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PRIMUM INITIATIONIS CHRISTIANAE SACRAMENTA ARTICULUS 3 SACRAMENTUM EUCHARISTIAE
교회 교리서

Christi praesentia per Eius verbi et Spiritus Sancti virtutem

말씀과 성령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의 현존

1373 “Christus Iesus, qui mortuus est, immo qui suscitatus est, qui et est ad dexteram Dei, qui etiam interpellat pro nobis”(Rom 8,34), multipliciter est Ecclesiae Suae praesens: in verbo Suo, in Ecclesiae Suae oratione, “ubi enim sunt duo vel tres congregati in nomine meo, ibi sum in medio eorum”(Mt 18,20), in pauperibus, aegrotis, captivis, in sacramentis quorum Ipse est auctor, in Missae Sacrificio et in persona ministri. Sed “maxime [est praesens] sub speciebus eucharisticis”
1373 “돌아가셨다가 참으로 되살아나셔서 하느님 오른쪽에 앉아 우리를 위하여 간구해 주시는 그리스도 예수님”(로마 8,34)께서는 다양하게 교회에 현존하신다.(200) 그리스도께서는 당신 말씀 안에, 교회의 기도 안에,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마태 18,20)에, 가난한 사람들, 병자들, 감옥에 갇힌 사람들 안에,(201) 몸소 세우신 성사들 안에, 미사성제와 사제의 인격 안에 계신다. 그리고 “특별히 성체의 형상 안에 현존하신다.”(202)
1374 Modus praesentiae Christi sub speciebus eucharisticis est singularis. Is Eucharistiam super omnibus sacramentis elevat et propterea illa est “quasi consummatio spiritualis vitae, et omnium sacramentorum finis” In Sanctissimo Eucharistiae Sacramento continentur vere, realiter et substantialiter corpus et sanguis una cum anima et divinitate Domini nostri Iesu Christi ac proinde totus Christus. “Quae quidem praesentia "realis" dicitur non per exclusionem, quasi aliae "reales" non sint, sed per excellentiam, quia est substantialis, qua nimirum totus atque integer Christus, Deus et homo, fit praesens”
1374 성체의 형상 안에 그리스도께서 현존하시는 방식은 독특한 것이다. 그리스도께서는 성체성사를 모든 성사 위에 들어 높이시고 “영성 생활의 완성과 모든 성사가 지향하는 목적으로”(203) 삼으신다. 지극히 거룩한 성체성사 안에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혼과 천주성과 하나 된 몸과 피가, 따라서 온전한 그리스도께서 참으로, 실재적으로, 그리고 실체적으로 담겨 계신다.”(204) “이 현존이 ‘실재적’이라고 하는 것은, 마치 다른 현존 방식이 실재적이 아니라는 배타적인 의미가 아니라, 그 현존이 탁월하게 실체적이라는 의미이다. 분명코, 하느님이시며 인간이신 그리스도께서 전적으로 또 완전하게 현존하신다.”(205)
1375 In hoc sacramento, Christus fit praesens per conversionem panis et vini in corpus et sanguinem Christi. Patres Ecclesiae fidem Ecclesiae in verbi Christi et actionis Spiritus Sancti efficacitatem ad hanc conversionem peragendam asseveraverunt firmiter. Sic sanctus Ioannes Chrysostomus declarat:
1375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함으로써 그리스도께서 이 성사에 현존하시게 된다. 교부들은 이러한 변화를 이루는 그리스도의 말씀과 성령의 활동이 지니는 효력에 대한 교회의 믿음을 확고하게 단언하였다. 예컨대 요한 크리소스토모 성인은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Non enim homo est, qui facit ut proposita efficiantur corpus et sanguis Christi, sed Ipse Christus qui pro nobis crucifixus est. Figuram implens stat sacerdos verba illa proferens: virtus autem et gratia Dei est. Hoc est corpus meum, inquit. Hoc verbum transformat ea, quae proposita sunt”
봉헌물들을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게 하는 것은 인간이 아니라,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바로 그분이십니다. 그리스도의 대리자인 사제가 말을 하지만, 그 말의 효력과 은총은 하느님에게서 나옵니다. “이는 내 몸이다.” 하시는 그리스도의 말씀이 봉헌물들을 변화시킵니다.(206)
Et sanctus Ambrosius de hac conversione ait:
암브로시오 성인도 이 변화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Persuasi simus “non hoc esse, quod natura formavit, sed quod benedictio consecravit, maioremque vim esse benedictionis quam naturae, quia benedictione etiam natura ipsa mutatur” “Sermo ergo Christi, qui potuit ex nihilo facere, quod non erat, non potest ea, quae sunt, in id mutare, quod non erant- Non enim minus est novas rebus dare quam mutare naturas”
이는 자연적으로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축복으로 축성된 것임을 믿고, 축복을 통해서 본성까지도 변하므로 축성의 힘이 자연의 힘보다 크다는 것을 믿읍시다…….(207)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무에서 만드신 그리스도의 말씀인데, 그 말씀이 존재하는 것을 존재하지 않던 어떤 것으로 바꿀 수 없다고 하겠습니까- 사물에 처음으로 본성을 부여하는 것이 그 본성을 바꾸는 것보다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입니다.(208)
1376 Concilium Tridentinum fidem catholicam in synthesim redigit declarans: “Quoniam autem Christus Redemptor noster corpus Suum id, quod sub specie panis offerebat, vere esse dixit, ideo persuasum semper in Ecclesia Dei fuit, idque nunc denuo sancta haec Synodus declarat: per consecrationem panis et vini conversionem fieri totius substantiae panis in substantiam corporis Christi Domini nostri, et totius substantiae vini in substantiam sanguinis Eius. Quae conversio convenienter et proprie a sancta catholica Ecclesia transsubstantiatio est appellata”
1376 트리엔트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가톨릭 신앙을 요약하여 선포한다. “우리 구세주 그리스도께서 빵의 형상으로 내어 주시는 것은 참으로 당신의 몸이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에, 하느님의 교회는 항상 이러한 확신을 지녀 왔으며 본 공의회는 이를 다시금 선포하는 바이다. 빵과 포도주의 축성으로써 빵의 실체 전체가 우리 주 그리스도의 몸의 실체로, 포도주의 실체 전체가 그리스도의 피의 실체로 변화한다. 가톨릭 교회는 이러한 변화를 적절하고도 정확하게 실체 변화(transsubstantiatio)라고 불러 왔다.”(209)
1377 Praesentia eucharistica Christi a momento incipit consecrationis et perdurat dum species subsistunt eucharisticae. Christus est totus integer sub unaquaque specierum et totus integer in earum partibus, ita ut panis fractio Christum non dividat.
1377 그리스도께서는 성체가 축성되는 순간부터, 성체의 형상이 존속하는 동안 계속 그 안에 현존하신다. 그리스도께서는 성체의 두 가지 형상 안에 각각 온전히 현존하며, 또 그 각 부분에도 현존하시므로 빵을 나누어도 그리스도께서는 나뉘지 않으신다.(210)
1378 Eucharistiae cultus. In Missae liturgia, nostram fidem in praesentiam realem Christi sub panis et vini speciebus, exprimimus, inter alia, genua flectentes vel profunde in signum adorationis Domini nos inclinantes. “Hunc latriae cultum Eucharistiae sacramento praestandum, Catholica Ecclesia non solum intra, verum etiam extra Missarum sollemnia exhibuit et exhibet, consecratas Hostias quam diligentissime adservando, eas sollemni fidelium venerationi proponendo, in processionibus frequentissimi populi laetitia circumferendo”
1378 성체 공경. 우리는 미사 전례 중에 특히 무릎을 꿇거나, 주님에 대한 흠숭의 표시로 깊이 몸을 숙여 절함으로써, 빵과 포도주의 형상 안에 그리스도께서 실제로 현존하신다는 믿음을 표현한다. “가톨릭 교회는 성체성사에 바쳐야 할 이 흠숭 예절을 미사 중에는 물론이고 미사가 끝난 뒤에도 실천하여 왔다. 교회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축성된 제병(성체)을 아주 정성스럽게 보존하고, 장엄한 흠숭을 위하여 신자들에게 현시하며, 또 백성들의 기쁨에 찬 행렬 중에 함께 모심으로써 이 흠숭 예절을 실천한다.”(211)
1379 Sancta reservatio (tabernaculum) prius destinabatur ad Eucharistiam digne servandam ut aegrotis et absentibus posset extra Missam deferri. Ecclesia, per ulteriorem penetrationem in fidem de reali Christi praesentia in Eucharistia, effecta est conscia sensus silentiosae adorationis Christi sub speciebus eucharisticis praesentis. Hac de causa, tabernaculum collocari debet in loco ecclesiae peculiariter digno; sic construi debet ut veritas praesentiae realis Christi in Sanctissimo Sacramento efferatur et manifestetur.
1379 거룩한 안치소(감실)는 본래 미사에 참석하지 못한 사람들과 병자들에게 모시고 갈 성체를 품위 있게 보관하기 위한 것이었다. 성체 안에 그리스도께서 실제로 현존하신다는 신앙이 깊어짐에 따라, 교회는 성체 안에 계신 주님을 침묵 속에 경배하는 의미를 깨닫게 되었다. 그러므로 감실은 성당의 특별히 품위 있는 장소에 두어야 하며, 거룩한 성사 안에 그리스도께서 실제로 현존하신다는 진리를 강조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한다.
1380 Valde conveniens est, Christum, hoc modo singulari, Ecclesiae Suae praesentem manere voluisse. Quia Christus sub Sua forma visibili relicturus erat Suos, nobis Suam praesentiam volebat donare sacramentalem; quia Ipse Se in cruce oblaturus erat ut nos salvaret, volebat nos memoriale habere amoris quo Ipse nos “in finem dilexit”(Io 13,1), usque ad vitae Suae donum. Re vera, Ipse, in Sua praesentia eucharistica, in medio nostri modo manet arcano sicut Is qui nos dilexit et tradidit Semetipsum pro nobis, et quidem manet sub signis quae hunc amorem exprimunt et communicant:
1380 그리스도께서 이처럼 특별하게 당신 교회에 현존하기를 원하신 것은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한 일이다. 그리스도께서는 가시적인 형상으로는 당신 제자들을 떠나실 것이었으므로, 성사적으로 당신을 우리에게 주기를 원하셨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십자가 위에서 자신을 바치려고 하셨으므로, 당신의 목숨을 내어 주실 정도로 “끝까지 사랑하신”(요한 13,1) 그 사랑의 기념을 우리가 간직하기를 원하셨다. 과연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를 위해 자신을 내어 주신(212) 분으로서 성체성사 안에 현존하심으로써 우리 가운데 계속 신비롭게 머물러 계시며, 이러한 사랑을 표현하고 전해 주는 표징 안에 계신다.
“Ecclesiae quidem et mundo valde opus est eucharistico cultu. Praestolatur nos Iesus hoc in caritatis sacramento. Ne tempori nostro parcamus ut Eum conveniamus cum adoratione, cum contemplatione fidei plena et parata graves culpas et crimina mundi compensare. Adoratio nostra profecto numquam deficiat ”
교회와 세상은 마땅히 성체를 공경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사랑의 성사 안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흠숭 안에서, 신앙으로 충만하며, 중대한 잘못과 세상의 죄를 속죄하겠다는 열린 마음으로 드리는 묵상 안에서 예수님을 만나러 가는 시간을 거부하지 맙시다. 우리의 흠숭이 중단되어서는 결코 안 됩니다.(213)
1381 “Verum corpus Christi et verum sanguinem esse in hoc sacramento, ut ait sanctus Thomas, "non sensu deprehendi potest, sed sola fide, quae auctoritati divinae innititur. Unde super illud Lucae 22,19: Hoc est corpus meum quod pro vobis tradetur, dicit Cyrillus: Non dubites an hoc verum sit; sed potius suscipe verba Salvatoris in fide; cum enim sit veritas, non mentitur"”
1381 “토마스 성인은 그리스도의 참다운 몸과 그리스도의 참다운 피가 이 성사 안에 계시다는 것은 ‘오관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느님의 권위에 근거한 신앙으로써 알게 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치릴로 성인은 ‘이는 너희를 위하여 내어 주는 내 몸이다.’라는 루카 복음 22장 19절의 말씀을 해설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말이 참말인지를 의심하지 말고 차라리 신앙으로 주님의 말씀을 받아들이십시오. 진리이신 주님은 거짓말을 하지 않으시기 때문입니다.’”(214)
“Adoro Te devote, latens Deitas,
quae sub his figuris vere latitas;
Tibi se cor meum totum subicit
quia Te contemplans totum deficit.
엎디어 절하나이다. 눈으로 보아 알 수 없는 하느님,
두 가지 형상 안에 분명히 계시오나
우러러 뵈올수록 전혀 알 길 없삽기에
제 마음은 오직 믿을 뿐이옵니다.
Visus, tactus, gustus in Te fallitur,
sed auditu solo tute creditur;
credo quidquid dixit Dei Filius,
verbo veritatis nihil verius”
보고 맛보고 만져 봐도 알 길 없고
다만 들음으로써 믿음 든든해지오니
믿나이다, 천주 성자 말씀하신 모든 것을.
주님의 말씀보다 더 참된 진리 없나이다.(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