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SECUNDUM ARTICULUS 4 SACRAMENTUM POENITENTIAE ET RECONCILIATIONIS
교회 교리서

Satisfactio

보속

1459 Multa peccata malum inferunt proximo. Oportet facere quidquid possibile est, ad id reparandum (exempli gratia, res restituere furto sublatas, famam restabilire illius quem sumus calumniati, compensare vulnera). Mera iustitia hoc exigit. Sed ulterius peccatum peccatorem ipsum vulnerat et debilitat, sicut etiam eius relationes cum Deo et cum proximo. Absolutio peccatum tollit, sed omnibus inordinationibus a peccato causatis remedium non affert. A peccato liberatus, peccator debet adhuc plenam salutem spiritualem recuperare. Debet igitur aliquid amplius facere ad sua peccata reparanda: debet “satisfacere” modo convenienti vel peccata sua “”expiare “” Haec satisfactio vocatur etiam “poenitentia”.
1459 많은 죄들이 이웃에게 해를 끼친다. 이를 갚기 위해서 가능한 일들을 해야 한다(예를 들어 훔친 물건을 되돌려 주는 일, 모함당한 사람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일, 손해를 배상하는 일 등). 단순한 정의도 이런 일을 요구한다. 그러나 죄는 결국 자신에게 상처를 입히고 나약하게 하며, 하느님에 대한 관계, 이웃에 대한 관계를 해친다. 용서는 죄를 없애 주지만 죄의 결과로 생긴 모든 폐해를 고쳐 주지는 못한다.(57) 죄에서 벗어난 사람은 완전한 영적 건강을 회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 죄를 갚기 위해서는 무엇인가 더 실행하여야 한다. 적절한 방법으로 죄를 ‘보상’하거나 ‘속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갚음을 ‘보속’(補贖)이라고 부른다.
1460 Poenitentia, quam confessarius imponit, rationem habere debet personalis status poenitentis eiusque bonum quaerere spirituale. In quantum possibile est, gravitati et naturae peccatorum commissorum oportet ut correspondeat. Consistere potest in oratione, in quadam oblatione, in operibus misericordiae, in servitio proximi, in privationibus voluntariis, in sacrificiis, et praecipue in patienti crucis acceptatione quam ferre debemus. Tales poenitentiae nos adiuvant ut Christo configuremur qui solus nostra expiavit peccata semel pro semper. Eaedem nobis permittunt coheredes fieri Christi resuscitati quia Ipsi “compatimur”(Rom 8 17):
1460 고해 사제는 고백자에게 보속을 정해 줄 때, 그 사람의 개인적인 상황을 고려하고, 그의 영적 이익을 도모해야 한다. 보속은 가능한 한 지은 죄의 경중과 특성에 맞아야 한다. 보속은 기도일 수도 있고, 헌금, 자선 행위, 이웃을 위한 봉사, 자발적인 절제, 희생이 될 수도 있으며, 특히 우리가 져야 할 십자가를 인내로 받아들이는 일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보속들은 우리가 우리 죄 때문에 한 번에 영원히 속죄하신 그리스도를(58) 닮도록 도와준다. 보속은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고난을 받기”(로마 8,17)(59) 때문에 우리를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함께 공동 상속자가 되게 해 준다.
“Neque vero ita nostra est satisfactio haec, quam pro peccatis nostris exsolvimus, ut non sit per Christum Iesum; nam qui ex nobis tamquam ex nobis nihil possumus, Eo cooperante, "qui nos confortat, omnia possumus". Ita non habet homo, unde glorietur; sed omnis gloriatio nostra in Christo est, [...] in quo satisfacimus, "facientes fructus dignos paenitentiae", qui ex Illo vim habent, ab Illo offeruntur Patri, et per Illum acceptantur a Patre”
그러나 우리의 보속, 곧 우리 죄 때문에 치르는 보속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우리 처지로는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지만, “우리에게 힘을 주시는 분 안에서 모든 일을 할 수 있다.”(60) 이처럼 사람은 결코 자신을 영광스럽게 할 수 없으며, 우리의 모든 ‘영광’은 그리스도 안에 있다.……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어서”(61) 보속한다. 이 열매는 그리스도에게서 힘을 얻고,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부께 바쳐지며,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부께 받아들여진다.(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