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SECUNDUM ARTICULUS 4 SACRAMENTUM POENITENTIAE ET RECONCILIATIONIS
교회 교리서

V. Multiplices poenitentiae formae in vita christiana

V. 그리스도인 생활의 다양한 참회 형태

1434 Christiani interior poenitentia expressiones valde diversas potest habere. Scriptura et Patres tribus praecipue insistunt formis: ieiunio, orationi, eleemosynae, quae conversionem exprimunt relate ad se ipsum, relate ad Deum et relate ad alios. Iuxta radicalem purificationem quam Baptismus vel martyrium operantur, ipsi afferunt, sicut media ad veniam peccatorum obtinendam, nisus peractos ad se cum proximo reconciliandum, poenitentiae lacrimas, curam pro salute proximi, intercessionem sanctorum et exercitium caritatis quae “operit multitudinem peccatorum”(1 Pe 4,8).
1434 그리스도인의 내적 참회는 매우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성경과 교부들은 그중에서 특히 단식, 기도, 자선의 세 가지 형태를 강조한다.(26) 이 셋은 각각 자신에 대한 회개, 하느님에 대한 회개, 다른 사람들에 대한 회개를 나타낸다. 성경과 교부들은 죄의 용서를 얻는 방법으로, 세례와 순교를 통한 근본적인 정화 외에, 이웃과 화해하려는 노력, 참회의 눈물, 이웃의 구원에 대한 관심,(27) 성인들의 전구, 그리고 “많은 죄를 덮어 주는”(1베드 4,8) 사랑의 실천 등을 들고 있다.
1435 Conversio in vita fit quotidiana per reconciliationis gestus, per curam de pauperibus, per exercitium et defensionem iustitiae et iuris, per defectuum confessionem ad fratres, correctionem fraternam, vitae revisionem, examen conscientiae, spiritualem directionem, dolorum acceptationem, patientiam in persecutione propter iustitiam. Tutissima via poenitentiae est propriam crucem quotidie sumere et Iesum sequi.
1435 일상생활에서 회개는 화해의 행위,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관심, 정의의 실천과 타인의 권리 옹호,(28) 형제들에게 잘못을 고백함, 형제적인 충고, 생활에 대한 반성, 양심 성찰, 영적 지도, 고통을 받아들임, 정의를 위해 박해를 견딤 등으로 실현된다.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르는 것이 가장 확실한 회개의 길이다.(29)
1436 Eucharistia et Poenitentia. Conversio et poenitentia quotidianae suum fontem suumque nutrimentum in Eucharistia inveniunt, quia in ea praesens fit Christi sacrificium quod nos cum Deo reconciliavit; per illam nutriuntur et roborantur illi qui ex Christi vivunt vita; ipsa est “antidotum, quo liberemur a culpis quotidianis et a peccatis mortalibus praeservemur”
1436 성체성사와 고해성사. 일상적인 회개와 참회는 성체성사가 그 원천이며 양식이다. 우리를 하느님과 화해시키신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가 성체성사 안에 현존하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사는 사람들은 성체로 양육되고 굳세어진다. 성체는 “날마다 짓는 죄로부터 우리를 구해 주고 죽을죄에서 보호해 주는 해독제이다.”(30)
1437 Sacrae Scripturae lectio, precatio liturgiae Horarum et orationis “Pater noster” quilibet sincerus actus cultus vel pietatis in nobis spiritum resuscitant conversionis et poenitentiae et ad nostrorum peccatorum conferunt remissionem.
1437 성경 읽기, 시간 전례와 주님의 기도, 모든 참된 예배와 신심 행위는 우리 마음에 회개와 참회의 정신을 되살려 주고, 죄의 용서를 받는 데 도움이 된다.
1438 Poenitentiae tempora et dies in anni liturgici decursu (tempus quadragesimae, unaquaeque feria sexta in mortis Domini memoriam) momenta sunt praeclara pro praxi poenitentiali Ecclesiae. Haec tempora sunt praesertim apta pro exercitiis spiritualibus, liturgiis poenitentialibus, peregrinationibus in poenitentiae signum, privationibus voluntariis sicut ieiunio et eleemosyna, fraterna participatione (operibus caritativis et missionalibus).
1438 전례력에서 참회의 날과 시기(사순 시기와 주님의 죽음을 기억하는 매주 금요일)는 교회가 참회를 특별히 실행하는 때이다.(31) 이 시기는 영성 수련, 참회 예절, 참회의 표시인 순례, 단식과 자선 같은 자발적인 절제, 형제적 나눔(자선 활동과 선교 활동) 등을 위하여 특히 적절한 때이다.
1439 Conversionis et poenitentiae motus a Iesu mirabiliter descriptus est in parabola quae “filii prodigi” appellatur, cuius centrum est “pater misericors” fallacis libertatis fascinatio, domus paternae derelictio; extrema miseria in qua filius versatur post sua fortunae dona dilapidata, profunda humiliatio illius qui se obligatum perspicit ad porcos pascendos et, quod peius est, ea cupiendi se siliquis nutriri quas porci manducabant; de bonis amissis meditatio; poenitentia et decisio se culpabilem coram patre declarandi suo; reditus via; generosa acceptio apud patrem; gaudium patris: ibi aliquot lineamenta habentur processus conversionis propria. Pulchra vestis, anulus et epulae festivae quaedam sunt symbola huius vitae novae, purae, dignae, laetitia plenae quae vita est hominis revertentis ad Deum et ad sinum familiae Eius, quae est Ecclesia. Solummodo Christi cor quod profunditates cognoscit amoris Patris Sui, potuit abyssum misericordiae Eius, modo ita simplicitate et pulchritudine pleno, nobis revelare.
1439 예수님께서는 ‘잃었던 아들’의 비유에서 회개와 참회의 과정을 잘 묘사하시는데, 이 비유의 중심인물은 ‘자비로운 아버지’이다.(32) 거짓 자유의 미혹, 아버지의 집을 떠남, 아들이 재산을 탕진한 다음에 빠진 극도의 비참, 돼지를 칠 수밖에 없게 된 수치, 더 나아가 돼지가 먹는 열매 꼬투리로라도 배를 채우려고 했던 주림, 재산을 탕진해 버린 데 대한 반성, 뉘우침과 아버지 앞에 가서 잘못을 고백하겠다는 결심, 집으로 돌아옴, 아버지의 너그러운 환영, 아버지의 기쁨 등, 이러한 것들이 회개하는 과정의 특징적인 모습들이다. 아름다운 옷과 가락지와 즐거운 잔치는 하느님과 교회라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 사람의 생명인 깨끗하고 품위 있고 기쁨 가득한 새 생활의 상징들이다. 당신 아버지의 사랑의 깊이를 아시는 그리스도의 마음만이 아버지의 끝없는 자비를 이렇게 소박하고도 아름답게 우리에게 알려 주실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