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QUARTUM CETERAE LITURGICAE CELEBRATIONES
교회 교리서

CAPUT QUARTUM CETERAE LITURGICAE CELEBRATIONES

제 4 장 그 밖의 전례 거행

ARTICULUS 1 SACRAMENTALIA

제1절 준성사(sacramentalia)

1667 “Sacramentalia praeterea sancta Mater Ecclesia instituit. Quae sacra sunt signa quibus, in aliquam sacramentorum imitationem, effectus praesertim spirituales significantur et ex Ecclesiae impetratione obtinentur. Per ea homines ad praecipuum sacramentorum effectum suscipiendum disponuntur et varia vitae adiuncta sanctificantur”
1667 “어머니인 교회는 준성사(準聖事)들을 제정하였다. 준성사는 어느 정도 성사들을 모방하여 특히 영적 효력을 교회의 간청으로 얻고 이를 표시하는 거룩한 표징들이다. 이를 통하여 사람들은 성사들의 뛰어난 효과를 받도록 준비되고, 생활의 여러 환경이 성화된다.”(1)

Lineamenta sacramentalium characteristica

준성사의 특징

1668 Ipsa ab Ecclesia sunt instituta ad sanctificationem quorumdam Ecclesiae ministeriorum, quorumdam vitae statuum, adiunctorum vitae christianae valde diversorum, atque etiam usus rerum homini utilium. Secundum determinationes pastorales Episcoporum etiam respondere possunt necessitatibus, culturae et historiae populi christiani cuiusdam regionis vel aetatis propriis. Semper precationem complectuntur quam saepe signum comitatur concretum, sicut manuum impositio, signum crucis, aspersio aquae benedictae (quae Baptismum revocat in memoriam).
1668 교회는 특정 직무와 신분, 신자 생활의 매우 다양한 상황과, 사람들에게 유익한 물건 등을 성화하고자 준성사를 제정했다. 준성사는 주교들의 사목적 결정에 따라 한 지방이나 한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고유한 필요와 문화, 역사에도 부응할 수 있다. 준성사에는 언제나 기도가 포함되며, 흔히 안수, 십자 성호, (세례를 상기시키는) 성수 뿌림 같은 일정한 표징이 따른다.
1669 A sacerdotio oriuntur baptismali: omnis baptizatus vocatur ut sit benedictio et benedicat. Hac de causa, laici quibusdam benedictionibus praesidere possunt; quo magis quaedam benedictio ad vitam ecclesialem attinet et sacramentalem, eo magis eiusdem praesidentia ministro reservatur ordinato (Episcopo, presbyteris vel diaconis).
1669 준성사의 거행은 세례로 받은 보편 사제직에 속한다. 세례 받은 사람은 모두 그 자신이 ‘복’이 되어야 하며(2) 남을 축복해야 한다.(3) 그러므로 평신도들이 집전할 수 있는 축복 예식들도 있다.(4) 그러나 교회 생활과 성사 생활에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진 축복은 서품 성직자들(주교, 사제, 부제)만 할 수 있다.(5)
1670 Sacramentalia gratiam Spiritus Sancti ad modum sacramentorum non conferunt, sed per Ecclesiae orationem praeparant ad gratiam recipiendam et disponunt ad cooperandum cum illa. “Fidelibus bene dispositis omnis fere eventus vitae [...] [sanctificatur] gratia divina manante ex mysterio Paschali passionis, mortis et resurrectionis Christi, a quo omnia sacramenta et sacramentalia suam virtutem derivant; nullusque paene rerum materialium usus honestus ad finem hominem sanctificandi Deumque laudandi dirigi non”potest.
1670 준성사는 성사가 베푸는 것과 같은 성령의 은총을 주지는 못한다. 그러나 교회의 기도를 통하여 은총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은총에 협력하도록 결심하게 한다. “성사와 준성사의 전례는 잘 준비된 신자들에게 생활의 거의 모든 사건이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과 부활의 파스카 신비에서 흘러나오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성화되게 한다. 이 신비에서 모든 성사와 준성사가 그 효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또한 거의 모든 사물을 목적에 맞게 올바로 사용하면 인간 성화를 이루고 하느님을 찬양하게 되어 있다.”(6)

Sacramentalium formae diversae

준성사의 여러 형태

1671 Inter sacramentalia inveniuntur imprimis benedictiones (personarum, mensae, rerum, locorum). Omnis benedictio laus est Dei et oratio ad Eius dona obtinenda. In Christo, christiani a Deo Patre benedicuntur “in omni benedictione spiritali”(Eph 1,3). Hac de causa, Ecclesia benedictionem impertit Nomen Iesu invocans et plerumque sanctum crucis Christi faciens signum.
1671 준성사 중에는 우선 (사람, 음식, 물건, 장소 등에 대한) 축복이 있다. 모든 축복은 하느님을 찬미하는 것이며 하느님의 선물을 청하는 기도이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 아버지께 “온갖 영적인 복”(에페 1,3)을 받는다. 그러므로 교회는 예수님의 이름을 부르며, 또 보통은 그리스도의 십자 성호를 그어 축복한다.
1672 Quaedam benedictiones scopum habent mansurum: earum effectus est, personas Deo consecrare et res atque loca ad usum reservare liturgicum. Inter illas quae personis destinantur “non confundendae cum ordinatione sacramentali” numerantur benedictio abbatis et abbatissae monasterii, consecratio virginum et viduarum, ritus professionis religiosae et benedictiones pro quibusdam Ecclesiae ministeriis (lectoribus, acolythis, catechistis, etc.). Sicut exemplum earum quae ad res referuntur, possunt recenseri dedicatio vel benedictio ecclesiae aut altaris, benedictio sanctorum oleorum, vasorum et vestium sacrarum, campanarum, etc.
1672 어떤 축복들은 지속적인 효력을 가진다. 그 축복들은 사람들을 하느님께 봉헌(축성)하고, 물건과 장소를 전례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사람들에게 주는 축복 중에는 ─ 이것을 성사인 서품과 혼동하면 안 된다 ─ 수도원장이나 수녀원장의 축복, 동정녀들과 과부들의 봉헌, 수도 서원 예식, 그리고 교회 직무(독서직, 시종직, 교리 교사 등)를 위한 축복이 있다. 물건에 대한 축복의 예로는 성당이나 제대의 봉헌 또는 축복, 성유와 제기와 제의와 종 등의 축복을 들 수 있다.
1673 Cum Ecclesia publice et cum auctoritate, Iesu Christi nomine, petit ut quaedam persona vel res contra Maligni protegatur influxum et ab eius subtrahatur dominatu, id dicitur exorcismus. Iesus illum exercuit, et ab Eodem Ecclesia exorcizandi potestatem habet et munus. Forma simplici, exorcismus fit in Baptismi celebratione. Sollemnis exorcismus, “magnus exorcismus” appellatus, non potest fieri nisi a presbytero cum Episcopi permissione. Hac in re, oportet prudenter procedere, normas ab Ecclesia stabilitas stricte observando. Exorcismus intendit demonia expellere vel ab influxu demoniaco liberare et quidem auctoritate spirituali quam Iesus Suae concredidit Ecclesiae. Valde diversus est casus aegritudinum, praecipue psychicarum, quarum cura ad scientiam medicam pertinet. Magni igitur momenti est, antequam exorcismus celebretur, certiorem fieri, de praesentia Maligni agi et non de quadam aegritudine.
1673 교회가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마귀의 세력으로부터 보호되고 마귀의 지배력에서 벗어나도록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공적인 권위를 가지고 청하는 것을 구마(驅魔)라고 한다. 예수님께서 이를 행하셨으며(7) 교회는 마귀를 쫓아내는 권능과 의무를 예수님께 받았다.(8) 세례를 거행할 때 간단한 형식의 구마를 행한다. ‘장엄 구마’(magnus exorcismus)라고 하는 마귀 쫓는 예식은 주교의 허가를 받아서 사제만이 행할 수 있으며, 교회에서 정한 규칙을 정확하게 지키면서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9) 구마는 마귀를 쫓아내거나 마귀의 지배력에서 구해 내는 것이 목적이며, 예수님께서 교회에 주신 영적 권한으로 행하는 것이다. 질병, 특히 정신 질환은 마귀 들린 것과는 전혀 다르며, 의학이 치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마를 행하기 전에 질병이 아니라 마귀 들린 것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Religiositas popularis

대중 신심

1674 Praeter liturgiam sacramentalem et sacramentalia, catechesis attendere debet ad formas pietatis fidelium et religiositatis popularis. Populi christiani sensus religiosus semper suam invenit expressionem in variis pietatis formis quae vitam Ecclesiae circumdant sacramentalem, sicut reliquiarum veneratio, sanctuariorum visitationes, peregrinationes, processiones, via crucis, religiosae saltationes, Rosarium, numismata etc.
1674 교리 교육에서는 성사 전례와 준성사 외에도 신자들의 신심 형태와 대중 신심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인 대중의 신앙심은 언제나 유해 공경, 성당 방문, 순례, 행렬, 십자가의 길, 종교 무용, 묵주 기도, 메달 등과 같은 교회의 성사 생활을 둘러싼 다양한 형태의 신심 행위로 표현되어 왔다.(10)
1675 Hae expressiones vitam liturgicam protrahunt Ecclesiae, sed eam non supplent: “Ita vero, ratione habita temporum liturgicorum, eadem exercitia ordinentur oportet, ut sacrae liturgiae congruant, ab ea quodammodo deriventur, ad eam populum manuducant, utpote quae natura sua iisdem longe antecellat”.
1675 이러한 표현들이 교회 전례 생활의 연장이기는 하지만 그것을 대체하지는 못한다. “전례는 그 본질상 이러한 신심 행위를 훨씬 앞서 가는 것이므로, 전례 시기를 고려하여, 그러한 행위들은 어느 모로든 전례에서 이끌어 내고 백성을 이끌어 들여 전례와 조화를 이루도록 마련되어야 한다.”(11)
1676 Pastoralis discretio necessaria est ad religiositatem popularem sustinendam et fulciendam, et, si casus id ferat, ad religiosum purificandum et corrigendum sensum qui his subest devotionibus et ad efficiendum ut in cognitione mysterii Christi progressus fiat. Earum exercitium curae et iudicio submittitur Episcoporum atque generalibus Ecclesiae normis.
1676 대중 신심을 지키고 후원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 신심의 기초가 되는 신앙심을 정화하고 바로잡아 그리스도의 신비를 더 잘 깨닫게 하기 위하여 사목적인 식별이 필요하다. 이러한 행사는 주교들의 감독과 판단, 그리고 교회의 일반적 규범을 따라야 한다.(12)
“Populi religiositas, in suo nucleo, valorum est complexus qui, cum sapientia christiana, magnis exsistentiae respondet quaestionibus. Sapientia popularis catholica capacitatem habet synthesis vitalis; sic, modo creativo, divina et humana simul fert; Christum et Mariam, spiritum et corpus; communionem et institutionem; personam et communitatem; fidem et patriam, intelligentiam et affectum. Haec sapientia christianus est humanismus qui dignitatem radicaliter affirmat omnis personae humanae tamquam filii Dei, fraternitatem stabilit fundamentalem, naturam invenire et laborem intelligere docet et rationes affert ad laetanter et hilariter vivendum, etiam in vita valde dura. Haec sapientia est etiam pro populo discretionis principium, evangelicus instinctus quo spontaneo percipit modo quandonam servitium in Ecclesia praestetur Evangelio, et quandonam illud aliis commodis evacuetur et suffocetur”
대중 신심은 본질적으로, 삶의 중요한 물음들에 대해 그리스도교적 지혜로 대응하는 가치들의 총화이다. 가톨릭 대중의 지혜는 삶의 통합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그리스도와 마리아, 정신과 육체, 친교와 제도, 개인과 공동체, 신앙과 조국, 지성과 감성을 창조적으로 조화시킨다. 이 지혜는 그리스도교 인본주의로서, 모든 인간이 하느님의 자녀로서 존엄성을 지녔음을 근본적으로 확언하고, 기초적인 형제애를 건설하며, 자연을 만나고 노동을 이해하도록 가르치며, 어려운 삶에서도 기쁘고 유쾌하게 살아가기 위한 동기들을 부여한다. 이 지혜는 대중에게 식별의 원칙과 복음적 직관이 되기도 한다. 이 복음적 직관은 복음이 과연 교회에서 가장 우선적인 위치에 서게 되는지, 아니면 어떤 이해관계 때문에 복음의 내용이 사라지고 질식하게 되는지를 식별하게 해 준다.(13)

Compendium

간추림

1677 Sacramentalia appellantur signa sacra ab Ecclesia instituta, cuius scopus est homines ad sacramentorum recipiendum fructum praeparare et diversa vitae sanctificare adiuncta.
1677 준성사는 성사들의 효과를 받도록 사람을 준비시키고, 삶의 여러 상황을 성화하고자 교회가 제정한 거룩한 표징이다.
1678 Inter sacramentalia, benedictiones locum magni momenti occupant. Ipsae simul Dei implicant laudem propter Eius opera Eiusque dona, et Ecclesiae intercessionem ut homines donis Dei uti possint secundum Evangelii spiritum.
1678 준성사 중에서도 축복(benedictio)은 중요한 것이다. 축복은 하느님의 업적과 선물에 대한 찬미와, 사람들이 하느님의 선물을 복음 정신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드리는 교회의 전구를 포함한다.
1679 Praeter liturgiam, vita christiana formis variis pietatis popularis nutritur, quae in diversis radicantur culturis. Ecclesia religiositatis popularis favet formis, quae instinctum evangelicum et sapientiam exprimunt humanam quaeque vitam christianam ditant, simul tamen curans ut per fidei lumen eas illustret.
1679 전례 이외에도 그리스도인의 삶은 여러 가지 문화에 뿌리박은 다양한 형태의 대중 신심 행위로 길러진다. 교회는 신심 행위의 여러 형태들을 신앙의 빛으로 주의깊게 밝혀 주면서, 복음적 직관과 인간의 지혜를 드러내고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대중 신심의 형태들을 권장한다.

ARTICULUS 2 EXSEQUIAE CHRISTIANAE

제2절 그리스도교 장례

1680 Omnia sacramenta, et praesertim illa christianae initiationis, habent, ut scopum, filii Dei ultimum Pascha, illud quod, per mortem, eum in Regni vitam intrare facit. Tunc adimpletur id quod ipse in fide et spe profitebatur: “Exspecto resurrectionem mortuorum, et vitam venturi saeculi”.
1680 모든 성사, 특히 그리스도교 입문 성사들은 하느님 자녀의 마지막 파스카가 그 목적이다. 마지막 파스카는 죽음을 통해 하느님 나라의 생명에 들어가는 것이다. 그때에는 “죽은 이들의 부활과 내세의 삶을 기다리나이다.”(14) 하고 신앙과 희망으로 고백하던 것이 이루어진다.

I. Christiani ultimum Pascha

I. 그리스도인의 마지막 파스카

1681 Christianus mortis sensus lumine revelatur mysterii Paschalis mortis et resurrectionis Christi, in quo nostra spes unica considit. Christianus qui in Christo Iesu moritur, peregrinatur a corpore et praesens est ad Dominum.
1681 죽음의 그리스도교적 의미는, 우리 희망의 유일한 근거이신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파스카 신비의 빛으로 드러난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죽는 그리스도인은 육체를 떠나 주님과 함께 평안히 산다.(15)
1682 Dies mortis pro christiano, in fine eius vitae sacramentalis, consummationem inaugurat eius novae nativitatis in Baptismo inceptae, “similitudinem” definitivam ad “imaginem Filii” unctione Spiritus Sancti collatam et participationem convivii Regni, quae in Eucharistia anticipabatur, etiamsi ultimae purificationes ei sint adhuc necessariae ad vestem nuptialem superinduendam.
1682 죽는 날에 그리스도인은 성사적인 삶의 끝을 맞이하여, 세례로 시작된 그의 새 생명이 완성되며, 성령의 기름 바름으로 “성자의 모습”을 결정적으로 “닮게” 된다. 비록 혼인 잔치 예복을 입기 전에 아직 최후의 정화가 필요하더라도, 성찬례에서 미리 맛본 하느님 나라의 잔치에 참여하게 된다.
1683 Ecclesia quae, sicut Mater, christianum, terrestri eius peregrinatione perdurante, sacramentaliter in suo portavit sinu, eum comitatur ad finem itineris eius, ut eum tradat “in manus Patris” Ipsa Patri offert in Christo filium Eius gratiae, et in terram deponit, in spe, semen corporis quod in gloria resurget. Haec oblatio plene Sacrificio celebratur eucharistico; benedictiones quae illud praecedunt vel consequuntur, sunt sacramentalia.
1683 이 세상의 순례 길을 가는 동안 성사로써 그리스도인을 품에 안아 온 어머니처럼, 교회는 그를 “아버지의 손에” 맡겨 드리기 위하여 끝까지 그와 동행한다. 교회는 그리스도 안에서 성부께 당신 은총의 자녀를 바쳐 드리고, 영광 중에 다시 살아날 육체의 씨앗을, 희망을 가지고 땅에 묻는다.(16) 이 봉헌은 성찬의 희생 제사로 충만하게 거행되며, 그 전후에 행하는 축복은 준성사이다.

II. Exsequiarum celebratio

II. 장례 거행

1684 Exsequiae christianae sunt liturgica Ecclesiae celebratio. Ecclesiae ministerium hic intendit tam ut communionem cum defuncto exprimat efficacem quam ut eiusdem participem efficiat communitatem pro obsequiis congregatam ipsique aeternam nuntiet vitam.
1684 그리스도교의 장례는 교회의 전례 거행이다. 이 경우에 교회의 직무는 이 전례에서 죽은 이와 이루는 효과적 통공을 표현하는 동시에 장례식에 모인 공동체를 그 통공에 참여하게 하며, 그들에게 영원한 생명을 예고하는 목적도 지니고 있다.
1685 Diversi exsequiarum ritus indolem Paschalem christianae exprimunt mortis atque condicionibus et traditionibus respondent uniuscuiusque regionis, etiam in eo quod ad colorem refertur liturgicum.
1685 여러 가지 장례 예식들은 그리스도인의 죽음이 지닌 파스카 성격을 드러내며, 각 지방의 상황과 전통에 부응한다. 전례적(제의의) 색깔도 그래야 한다.(17)
1686 Ordo exsequiarum liturgiae Romanae tres celebrationis exsequiarum proponit typos, qui tribus locis correspondent, in quibus ipsae evolvuntur (in domo, ecclesia, coemeterio), et secundum momentum quod illis tribuunt familia, mores loci, cultura et pietas popularis. Ceterum modus quo evolvuntur, omnibus traditionibus liturgicis est communis et quattuor praecipua continet momenta:
1686 로마 전례의 장례 예식서는, 장례식을 치르는 세 장소(집, 성당, 묘지)에 부합하는 장례 거행의 세 양식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가족과 그 지방의 풍습, 대중문화와 신심이 부여하는 특성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장례식 순서는 모든 전례 전통에 공통된 것이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중요한 부분이 있다.
1687 Communitatis acceptio. Fidei salutatio celebrationem aperit. Defuncto propinqui verbo accipiuntur “consolationis” (sensu Novi Testamenti: roboris Spiritus Sancti in spe). Communitas orans quae congregatur, etiam “verba vitae aeternae” exspectat. Alicuius membri communitatis mors (vel dies anniversarius, dies septimus vel trigesimus) eventus est qui efficere debet ut “huius mundi” superentur perspectivae et fideles ad veras perspectivas trahantur fidei in Christum resuscitatum.
1687 공동체의 맞아들임. 장례식은 신앙의 인사로 시작된다. 교회 공동체는 고인의 친척들을 “격려하는”(신약 성경의 의미로는 ‘희망을 주시는 성령의 힘’)(18) 말로 맞이한다. 기도하러 모인 공동체도 “영원한 생명의 말씀”을 기대한다. 공동체 일원의 죽음(또는 기일이나 죽은 후 7일, 30일)은 “이 세상”의 관점들을 초월하게 하고, 신자들을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의 참다운 관점으로 끌어들이는 사건이다.
맨 처음이전 1 2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