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TERTIA VITA IN CHRISTO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VOCATIO HOMINIS: VITA IN SPIRITU CAPUT PRIMUM PERSONAE HUMANAE DIGNITAS ARTICULUS 7 VIRTUTES
교회 교리서

II. Virtutes theologales

II. 향주덕

1812 Virtutes humanae in virtutibus radicantur theologalibus quae hominis facultates ad naturae divinae accommodant participationem. Virtutes enim theologales directe ad Deum referuntur. Christianos disponunt ut in consuetudine cum Sanctissima Trinitate vivant. Deum Unum et Trinum habent tamquam originem, motivum et obiectum.
1812 인간적인 덕들은 인간의 능력을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기에 적절하게 해 주는(65) 향주덕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왜냐하면 향주덕은 하느님과 직접 관계되기 때문이다. 향주덕은, 그리스도인들이 거룩하신 삼위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려는 마음을 가지게 한다. 향주덕의 근원과 동기와 대상은 한 분이시고 세 위이신 하느님이시다.
1813 Virtutes theologales moralem agendi modum christiani proprium fundant, animant et distinguunt. Ipsae omnes virtutes morales informant et vivificant. A Deo in animas infunduntur fidelium ad eos efficiendos capaces qui tamquam filii Eius agant et vitam mereantur aeternam. Ipsae praesentiae et actionis Spiritus Sancti in hominis facultatibus sunt pignus. Tres sunt virtutes theologales: fides, spes et caritas.
1813 향주덕은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행위의 기초가 되며 그 행위에 활력을 불어넣고 특징을 부여한다. 곧 모든 윤리덕들을 알게 하고 생기를 불어넣는다. 향주덕은 신자들이 하느님의 자녀로서 행동하여 영원한 생명을 누릴 자격을 얻을 수 있게 하려고 하느님께서 그들의 영혼에 불어넣어 주시는 것이다. 향주덕은 인간의 능력 안에 성령의 현존과 활동을 보증한다. 향주덕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믿음과 희망과 사랑이다.(66)

Fides

믿음

1814 Fides virtus est theologalis qua in Deum credimus atque omnia quae Ipse nobis dixit et revelavit quaeque Ecclesia nobis credenda proponit, quia Ille est ipsa veritas. Fide “homo se totum libere Deo committit” Propterea qui credit, voluntatem Dei cognoscere conatur et facere. “Iustus [...] ex fide vivet”(Rom 1,17). Fides viva “per caritatem operatur”(Gal 5,6).
1814 믿음은 하느님과,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계시하신 것과, 거룩한 교회가 우리에게 믿도록 제시하는 모든 것을 믿게 하는 향주덕이다. 하느님께서는 진리 자체이시기 때문이다. 믿음으로 인간은 “자기를 온전히 하느님께 자유로이 맡기는 것이다.”(67) 그러므로 신자는 하느님 뜻을 알고 실천하고자 애쓴다. “의로운 이는 믿음으로 살 것이다”(로마 1,17). 살아 있는 믿음은 “사랑으로 행동한다”(갈라 5,6).
1815 Fidei donum in eo permanet qui contra eamdem non peccavit. Sed “fides sine operibus mortua est”(Iac 2,26). Fides, spe et amore privata, fidelem Christo plene non unit neque eum vivens Eius corporis efficit membrum.
1815 믿음이라는 선물은 믿음을 거슬러 죄를 짓지 않는 사람 안에 머문다.(68) 그러나 “실천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다”(야고 2,26). 희망과 사랑이 없는 믿음은 신자를 그리스도께 완전하게 결합시켜 주지 못하며, 그리스도의 몸의 살아 있는 지체가 되게 하지 못한다.
1816 Christi discipulus non solum debet fidem servare ex eaque vivere, sed illam praeterea profiteri, cum securitate testari et propagare: “Omnes [...] parati sint oportet, Christum coram hominibus confiteri, Eumque inter persecutiones, quae Ecclesiae nunquam desunt, in via crucis subsequi” Fidei servitium et testimonium ad salutem requiruntur: “Omnis [...] qui confitebitur me coram hominibus, confitebor et ego eum coram Patre meo, qui est in caelis; qui autem negaverit me coram hominibus, negabo et ego eum coram Patre meo qui est in caelis”(Mt 10,32-33).
1816 그리스도의 제자는 믿음을 간직하고 믿음으로 살아야 할 뿐 아니라, 이를 담대하게 고백하고 확신으로 증언하고 전파해야 한다. “모든 제자는 그 준비를 갖추어, 사람들 앞에서 그리스도를 고백하고, 교회가 늘 겪고 있는 박해 가운데에서 십자가의 길을 걸으시는 그리스도를 따라가야 한다.”(69) 믿음에 대한 봉사와 증언은 구원을 위해 필요하다. “누구든지 사람들 앞에서 나를 안다고 증언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안다고 증언할 것이다. 그러나 누구든지 사람들 앞에서 나를 모른다고 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모른다고 할 것이다”(마태 10,32-33).

Spes

희망

1817 Spes est virtus theologalis qua, tamquam nostram felicitatem, Regnum caelorum et vitam appetimus aeternam, nostram fiduciam in Christi collocantes promissionibus et nitentes non nostris viribus, sed auxilio gratiae Spiritus Sancti. “Teneamus spei confessionem indeclinabilem, fidelis enim est, qui repromisit”(Heb 10,23). Is Hunc Spiritum “effudit super nos abunde per Iesum Christum Salvatorem nostrum, ut iustificati gratia Ipsius heredes simus secundum spem vitae aeternae”(Tit 3,6-7).
1817 희망은 그리스도의 약속을 신뢰하며, 우리 자신의 힘을 믿지 않고 성령의 은총의 도움으로, 우리의 행복인 하늘 나라와 영원한 생명을 갈망하게 하는 향주덕이다. “우리가 고백하는 희망을 굳게 간직합시다. 약속을 주신 분은 성실하신 분이십니다”(히브 10,23). “이 성령을 하느님께서는 우리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에게 풍성히 부어 주셨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그분의 은총으로 의롭게 되어, 영원한 생명의 희망에 따라 상속자가 되었습니다”(티토 3,6-7).
1818 Virtus spei appetitioni respondet ad felicitatem a Deo in corde uniuscuiusque hominis positae; exspectationes assumit quae activitates inspirant hominum; eas purificat ut easdem ad Regnum caelorum ordinet; ab animi protegit defectione; in omni sustinet derelictione; in beatitudinis aeternae exspectatione dilatat cor. Spei impulsus a caeco sui amore (“egoismo” praeservat et ad felicitatem ducit caritatis.
1818 희망은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넣어 주신 행복을 바라는 덕이다. 희망은 사람들의 활동을 고취시키는 갈망을 받아들이며, 그 활동들을 정화하여 하늘 나라를 향하게 한다. 사람들을 실망하지 않게 보호하고, 버림받을 때 언제나 힘을 북돋아 주고, 영원한 행복에 대한 기대로 마음을 열어 준다. 희망의 약동은 사람을 이기주의에서 보호하여 사랑의 행복으로 이끈다.
1819 Spes christiana spem populi electi iterum assumit et perficit, quae suam originem suumque invenit exemplar in spe Abrahae promissionibus Dei in Isaac repleti et per sacrificii probationem purificati. “Contra spem in spe credidit, ut fieret pater multarum gentium”(Rom 4,18).
1819 그리스도인의 희망은 선택된 민족의 희망을 되살리고 완성한다. 이 선택된 민족의 희망은 이사악으로 이루어진 아브라함의 희망과 희생의 시련으로 정화된 하느님의 약속에서 그 기원과 본보기를 찾을 수 있다.(70) “아브라함은 희망이 없어도 희망하며,……‘많은 민족의 아버지’가 될 것을 믿었습니다”(로마 4,18).
1820 Inde ab initio praedicationis Iesu, spes christiana in nuntio explicatur beatitudinum. Beatitudines, caelum versus, tamquam in novam Terram promissam, nostram elevant spem; huic delineant viam per probationes quae Iesu manent discipulis. Sed per Iesu Christi Eiusque passionis merita, Deus nos in spe servat quae “non confundit”(Rom 5,5). Spem “sicut ancoram habemus animae, tutam ac firmam” eo usque incedentem “ubi praecursor pro nobis introivit Iesus”(Heb 6,19-20). Ipsa est etiam armatura quae nos in colluctatione protegit salutis: “induti loricam fidei et caritatis et galeam spem salutis”(1 Thess 5,8). Illa nobis in ipsa probatione procurat gaudium: “Spe gaudentes, in tribulatione patientes”(Rom 12,12). In oratione exprimitur et nutritur, praesertim in Oratione dominica, compendio omnium quae spes efficit ut appetamus.
1820 그리스도인의 희망은 예수님의 전도 초기부터 행복 선언 안에 제시되었다. 참행복은 우리의 희망을 새 ‘약속의 땅’으로 들어 올리듯이 하늘로 들어 올린다. 참행복은 예수님의 제자들 앞에 기다리고 있는 시련을 통과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준다. 그런데 하느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 공로를 통해서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않는 희망”(로마 5,5) 안에 지켜 주신다. 희망은 “우리에게 영혼의 닻과 같아, 안전하고 견고하며……예수님께서는……우리를 위하여 선구자로 그곳에 들어가셨다”(히브 6,19-20). 희망은 구원을 위한 싸움에서 우리의 안전을 보장해 주는 무기이기도 하다. “믿음과 사랑의 갑옷을 입고 구원의 희망을 투구로 씁시다”(1테살 5,8). 희망은 시련 중에서도 우리에게 기쁨을 준다. “희망 속에 기뻐하고 환난 중에 인내하며 기도에 전념하십시오”(로마 12,12). 희망은 기도 안에서 표현되며 지탱되는데, 특히 우리가 희망하여 바랄 수 있는 모든 것이 요약된 ‘주님의 기도’가 그러하다.
1821 Sperare igitur possumus caeli gloriam a Deo illis promissam qui Eum diligunt et Eius faciunt voluntatem. In quibuslibet adiunctis, unusquisque debet sperare, cum gratia Dei, perseverare in finem et caeli obtinere gaudium tamquam aeternam Dei pro bonis operibus gratia Christi peractis retributionem. Spe orat Ecclesia “omnes homines [...] salvos fieri”(1 Tim 2,4). Ipsa, in gloria caeli, Christo, Sponso suo, unita esse cupit:
1821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께서 당신을 사랑하고(71) 당신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들에게(72) 약속하신 하늘의 영광을 희망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각자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끝까지 견디어 낼 수 있기를(73) 바라야 하고, 그리스도의 은총으로 자신이 행한 선행에 대해 하느님께서 영원한 상급으로 주시는 하늘의 기쁨을 얻게 되리라고 희망해야 한다. 교회는 희망을 가지고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고 진리를 깨닫게 되기를”(1티모 2,4) 기도한다. 교회는 천상 영광 속에서 자신의 정배이신 그리스도와 하나 되기를 갈망한다.
“Spera, spera, tu quae nescis quandonam veniet dies et hora. Diligenter vigila, quoniam breviter omnia transeunt, quamvis desiderium tuum in incertum vertat certum, et in longum vertat breve tempus. Animadverte te, quo magis certabis, eo magis amorem, quem in Deum habes tuum, esse monstraturam et magis, Dilecto tuo fruituram cum gaudio et delectatione, quae finem habere non potest ”
희망하라, 희망하라. 너는 그 날과 그 시간을 알지 못한다. 조심스럽게 깨어 있어라. 비록 너의 초조함이 확실한 것을 의심스럽게 만들고, 아주 짧은 시간을 길게 여기게 하더라도 모든 것은 빠르게 지나간다. 네가 많이 싸우면 싸울수록 네 하느님에 대한 너의 사랑은 더욱 드러나며, 장차 결코 끝나지 않는 행복과 기쁨 중에 네 사랑하는 분과 더욱 즐거우리라는 사실을 생각하여라.(74)

Caritas

사랑

1822 Caritas est virtus theologalis qua Deum super omnia propter Se Ipsum et proximum nostrum tamquam nosmetipsos propter Dei diligimus amorem.
1822 사랑은 하느님만을 위하여 모든 것 위에 하느님을 사랑하고, 하느님에 대한 사랑 때문에 이웃을 자신같이 사랑하게 하는 향주덕이다.
1823 Iesus ex caritate mandatum novum efficit. Suos diligens “in finem”(Io 13,1), Patris manifestat amorem quem Ipse recipit. Discipuli se mutuo diligentes Iesu imitantur amorem quem etiam in se recipiunt. Propterea dicit Iesus: “Sicut dilexit me Pater, et ego dilexi vos; manete in dilectione mea”(Io 15,9). Et etiam: “Hoc est praeceptum meum, ut diligatis invicem, sicut dilexi vos”(Io 15,12).
1823 예수님께서는 사랑을 새로운 계명으로 삼으신다.(75) 예수님께서는 당신 제자들을 “끝까지”(요한 13,1) 사랑하심으로써 당신께서 받으시는 성부의 사랑을 드러내신다. 제자들은 서로 사랑하여 그들에게 주신 예수님의 사랑을 본받는다. 그러므로 예수님께서는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사랑하였다.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요한 15,9) 하고 말씀하시며, 또 “이것이 나의 계명이다.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요한 15,12) 하고 말씀하신다.
1824 Caritas, fructus Spiritus et plenitudo Legis, Dei et Eius Christi servat mandata. “Manete in dilectione mea. Si praecepta mea servaveritis, manebitis in dilectione mea”(Io 15,9-10).
1824 성령의 열매이며 율법의 완성인 사랑은 하느님과 그 아들 그리스도의 계명을 지키게 한다.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너희도 내 계명을 지키면 내 사랑 안에 머무를 것이다”(요한 15,9-10).(76)
1825 Christus amore erga nos mortuus est, cum adhuc eramus “inimici”(Rom 5,10). Dominus a nobis postulat ut amemus sicut Ipse etiam nostros inimicos, ut nos remotissimo faciamus proximos, ut sicut Ipsum amemus parvulos et pauperes.
1825 그리스도께서는 우리가 아직 “원수”(로마 5,10)였던 때에도 우리에 대한 사랑으로 돌아가셨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처럼 우리의 원수들까지도(77) 사랑하며, 가장 먼 사람들을 이웃으로 삼고,(78) 어린이들과(79) 보잘것없는 사람들을 당신 자신처럼(80) 사랑하라고 당부하신다.
Sanctus apostolus Paulus incomparabilem caritatis effecit descriptionem: “Caritas patiens est, benigna est caritas, non aemulatur, non agit superbe, non inflatur, non est ambitiosa, non quaerit, quae sua sunt, non irritatur, non cogitat malum, non gaudet super iniquitatem, congaudet autem veritati; omnia suffert, omnia credit, omnia sperat, omnia sustinet”(1 Cor 13,4-7).
바오로 사도는 사랑을 비길 데 없이 훌륭하게 묘사한다. “사랑은 참고 기다립니다. 사랑은 친절합니다. 사랑은 시기하지 않고, 뽐내지 않으며, 교만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무례하지 않고, 자기 이익을 추구하지 않으며, 성을 내지 않고, 앙심을 품지 않습니다. 사랑은 불의에 기뻐하지 않고, 진실을 두고 함께 기뻐합니다. 사랑은 모든 것을 덮어 주고,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고, 모든 것을 견디어 냅니다”(1코린 13,4-7).
1826 Sine caritate, dicit etiam Apostolus, “nihil sum” Et quidquid est privilegium, servitium, etiam virtus... si caritatem non habuero, “nihil mihi prodest” Caritas est omnibus superior virtutibus. Virtutum theologalium est prima: “Nunc autem manet fides, spes, caritas, tria haec; maior autem ex his est caritas”(1 Cor 13,13).
1826 그리고 바오로 사도는 말한다. “사랑이 없으면……나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나의 특은과 봉사와 덕행까지도 모두 ……“사랑이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81) 사랑은 모든 덕에 앞선다. 사랑은 향주덕 가운데 으뜸이다. “믿음과 희망과 사랑, 이 세 가지는 계속됩니다. 그 가운데에서 으뜸은 사랑입니다”(1코린 13,13).
1827 Omnium virtutum exercitium caritate animatur et inspiratur. Ipsa est “vinculum perfectionis”(Col 3,14); ipsa est forma virtutum; eas connectit et inter se ordinat; fons est et terminus earum christianae praxis. Caritas roborat et purificat nostram humanam amandi facultatem. Eam ad supernaturalem amoris divini perfectionem elevat.
1827 모든 덕의 실행은 사랑에서 활력을 얻고 사랑으로 고취된다. “사랑은 완전하게 묶어 주는 끈”(콜로 3,14)이고, 모든 덕의 바탕이며, 덕들을 연결하고 질서를 지어 준다. 애덕은 그리스도인들이 닦아야 할 덕의 근원이며 귀결이다. 애덕은 우리의 인간적 사랑의 능력을 확고하게 하고 정화한다. 애덕은 인간적 사랑의 능력을 하느님 사랑의 초자연적 완전함으로 들어 올린다.
1828 Praxis vitae moralis caritate animata spiritualem filiorum Dei libertatem praebet christiano. Hic non amplius sistit coram Deo tamquam servus in timore servili neque tamquam mercennarius salarium quaerens, sed tamquam filius qui amori respondet Illius qui “prior dilexit nos”(1 Io 4,19):
1828 사랑으로 고취된 윤리적 삶의 실천은 그리스도인에게 하느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영적 자유를 준다. 이제 인간은 하느님 앞에 노예 같은 공포를 지닌 종도 아니고, 품삯을 바라고 일하는 품꾼도 아니며, “먼저 우리를 사랑하신 분”(1요한 4,19)의 사랑에 응답하는 자녀로 살아간다.
“Aut enim supplicii metu a malo declinamus, versamurque in affectu servili; aut mercedis fructus requirentes, ob nostram ipsorum utilitatem mandata explemus, et hoc pacto mercennariis efficimur similes; aut ob ipsum honestum caritatemque erga Legislatorem nostrum [...], et ita demum ut filii afficimur”
우리가 벌이 무서워 악에서 멀어진다면 우리는 종의 마음을 지닌 것입니다. 또 보상의 미끼를 좇아간다면 우리는 돈에 팔린 사람과 같습니다. 마침내 선 자체에 대한 사랑과, 우리가 따르는 명령을 내리시는 분에 대한 사랑으로 그렇게 한다면……우리는 자녀의 마음을 가진 사람입니다.(82)
1829 Caritas habet, ut fructus, gaudium, pacem et misericordiam; beneficentiam exigit et correctionem fraternam; benevola est; reciprocationem suscitat, manet quin quaerat quae sua sunt, et est liberalis; amicitia est et communio:
1829 사랑의 열매는 기쁨과 평화와 자비이며, 사랑은 친절과 우정 어린 충고를 요구한다. 사랑은 호의이며, 사랑은 상호 유대를 촉진하고 욕심이 없고 너그럽다. 사랑은 우정이며 친교이다.
“Ipsa est consummatio omnium operum nostrorum, dilectio. Ibi est finis: propter hoc currimus; ad ipsum currimus; cum venerimus ad eam, requiescemus”
우리 모든 행동의 완성은 사랑입니다. 그것이 목적입니다. 우리는 그것 때문에 달리고, 그것을 향해 달립니다. 그리고 그것을 얻으면 그 안에서 쉬게 될 것입니다.(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