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TERTIUM SACRAMENTA IN SERVITIUM COMMUNIONIS ARTICULUS 6 SACRAMENTUM ORDINIS
교회 교리서

II. Sacramentum Ordinis in Oeconomia salutis

II. 구원 경륜에서 본 성품성사

Sacerdotium Veteris Foederis

구약의 사제직

1539 Populus electus a Deo constitutus est tamquam “regnum sacerdotum et gens sancta”(Ex 19,6). Sed, intra populum Israel, Deus unam ex duodecim tribubus elegit, illam Levi, pro servitio liturgico segregatam; Ipse Deus pars est hereditatis eius. Ritus proprius origines sacerdotii Veteris Foederis consecravit. Sacerdotes in eo “pro hominibus constituuntur in his, quae sunt ad Deum, ut offerant dona et sacrificia pro peccatis”
1539 하느님께서는 친히 선택하신 백성을 “사제들의 나라, 거룩한 민족”(탈출 19,(6) 으로(6) 세우셨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 민족의 열두 지파 중 하나인 레위 지파를 선택하시어 전례에 봉사하도록 따로 세우셨다.(7) 하느님께서는 친히 그들 몫의 유산이 되어 주셨으며,(8) 고유한 예식으로 구약 사제직의 기원을 거룩하게 하셨다.(9) 그 예식을 통해 사제들은 “사람들 가운데 뽑혀 하느님을 섬기는 일을 하도록 지정된 사람으로서 죄 때문에 예물과 제물을 바친다.”(10)
1540 At hoc sacerdotium, institutum ad verbum Dei annuntiandum et ad communionem cum Deo iterum stabiliendam per sacrificia et orationem, incapax manet salutem operandi, egens incessanter sacrificia iterare, quin ad definitivam perveniat sanctificationem, quam solummodo sacrificium Christi operaturum erat.
1540 그러나 하느님의 말씀을 선포하고,(11) 제사와 기도로 하느님과 이루는 친교를 회복하도록 세워진 이 사제직은 끊임없이 제사를 되풀이해야 했으며, 결정적인 성화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므로(12) 구원을 이룰 수는 없었다. 결정적 성화는 그리스도의 제사만이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1541 Ecclesiae tamen liturgia in sacerdotio Aaronis et in levitarum servitio, sicut etiam in septuaginta “Senum” institutione, praefigurationes perspicit ministerii ordinati Novi Foederis. Sic, in ritu latino, Ecclesia orat in oratione consecratoria ordinationis Episcoporum:
1541 그렇지만 교회 전례는 아론의 사제직과 레위인들의 봉사, 칠십 명의 “장로”를 세운 일(13) 등을 신약의 서품된 직무의 예표로 여긴다. 따라서 라틴 예법의 주교 서품 기도의 감사송에서 교회는 다음과 같이 기도한다.
“Deus et Pater Domini nostri Iesu Christi, [...] Tu qui dedisti in Ecclesia Tua normas per verbum gratiae Tuae, qui praedestinasti ex principio genus iustorum ab Abraham, qui constituisti principes et sacerdotes, et sanctuarium Tuum sine ministerio non dereliquisti...”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이신 하느님,……아버지께서는 은총의 말씀으로 교회에 법도를 제정해 주셨나이다. 일찍이 아브라함과 그 의로운 후손들을 예정하시고, 제왕과 사제들을 세우시어, 성소(聖所)를 끊임없이 돌보게 하셨나이다.(14)
1542 In presbyterorum ordinatione, orat Ecclesia:
1542 사제 서품 때 교회는 다음과 같이 기도한다.
“Domine, sancte Pater, [...] iam in Priore Testamento officia sacramentis mysticis instituta creverunt: ut cum Moysen et Aaron regendo et sanctificando populo praefecisses, ad eorum societatis et operis adiumentum sequentis ordinis et dignitatis viros eligeres. Sic in eremo, per septuaginta virorum prudentium mentes Moysi spiritum propagasti [...]. Sic in filios Aaron paternae plenitudinis abundantiam transfudisti”
주 성부,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느님,……일찍이 구약 시대에도 주님께서는 모세와 아론을 지도자로 세우시어 백성을 다스리고 성화하게 하셨으며, 그들의 업무를 도와주도록 여러 직위의 보조자를 선발하심으로써 신비로이 성직 체계를 마련하셨나이다. 사막에서는 모세의 뜻을 칠십 인의 지혜로운 원로들을 통하여 전달하게 하시고……아론의 전권을 그 자손에게 계승시켜 주셨나이다.(15)
1543 Et in prece consecratoria pro diaconorum ordinatione, Ecclesia confitetur:
1543 그리고 부제 서품을 위한 축성 기도에서 교회는 다음과 같이 고백한다.
“Omnipotens Deus, [...] Ecclesiam Tuam [...] in augmentum templi novi crescere dilatarique largiris, sacris muneribus trinos gradus ministrorum nomini Tuo servire constituens, sicut iam ab initio Levi filios elegisti, ad prioris tabernaculi ministerium explendum”
전능하신 하느님,……레위의 후손들을 간택하여 옛 장막의 봉사직을 수행하게 하셨듯이, 교회가 크고 훌륭한 새 성전으로 발전하도록, 주님 이름을 섬기는 봉사자의 직무를 세 품계로 세우셨나이다.(16)

Unicum Christi sacerdotium

그리스도의 유일한 사제직

1544 Omnes praefigurationes sacerdotii Veteris Foederis suam inveniunt adimpletionem in Christo Iesu qui est “unicus [...] mediator Dei et hominum” (1 Tim 2,5). Melchisedech, “sacerdos Dei altissimi”(Gn 14,18), a Traditione christiana consideratur sicut praefiguratio sacerdotii Christi, qui unus est “pontifex iuxta ordinem Melchisedech”(Heb 5,10; 6,20), “sanctus, innocens, impollutus”(Heb 7,26), quique “una [...] oblatione consummavit in sempiternum eos, qui sanctificantur”(Heb 10,14), id est, uno Suae crucis sacrificio.
1544 구약 사제직의 모든 예표는 “하느님과 사람 사이의 유일한 중개자”(1티모 2,5)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실현된다. 그리스도교 전승은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의 사제”(창세 14,18) 멜키체덱을, “거룩하시고 순수하시고 순결하시고 죄인들과 떨어져 계신”(히브 7,26), “멜키체덱의 직분을 따라” 유일한 “대사제로 임명받으신”(히브 5,10; 6,20) 그리스도의 사제직에 대한 예표로 여긴다. 대사제이신 그리스도께서는 “단 한 번 당신 자신을 바치심으로써”, 곧 유일한 십자가의 제사로 “거룩해지는 이들을 영구히 완전하게 해 주신 것이다”(히브 10,14).
1545 Sacrificium Christi redemptivum est unicum, semel pro semper peractum. Et tamen ipsum in Sacrificio eucharistico Ecclesiae fit praesens. Idem dicendum est de unico Christi sacerdotio: illud praesens fit per sacerdotium ministeriale quin unicitas sacerdotii minuatur Christi: “Et ideo solus Christus est verus Sacerdos, alii autem ministri Eius”.
1545 속량을 위한 그리스도의 제사는 단 한 번에 완결된 유일한 제사이다. 그러나 그 제사는 오늘날 교회의 성찬 제사 안에 현존한다. 그리스도의 유일한 사제직도 마찬가지이다. 그리스도의 사제직은 그 유일성이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직무 사제직을 통해 현존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참사제이시고, 다른 사제들은 그리스도의 대리자일 뿐이다.”(17)

Duae unius sacerdotii Christi participationes

그리스도의 유일한 사제직에 참여하는 두 가지 방식

1546 Christus, Summus Sacerdos et unus mediator, Ecclesiam fecit regnum sacerdotum Deo et Patri Suo. Tota credentium communitas, qua talis, est sacerdotalis. Fideles suum baptismale exercent sacerdotium per suam participationem, unusquisque secundum suam propriam vocationem, missionis Christi, Sacerdotis, Prophetae et Regis. Per Baptismi et Confirmationis sacramenta, fideles “consecrantur in [...] sacerdotium sanctum”
1546 대사제이시며 유일한 중개자이신 그리스도께서는 교회가 “한 나라를 이루어 당신의 아버지 하느님을 섬기는 사제”가(18) 되게 하셨다. 믿는 이들의 공동체 전체는 그 자체로 사제적인 공동체이다. 신자들은 각자의 소명에 따라 사제이고 예언자이며 왕이신 그리스도의 사명에 참여함으로써 세례로 받은 사제직을 수행한다. 신자들은 세례성사와 견진성사로 “……거룩한 사제직으로 축성되었다.”(19)
1547 Episcoporum et presbyterorum sacerdotium ministeriale seu hierarchicum et commune omnium fidelium sacerdotium, quamquam “unum [...] et alterum suo peculiari modo de uno Christi sacerdotio participant” differunt tamen essentia, quamquam “ad invicem [...] ordinantur” Quonam sensu- Dum commune fidelium sacerdotium in rem deducitur per incrementum gratiae baptismalis, vitae fidei, spei et caritatis, vitae secundum Spiritum, sacerdotium ministeriale in servitium est sacerdotii communis, ad incrementum gratiae baptismalis omnium christianorum refertur. Unum habetur ex mediis per quae Christus Suam Ecclesiam aedificare et ducere non desinit. Propterea per proprium transmittitur sacramentum, per Ordinis sacramentum.
1547 주교와 사제들의 직무적이고 교계적인 사제직과 모든 신자들의 보편 사제직은 “본질에서 다르기는 하지만,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20) “각기 특수한 방법으로 그리스도의 유일한 사제직에 참여하고 있다.”(21) 어떤 의미에서 그러한가- 신자들의 보편 사제직은 세례의 은총과 믿음·희망·사랑의 삶, 성령에 따른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실현되는 반면, 직무 사제직은 보편 사제직을 위하여 봉사하고, 모든 그리스도인의 세례 은총이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직무 사제직은 그리스도께서 끊임없이 당신 교회를 건설하고 인도하기 위한 도구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이 사제직은 특수한 성사인 성품성사를 통하여 전수된다.

In persona Christi - Capitis...

머리이신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1548 In ecclesiali ministri ordinati servitio, Ipse Christus, Ecclesiae Suae est praesens, quatenus Caput Sui corporis, Pastor Sui gregis, Summus sacrificii redemptoris Sacerdos, veritatis Magister. Hoc est quod Ecclesia exprimit affirmans sacerdotem, virtute sacramenti Ordinis, in persona Christi Capitis agere:
1548 신비체의 머리이시고, 양 떼의 목자이시며, 속량을 위한 희생 제사의 대사제이시고, 진리의 스승이신 그리스도 자신이 성품 직무자의 교회적 봉사 안에서 당신 교회에 현존하신다. 교회는 이 사실을 사제가 성품성사에 힘입어 머리이신 그리스도를 대신하여(in persona Christi Capitis) 행한다는 말로 표현한다.(22)
“Idem itaque Sacerdos, Christus Iesus, cuius quidem sacram personam Eius administer gerit. Hic siquidem, ob consecrationem quam accepit sacerdotalem, Summo Sacerdoti assimulatur, ac potestate fruitur operandi virtute ac persona Ipsius Christi”
사제가 참으로 대신하는 것은 바로 대사제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사실 성직자는 사제 축성을 받아 지존하신 사제와 같아지므로, 그가 대리하는 그리스도의 능력으로 행할 권한을 누린다.(23)
“Christus autem est fons totius sacerdotii: nam sacerdos legalis erat figura Ipsius; sacerdos autem novae Legis in persona Ipsius operatur”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사제직의 근원이시다. 구약의 사제는 그리스도의 형상이었고, 신약의 사제는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행하기 때문이다.(24)
1549 Per ministerium ordinatum, praesertim Episcoporum et presbyterorum, praesentia Christi, tamquam Capitis Ecclesiae, in communitate credentium, visibilis fit. Secundum pulchram sancti Ignatii Antiocheni locutionem, Episcopus est \\\, quasi vivens imago Dei Patris.
1549 성품 직무, 특히 주교와 사제들의 봉사 직무를 통하여,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현존이 신자들의 공동체 안에 가시화된다.(25)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성인의 아름다운 표현에 따르면, 주교는 “아버지의 모상”(typos tou Patros), 곧 하느님 아버지의 살아 있는 모상이다.(26)
1550 Haec Christi praesentia in ministro non sic debet intelligi ac si hic contra omnes humanas debilitates esset praemunitus, contra spiritum dominationis, contra errores, etiam contra peccatum. Spiritus Sancti virtus non omnibus ministri actibus eodem modo suam dat cautionem. Dum in sacramentis, haec datur cautio, ita ut ipsum ministri peccatum fructum gratiae impedire nequeat, multi alii habentur actus in quibus humanum ministri sigillum relinquit vestigia quae non semper signum sunt fidelitatis erga Evangelium, et quae consequenter apostolicae Ecclesiae fecunditati nocere possunt.
1550 성직자 안에 그리스도께서 현존하신다는 이 사실을 마치 성직자가 모든 인간적인 약점, 지배욕, 오류와, 심지어 죄에서까지도 보호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성령의 권능이 성직자들의 모든 행위를 동일하게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 성사 집전에서는 이러한 보증이 주어져서 성직자의 죄가 은총의 효과를 막을 수는 없지만, 성직자의 다른 많은 행위들에서는, 그의 인간적인 약점들 때문에 복음에 대한 충성의 표지가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행위들은 교회의 사도적 풍요로움에 해를 끼칠 수 있다.
1551 Hoc sacerdotium est ministeriale. “Munus [...] illud, quod Dominus Pastoribus populi Sui commisit, verum est servitium” Ad Christum et ad homines plene refertur. Plene a Christo et ab Eius dependet unico sacerdotio, et pro hominibus et Ecclesiae constitutum est communitate. Sacramentum Ordinis “sacram potestatem ” communicat, quae alia non est ac illa Christi. Huius auctoritatis exercitium debet igitur secundum exemplar mensurari Christi, qui propter amorem ultimus et omnium factus est servus. “Iure itaque Dominus curam gregis amoris erga Se argumentum esse dixit”
1551 이 사제직은 봉사 직무이다. “주님께서 당신 백성의 목자들에게 맡기신 저 임무는 참섬김이다.”(27) 사제직은 온전히 그리스도와 사람들과 관계되는 것이다. 사제직은 전적으로 그리스도와 그분의 유일한 사제직에 속한 것이며, 사람들과 교회 공동체를 위하여 제정되었다. 성품성사는 ‘거룩한 권한’, 바로 그리스도의 권한을 나누어 준다. 그러므로 이 권위의 행사는, 사랑으로 모든 사람의 종이 되시고 가장 낮은 사람이 되신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라야 한다.(28) “주님께서는 당신의 양 떼를 보살피는 것이 당신에 대한 사랑의 증거라고 분명히 말씀하셨다.”(29)

...“nomine totius Ecclesiae”

……“온 교회의 이름으로”

1552 Sacerdotium ministeriale non solum habet munus repraesentandi Christum “Ecclesiae Caput” coram fidelium congregatione, agit etiam totius Ecclesiae nomine, cum Deo orationem praesentat Ecclesiae et maxime cum eucharisticum offert Sacrificium.
1552 직무 사제직은 신자들 앞에서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행하는 임무일 뿐 아니라, 교회의 기도를 하느님께 바칠 때,(30) 특히 성찬의 희생 제사를 바칠 때, 온 교회의 이름으로 행하는 임무이다.(31)
1553 “Nomine totius Ecclesiae” hoc non significat sacerdotes delegatos esse communitatis. Ecclesiae oratio et oblatio ab oratione et oblatione Christi, Capitis eius, sunt inseparabiles. Semper est cultus Christi in Ecclesia Sua et per ipsam. Tota Ecclesia, corpus Christi, orat et se offert “per Ipsum et cum Ipso et in Ipso” in unitate Spiritus Sancti, Deo Patri. Totum corpus, caput et membra, orat et se offert, et propterea illi qui, in corpore, speciatim eius sunt ministri, appellantur ministri non solum Christi, sed etiam Ecclesiae. Quia sacerdotium ministeriale Christum repraesentat, potest Ecclesiam repraesentare.
1553 “온 교회의 이름으로”라는 말은 사제들이 공동체의 대표자라는 의미가 아니다. 교회의 기도와 봉헌은 그 으뜸이신 그리스도의 기도와 봉헌에서 분리될 수 없다. 교회의 기도와 봉헌은 언제나 당신 교회 안에서, 교회를 통하여 행하시는 그리스도의 예배이다.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온 교회가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으로 하나 되어 하느님 아버지께 기도하고 자신을 봉헌하는 것이다. 이처럼 머리와 지체로 이루어진 신비체 전체가 기도하고 자신을 바친다. 그러므로 신비체 가운데 특별한 봉사를 하는 성직자들은 그리스도의 봉사자일 뿐 아니라 교회의 봉사자라고 불린다. 직무 사제직은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행하는 것이므로, 교회를 대신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