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SECUNDUM ARTICULUS 4 SACRAMENTUM POENITENTIAE ET RECONCILIATIONIS
교회 교리서

Contritio

통회

1451 Inter actus poenitentis, primum locum habet contritio. Ipsa “animi dolor ac detestatio est de peccato commisso, cum proposito non peccandi de cetero”
1451 참회하는 사람의 가장 중요한 행위는 통회(痛悔)이다. 통회는 “지은 죄에 대한 마음의 고통이며, 다시는 죄를 짓지 않겠다는 결심으로 그 죄를 미워하는 것이다.”(43)
1452 Contritio cum ex amore provenit Dei super omnia amati, “perfecta” appellatur (caritatis contritio). Talis contritio veniales remittit defectus; etiam veniam obtinet peccatorum mortalium, si firmum implicat propositum ad confessionem sacramentalem recurrendi quam primum possibile sit.
1452 하느님을 모든 것 위에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오는 통회를 ‘완전한’ 통회(사랑의 통회)라 한다. 이 통회는 소죄를 용서해 주며, 가능한 한 속히 고해성사를 받겠다는 굳은 결심이 포함된 경우 죽을죄도 용서받게 해 준다.(44)
1453 Contritio quae dicitur “imperfecta” (seu “attritio”, est, et ipsa, donum Dei, Spiritus Sancti impulsio. E consideratione oritur foeditatis peccati vel ex timore damnationis aeternae et aliarum poenarum quae peccatori minantur (contritio ex timore). Talis commotio conscientiae interiorem incipere potest evolutionem quae sub actione gratiae per absolutionem perficietur sacramentalem. Per se ipsam tamen contritio imperfecta veniam peccatorum gravium non obtinet, sed disponit ad eam obtinendam in Poenitentiae sacramento.
1453 ‘불완전한’ 통회(뉘우침)도 하느님의 선물이며 성령께서 일으켜 주시는 것이다. 이 통회는 죄의 추악함이나 죄인을 위협하는 영벌과 다른 벌들에 대한 두려움에서 생긴다(두려움의 통회). 이러한 양심의 동요는 은총의 감도 아래 성사로 죄를 용서받음으로써 완성되는 내적 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불완전한 통회는 그 자체로써는 대죄의 용서를 얻지 못하며, 고해성사로 용서받도록 준비시킬 뿐이다.(45)
1454 Oportet huius sacramenti receptionem per examen conscientiae factum sub lumine Verbi Dei praeparare. Aptissimi textus ad hoc sunt in Decalogo quaerendi atque in Evangeliorum et Epistularum apostolicarum morali catechesi: in sermone montano, in apostolicis doctrinis.
1454 고해성사를 받기 위해서는 하느님의 말씀에 비추어 양심 성찰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적당한 성경 본문들은 십계명에서, 그리고 복음서와 사도들의 서한 가운데 윤리적인 부분, 예컨대 산상 설교와 사도들의 가르침에서 찾을 수 있다.(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