 전례.
Liturgia verbi et liturgia eucharistica simul efficiunt “unum actum cultus” re vera, mensa pro nobis in Eucharistia praeparata simul est illa Verbi Dei et illa corporis Domini.
말씀 전례와 성찬 전례는 함께 “하나의 예배 행위를”(177) 이룬다. 실제로 성찬례에서 우리를 위하여 차려진 상은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식탁이며 동시에 주님의 몸을 받아 먹는 식탁이기 때문이다.(178)
1347 Nonne ibi ipse motus habetur convivii Paschalis Iesu resuscitati cum discipulis Suis- Iter peragens, Ipse eis Scripturas aperiebat, deinde ad mensam cum eis recumbens: “Accepit panem et benedixit ac fregit et porrigebat illis”(Lc 24,30).
1347 이것은 바로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당신의 제자들과 함께 하신 파스카 식사가 아닌가- 예수님께서는 길을 가시던 도중에 제자들에게 성경을 설명해 주셨으며, 그들과 함께 식탁에 앉으시어 “빵을 들고 찬미를 드리신 다음 그것을 떼어 그들에게 나누어 주셨다”(루카 24,30).(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