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SECUNDUM ARTICULUS 4 SACRAMENTUM POENITENTIAE ET RECONCILIATIONIS
교회 교리서

VIII. Huius sacramenti minister

VIII. 고해성사의 집전자

1461 Quia Christus ministerium Reconciliationis Suis concredidit Apostolis, Episcopi, eorum successores, et presbyteri, Episcoporum collaboratores, hoc ministerium exercere pergunt. Re vera, Episcopi et presbyteri, virtute sacramenti Ordinis, potestatem habent omnia remittendi peccata “in nomine Patris et Filii et Spiritus Sancti”.
1461 그리스도께서 당신 사도들에게 화해의 직무를 맡기셨으므로,(63) 그들의 후계자인 주교들과 주교들의 협력자인 사제들은 이 직무를 계속 수행한다. 실제로 주교와 사제들은 성품성사의 힘으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모든 죄를 용서할 권한을 가지게 된다.
1462 Peccatorum absolutio reconciliat cum Deo, sed etiam cum Ecclesia. Episcopus igitur, Ecclesiae particularis visibile caput, inde a temporibus antiquis, iusta ratione consideratur sicut ille qui principaliter reconciliationis habet potestatem et ministerium: ipse est disciplinae poenitentialis moderator. Presbyteri, eius collaboratores, id exercent in ea mensura in qua facultatem receperint sive ab Episcopo suo (vel a superiore religioso) sive a Romano Pontifice per Ecclesiae ius.
1462 죄를 용서받음으로써 하느님과 화해할 뿐 아니라 교회와도 화해한다. 그러므로 개별 교회의 볼 수 있는 으뜸인 주교는 예로부터 화해의 주된 권한과 직무를 가진 사람으로 당연히 인정되어 왔다. 주교는 고해성사 규율의 감독이다.(64) 주교의 협력자인 사제들은 교회법을 통해서 주교나 (또는 수도회 장상이나) 교황에게 위임을 받아 고해성사의 직무를 수행한다.(65)
1463 Quaedam peccata speciatim gravia plectuntur excommunicatione, poena ecclesiastica omnium severissima, quae sacramentorum impedit receptionem et quorumdam actuum ecclesiasticorum exercitium, et cuius absolutio consequenter non potest concedi, secundum Ecclesiae ius, nisi a Romano Pontifice, ab Episcopo loci vel a sacerdotibus quibus ipsi auctoritatem contulerint. In casu periculi mortis, quilibet sacerdos, etiam facultate ad audiendas confessiones carens, ab omni peccato absolvere potest atque ab omni excommunicatione.
1463 특히 중대한 어떤 죄들에 대해서는 가장 엄한 교회의 벌인 파문이 내려진다. 파문을 당하면 성사를 받지 못하며, 일정한 교회 활동을 하지 못한다.(66) 이러한 파문을 푸는 권한은 교회법에 따라 그 지역의 주교와 교황, 또는 이들에게서 권한을 받은 사제들만이 가지고 있다.(67) 파문된 사람이 죽을 위험에 있을 때에는, 고백을 들을 권한이 없는 사제까지도 포함하여, 모든 사제가 모든 죄와 파문에서 그를 풀어 줄 수 있다.(68)
1464 Sacerdotes debent fideles hortari ut ad Poenitentiae accedant sacramentum et debent se paratos ostendere ad hoc sacramentum celebrandum quoties christiani illud rationabiliter petant.
1464 사제는 신자에게 고해성사를 받도록 권고해야 하며, 신자가 합리적으로 이 성사를 요청할 때마다 언제나 기꺼이 들어 줄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주어야 한다.(69)
1465 Sacerdos, sacramentum celebrans Poenitentiae, ministerium adimplet boni Pastoris qui perditam quaerit ovem, illud boni Samaritani qui vulnera curat, Patris qui filium exspectat prodigum et eum accipit in eius reditu, iusti iudicis qui personarum non facit acceptionem et cuius iudicium simul iustum est et misericors. Uno verbo, sacerdos signum est et instrumentum amoris misericordis Dei erga peccatorem.
1465 고해성사를 거행할 때 사제는 잃어버린 양을 찾는 착한 목자, 상처를 싸매 주는 착한 사마리아 사람, 탕자를 기다리다 맞아들이는 아버지,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공정하고 자비로운 판결을 내리는 의로운 재판관의 직무를 다해야 한다. 한마디로 사제는 죄인에 대한 자비로우신 하느님의 사랑을 보여 주는 표지이며 도구이다.
1466 Confessarius dominus non est, sed minister veniae Dei. Minister huius sacramenti cum intentione et caritate Christi se coniungere debet. Cognitionem christianorum morum habere debet probatam, rerum humanarum experientiam, respectum et suavitatem erga illum qui cecidit; veritatem debet amare, Ecclesiae Magisterio esse fidelem et patienter poenitentem ducere ad sanationem et plenam maturitatem. Orare debet atque poenitentiam agere pro eo, eumdem Domini concredens misericordiae.
1466 고해 사제는 하느님의 용서를 마음대로 다루는 주인이 아니라 종이다. 이 성사의 집전자는 그리스도의 뜻과 사랑에 결합되어 있어야 한다.(70) 그는 그리스도인의 행동을 잘 이해하고, 인간사에 대한 경험도 터득해야 하며, 죄에 떨어진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해야 한다. 고해 사제는 진리를 사랑하고 교회의 교도권에 충실해야 하며, 고백하는 사람을 치유와 완전한 성숙으로 인내로이 인도해야 한다. 그는 고백자를 자비로우신 주님께 맡겨 드리고 그를 위해 기도하고 속죄해야 한다.
1467 Perspectis sanctimonia et magnitudine huius ministerii et observantia personis debita, Ecclesia declarat omnes sacerdotes qui confessiones audiunt, obligatos esse ad secretum absolutum relate ad peccata quae eorum poenitentes illis sint confessi, sub poenis severissimis. Neque possunt usum facere cognitionum quas illis confessio praebuerit circa poenitentium vitam. Hoc secretum, quod exceptiones non admittit, “sigillum sacramentale” appellatur, quia id quod poenitens sacerdoti manifestavit, manet a sacramento “sigillatum”.
1467 이 직무는 미묘하고 중대한 것이며, 사람들을 존중해야 하므로, 교회는 고백을 듣는 모든 사제가 고백자에게서 들은 죄에 대해 절대 비밀을 지킬 의무가 있으며, 이를 어길 경우 매우 준엄한 벌을 받는다고 천명한다.(71) 고해 사제는 고해를 통하여 고백자들의 삶에 대해 알게 된 것을 인용해서도 안 된다. 예외를 인정하지 않는 이 비밀을 ‘성사의 봉인’(고해 비밀)이라고 한다. 고백자가 사제에게 말한 것은 성사로 ‘봉인’되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