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QUARTUM CETERAE LITURGICAE CELEBRATIONES ARTICULUS 1 SACRAMENTALIA
교회 교리서

Lineamenta sacramentalium characteristica

준성사의 특징

1668 Ipsa ab Ecclesia sunt instituta ad sanctificationem quorumdam Ecclesiae ministeriorum, quorumdam vitae statuum, adiunctorum vitae christianae valde diversorum, atque etiam usus rerum homini utilium. Secundum determinationes pastorales Episcoporum etiam respondere possunt necessitatibus, culturae et historiae populi christiani cuiusdam regionis vel aetatis propriis. Semper precationem complectuntur quam saepe signum comitatur concretum, sicut manuum impositio, signum crucis, aspersio aquae benedictae (quae Baptismum revocat in memoriam).
1668 교회는 특정 직무와 신분, 신자 생활의 매우 다양한 상황과, 사람들에게 유익한 물건 등을 성화하고자 준성사를 제정했다. 준성사는 주교들의 사목적 결정에 따라 한 지방이나 한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고유한 필요와 문화, 역사에도 부응할 수 있다. 준성사에는 언제나 기도가 포함되며, 흔히 안수, 십자 성호, (세례를 상기시키는) 성수 뿌림 같은 일정한 표징이 따른다.
1669 A sacerdotio oriuntur baptismali: omnis baptizatus vocatur ut sit benedictio et benedicat. Hac de causa, laici quibusdam benedictionibus praesidere possunt; quo magis quaedam benedictio ad vitam ecclesialem attinet et sacramentalem, eo magis eiusdem praesidentia ministro reservatur ordinato (Episcopo, presbyteris vel diaconis).
1669 준성사의 거행은 세례로 받은 보편 사제직에 속한다. 세례 받은 사람은 모두 그 자신이 ‘복’이 되어야 하며(2) 남을 축복해야 한다.(3) 그러므로 평신도들이 집전할 수 있는 축복 예식들도 있다.(4) 그러나 교회 생활과 성사 생활에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진 축복은 서품 성직자들(주교, 사제, 부제)만 할 수 있다.(5)
1670 Sacramentalia gratiam Spiritus Sancti ad modum sacramentorum non conferunt, sed per Ecclesiae orationem praeparant ad gratiam recipiendam et disponunt ad cooperandum cum illa. “Fidelibus bene dispositis omnis fere eventus vitae [...] [sanctificatur] gratia divina manante ex mysterio Paschali passionis, mortis et resurrectionis Christi, a quo omnia sacramenta et sacramentalia suam virtutem derivant; nullusque paene rerum materialium usus honestus ad finem hominem sanctificandi Deumque laudandi dirigi non”potest.
1670 준성사는 성사가 베푸는 것과 같은 성령의 은총을 주지는 못한다. 그러나 교회의 기도를 통하여 은총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은총에 협력하도록 결심하게 한다. “성사와 준성사의 전례는 잘 준비된 신자들에게 생활의 거의 모든 사건이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과 부활의 파스카 신비에서 흘러나오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성화되게 한다. 이 신비에서 모든 성사와 준성사가 그 효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또한 거의 모든 사물을 목적에 맞게 올바로 사용하면 인간 성화를 이루고 하느님을 찬양하게 되어 있다.”(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