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TERTIA VITA IN CHRISTO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VOCATIO HOMINIS: VITA IN SPIRITU CAPUT TERTIUM SALUS DEI: LEX ET GRATIA ARTICULUS 2 GRATIA ET IUSTIFICATIO
교회 교리서

ARTICULUS 2 GRATIA ET IUSTIFICATIO

제2절 은총과 의화

I. Iustificatio

I. 의화

1987 Spiritus Sancti gratia vim habet nos iustificandi, id est, nos a nostris lavandi peccatis nobisque communicandi iustitiam Dei per fidem Iesu Christi et per Baptismum:
1987 성령의 은총에는 우리를 의화(義化)하는 힘이 있다. 곧, 성령의 은총은 우리의 죄를 씻어 주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그리고 세례를 통하여(40)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41) 누리게 해 준다.
“Si autem mortui sumus cum Christo, credimus quia simul etiam vivemus cum Eo; scientes quod Christus suscitatus ex mortuis iam non moritur, mors Illi ultra non dominatur. Quod enim mortuus est, peccato mortuus est semel; quod autem vivit, vivit Deo. Ita et vos existimate vos mortuos quidem esse peccato, viventes autem Deo in Christo Iesu”(Rom 6,8-11).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으니 그분과 함께 살리라고 우리는 믿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나시어 다시는 돌아가시지 않으리라는 것을 압니다. 죽음은 더 이상 그분 위에 군림하지 못합니다. 그분께서 돌아가신 것은 죄와 관련하여 단 한 번 돌아가신 것이고, 그분께서 사시는 것은 하느님을 위하여 사시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여러분 자신도 죄에서는 죽었지만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을 위하여 살고 있다고 생각하십시오(로마 6,8-11).
1988 Per Spiritus Sancti potentiam, passionem participamus Christi, peccato morientes, et Eius Resurrectionem, nascentes ad vitam novam; membra sumus Eius corporis quod est Ecclesia, palmites inserti Viti quae Ipse est:
1988 성령의 권능을 통하여, 우리는 죄에 대해 죽음으로써 그리스도의 수난에 참여하고, 새 생명으로 태어남으로써 그리스도의 부활에 참여한다. 우리는 교회인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들이며,(42) 참포도나무 곧 그리스도 자신의 가지들이다.(43)
“Per Spiritum Dei participes dicimur. [...] Spiritus communicatione divinae naturae consortes efficimur [...]. Nec enim alia de causa, hi in quibus Ille est, deificantur”
성령을 통해서, 우리 모두는 하느님과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성령을 나누어 받음으로써 우리는 하느님의 본성에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령께서 머물러 계시는 사람들은 하느님처럼 됩니다.…….(44)
1989 Primum gratiae Spiritus Sancti opus est conversio quae iustificationem operatur secundum Iesu nuntium in Evangelii initio: “Paenitentiam agite; appropinquavit enim Regnum caelorum”(Mt 4,17). Sub gratiae motione, homo ad Deum se vertit et a peccato se avertit, veniam et iustitiam sic accipiens ex alto. “Iustificatio [...] non est sola peccatorum remissio, sed et sanctificatio et renovatio interioris hominis”
1989 성령의 은총이 작용하여 내는 첫 결실은 회개이다. 복음서의 첫 대목에 나오는, “회개하여라.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마태 4,17) 하신 예수님의 선포에 따라, 회개는 우리를 의롭게 해 준다. 은총의 작용으로 인간은 하느님께 향하고 죄에서 멀어져 위로부터 오는 용서와 의화를 받아들인다. “의화는 단순히 죄를 용서받는 것뿐만 아니라, 또한 성화와 내적 인간의 쇄신도 내포한다.”(45)
1990 Iustificatio hominem solvit a peccato quod Dei contradicit amori et eius cor a peccato purificat. Iustificatio inceptum sequitur misericordiae Dei qui veniam offert. Ipsa hominem reconciliat cum Deo. A servitute peccati liberat et sanat.
1990 의화는 하느님 사랑을 거스르는 죄에서 인간을 풀어 주고, 인간의 마음을 죄에서 정화시켜 준다. 의화는 자비로우신 하느님께서 주도적으로 베풀어 주신 용서에 뒤이어 이루어진다. 의화는 인간을 하느님과 화해시키며, 죄의 예속에서 해방시키고, 치유해 준다.
1991 Iustificatio est simul iustitiae Dei acceptio per fidem in Iesum Christum. Iustitia rectitudinem amoris divini hic denotat. Una cum iustificatione, fides, spes et caritas in corda infunduntur nostra, et oboedientia voluntati divinae nobis conceditur.
1991 이와 동시에, 의화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통해 하느님의 의로움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여기에서 하느님의 의로움이란 하느님 사랑의 공정함을 가리킨다. 의화와 함께 믿음과 희망과 사랑도 우리의 마음 안에 스며들고, 우리는 하느님 뜻에 순종하게 된다.
1992 Iustificatio nobis est merita per passionem Christi qui Se tamquam hostiam vivam, sanctam et Deo placitam in cruce obtulit et cuius sanguis instrumentum propitiationis pro omnium hominum peccatis est effectus. Iustificatio per Baptismum, sacramentum fidei, praebetur. Ipsa nos ad iustitiam conformat Dei, qui nos interne per Suae misericordiae potentiam iustos efficit. Tamquam scopum gloriam Dei habet et Christi, et vitae aeternae donum:
1992 그리스도의 수난으로 우리는 의로워질 수 있게 되었다.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 위에서 하느님 뜻에 맞는 거룩한 산 제물로 자신을 바치셨으며, 그분의 피는 모든 사람의 죄를 위한 속죄의 도구가 되었다. 의화는 신앙의 성사인 세례로 주어진다. 의화는 당신 자비의 능력으로 우리를 내적으로 의롭게 하시는 하느님의 의로우심에 우리를 부합하게 한다. 의화의 목적은 하느님과 그리스도께 영광을 드리고, 인간에게는 영원한 생명의 선물을 주는 것이다.(46)
“Nunc autem sine lege iustitia Dei manifestata est, testificata a Lege et Prophetis, iustitia autem Dei per fidem Iesu Christi, in omnes qui credunt. Non enim est distinctio: omnes enim peccaverunt et egent gloria Dei, iustificati gratis per gratiam Ipsius per Redemptionem, quae est in Christo Iesu; quem proposuit Deus propitiatorium per fidem in sanguine Ipsius ad ostensionem iustitiae Suae, cum praetermisisset praecedentia delicta in sustentatione Dei, ad ostensionem iustitiae Eius in hoc tempore, ut sit Ipse iustus et iustificans eum, qui ex fide est Iesu”(Rom 3,21-26).
그러나 이제는 율법과 상관없이 하느님의 의로움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율법과 예언자들이 증언하는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오는 하느님의 의로움은 믿는 모든 이를 위한 것입니다. 거기에는 아무 차별도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죄를 지어 하느님의 영광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이루어진 속량을 통하여 그분의 은총으로 거저 의롭게 됩니다.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속죄의 제물로 내세우셨습니다. 예수님의 피로 이루어진 속죄는 믿음으로 얻어집니다. 사람들이 이전에 지은 죄들을 용서하시어 당신의 의로움을 보여 주시려고 그리하신 것입니다. 이 죄들은 하느님께서 관용을 베푸실 때에 저질러졌습니다. 지금 이 시대에는 하느님께서 당신의 의로움을 보여 주시어, 당신께서 의로우신 분이며 또 예수님을 믿는 이를 의롭게 하시는 분임을 드러내십니다(로마 3,21-26).
1993 Iustificatio inter gratiam Dei et libertatem hominis cooperationem stabilit. Haec, ex parte hominis, exprimitur in fidei assensu ad verbum Dei qui eumdem ad conversionem invitat, et in caritatis cooperatione impulsui Spiritus Sancti qui assensum praevenit et servat:
1993 의화는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의 자유 사이에 협력 관계를 이룬다. 인간 편에서, 의화는 회개를 촉구하시는 하느님의 말씀에 대한 신앙의 동의 안에서, 그리고 그 동의에 앞서고 그것을 보전하시는 성령의 이끄심에 사랑으로 협력하는 행위를 통해서 표현된다.
“Ita ut tangente Deo cor hominis per Spiritus Sancti illuminationem, neque homo ipse nihil omnino agat, inspirationem illam recipiens, quippe qui illam et abicere potest, neque tamen sine gratia Dei movere se ad iustitiam coram Illo libera sua voluntate possit”
하느님께서 성령의 비추심으로 인간의 마음을 감동시켜 주실 때, 인간은 거절할 수도 있는 이 감동을 아무런 반응 없이 받아들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은총 없이는 인간은 그의 자유 의지로써 하느님 앞에서 의화를 향해 나설 수 없다.(47)
1994 Iustificatio est amoris Dei excellentissimum opus in Christo Iesu manifestatum et per Spiritum Sanctum concessum. Sanctus Augustinus impii iustificationem putat opus “prorsus maius [...] esse [...], quam est caelum et terra [...]. Et caelum enim et terra transibit; praedestinatorum autem [...] salus et iustificatio permanebit” Etiam opinatur peccatorum iustificationem superare angelorum in iustitia creationem quatenus misericordiam testatur maiorem.
1994 의화는 하느님 사랑의 가장 뛰어난 업적이다. 하느님 사랑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나며 성령을 통해 주어진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에 따르면, “불경한 사람의 의화는 하늘과 땅의 창조보다도 더 위대한 일”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지겠지만, 선택된 사람들의 구원과 의화는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기”(48) 때문이다. 그는 또한 죄인들의 의화는 천사들을 의롭게 창조한 일을 능가하며, 그것은 죄인의 의화가 더 큰 자비를 드러내 주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1995 Spiritus Sanctus magister est interior. Iustificatio, efficiens ut “interior homo” nascatur, sanctificationem implicat totius hominis:
1995 성령은 내적 생활의 스승이시다. “내적 인간”을(49) 태어나게 하는 의화는 인간 존재 전체의 성화에까지 미친다.
“Sicut enim exhibuistis membra vestra servientia immunditiae et iniquitati ad iniquitatem, ita nunc exhibete membra vestra servientia iustitiae ad sanctificationem. [...] Nunc vero liberati a peccato, servi autem facti Deo, habetis fructum vestrum in sanctificationem, finem vero vitam aeternam!”(Rom 6,19.22).
나는 여러분이 지닌 육의 나약성 때문에 사람들의 방식으로 말합니다. 여러분이 전에 자기 지체를 더러움과 불법에 종으로 넘겨 불법에 빠져 있었듯이, 이제는 자기 지체를 의로움에 종으로 바쳐 성화에 이르십시오. 그런데 이제 여러분이 죄에서 해방되고 하느님의 종이 되어 얻는 소득은 성화로 이끌어 줍니다. 또 그 끝은 영원한 생명입니다(로마 6,19.22).

II. Gratia

II. 은총

1996 Nostra iustificatio a gratia venit Dei. Gratia est favor, auxilium gratuitum quod Deus nobis praebet ut Eius vocationi respondeamus: filios Dei fieri, filios adoptivos, divinae naturae participes et vitae aeternae.
1996 우리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의화된다. 은총은 하느님의 자녀(50) 곧 양자가 되고(51) 신성(神性)과(52) 영원한 생명을(53) 나누어 받는 사람이 되라는 하느님의 부름에 응답하도록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베푸시는 호의이며 거저 주시는 도움이다.
1997 Gratia est vitae Dei participatio, ea nos in vitae trinitariae introducit intimitatem: per Baptismum, christianus gratiam participat Christi, Capitis corporis Eius. Tamquam “filius adoptivus” deinceps Deum potest “Patrem” in unione cum Filio unico, appellare. Vitam recipit Spiritus, qui ei caritatem inspirat et qui Ecclesiam format.
1997 은총은 하느님의 생명에 대한 참여이다. 곧 은총은 우리를 성삼위의 내적 생활 안으로 이끌어 준다. 그리스도인은 세례로 신비체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은총을 받는다. 그는 ‘양자’로서, 외아들과 결합되어, 이제는 하느님을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게 되었다. 그에게 사랑을 불어넣어 주시고 교회를 이루시는 성령의 생명을 누리는 것이다.
1998 Haec vocatio ad vitam aeternam est supernaturalis. Prorsus a gratuito Dei dependet incepto, quia Ipse solus Seipsum revelare potest atque donare. Ea facultates superat intelligentiae et vires voluntatis humanae, sicut et omnis creaturae.
1998 영원한 생명에 대한 이러한 부름은 초자연적인 것이다. 이 부름은 스스로 거저 베푸시는 하느님께 전적으로 달려 있는 것이다. 하느님께서만 당신을 계시하시고 당신을 주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부름은 인간 지성의 능력과 의지의 힘을 초월하며, 어떤 피조물의 능력과 힘도 초월한다.(54)
1999 Christi gratia donum est gratuitum, quod Deus nobis praebet, vitae Eius per Spiritum Sanctum in animam nostram infusae ad eidem medendum a peccato eamque sanctificandam: illa est gratia sanctificans seu deificans, in Baptismo recepta. Ipsa est in nobis operis sanctificationis fons:
1999 그리스도의 은총은 무상의 선물이며, 하느님께서 우리 영혼을 죄에서 치유하여 거룩하게 하시려고 성령을 통해서 우리의 영혼 안에 불어넣어 주시는 당신 생명이다. 이 은총은 세례로써 받는 성화 은총(聖化恩寵, gratia santificans) 또는 신화 은총(神化恩寵, gratia deificans)이다. 이 은총은 우리 안에서 성화 활동의 샘이 된다.(55)
“Si quis ergo in Christo nova creatura; vetera transierunt, ecce, facta sunt nova. Omnia autem ex Deo, qui reconciliavit nos Sibi per Christum”(2 Cor 5,17-18).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그는 새로운 피조물입니다. 옛것은 지나갔습니다. 보십시오, 새것이 되었습니다. 이 모든 것은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를 당신과 화해하게 하시고 또 우리에게 화해의 직분을 맡기신 하느님에게서 옵니다(2코린 5,17-18).
2000 Gratia sanctificans donum est habituale, dispositio stabilis et supernaturalis ipsam perficiens animam ut eam capacem efficiat vivendi cum Deo et propter Eius amorem agendi. Distinguendae sunt gratia habitualis, dispositio permanens ad vivendum et agendum secundum divinam vocationem, et gratiae actuales quae interventus designant divinos sive in conversionis initio sive in operis sanctificationis decursu.
2000 성화 은총은 사람이 하느님과 함께 살고, 하느님의 사랑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그 사랑을 완전하게 하는 상존 은총(常存恩寵, gratia habitualis)이며, 지속적이고 초자연적인 성향이다. 이 성화 은총, 곧 하느님의 부르심에 따라 살고 행동하고자 하는 변함없는 마음가짐인 상존 은총은, 회개의 시작이나 성화 활동의 과정에서 하느님의 개입을 가리키는 조력 은총(助力恩寵, gratia actualis)과는 구별된다.
2001 Praeparatio hominis ad gratiam accipiendam iam opus est gratiae. Haec necessaria est ut nostra suscitetur et sustineatur cooperatio ad iustificationem per fidem et ad sanctificationem per caritatem. Deus id in nobis perficit quod incepit, “quoniam Ipse ut velimus operatur incipiens, qui volentibus cooperatur perficiens”
2001 은총을 받아들이도록 인간을 준비시키는 것은 은총이 이미 작용한 결과이다. 은총은 우리가 신앙을 통한 의화와 사랑을 통한 성화에 계속 협력하도록 하는 데 필요하다. 하느님께서는 우리 안에 시작하신 일을 완성하신다. “사실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원의(願意)를 일으키심으로써 일을 시작하시며, 우리의 의지에 협력하심으로써 일을 완성하십니다.”(56)
“Ubi quidem operamur et nos, sed Illo operante cooperamur, quia misericordia Eius praevenit nos. Praevenit autem, ut sanemur, quia et subsequetur ut etiam sanati vegetemur; praevenit, ut vocemur, subsequetur ut glorificemur; praevenit, ut pie vivamus, subsequetur ut cum Illo semper vivamus, quia sine Illo nihil facere possumus”
우리도 일한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그러나 일하시는 하느님과 함께 일할 뿐입니다. 하느님의 자비가 우리를 앞서기 때문입니다. 우리를 치유하고자 하느님의 자비는 우리에 앞서 있고, 일단 치유가 된 뒤에는 활기를 주려고 우리의 뒤를 따르십니다. 하느님의 자비는 우리가 부름을 받도록 우리를 앞서 있고, 우리가 영광스럽게 되도록 우리를 뒤따릅니다. 하느님의 자비는 우리가 경건한 마음으로 살도록 우리를 앞서 있고, 우리가 영원히 하느님을 모시고 살도록 우리를 뒤따릅니다. 하느님 없이 우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57)
2002 Liberum Dei inceptum liberam hominis responsionem exigit, quia Deus hominem ad Suam creavit imaginem, ei, cum libertate, conferens potestatem Ipsum cognoscendi et amandi. Anima solummodo libere communionem ingreditur amoris. Deus immediate tangit et directe movet cor hominis. In homine posuit appetitionem ad veritatem et bonum quam solum Ipse complere potest. “Vitae aeternae” promissiones respondent, ultra omnem spem, huic appetitioni:
2002 하느님의 자유로운 주도(主導)는 인간의 자유로운 응답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당신의 모습으로 창조하시고, 그에게 자유와 더불어, 당신을 알고 사랑할 능력을 주셨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유로울 때에만 사랑의 친교를 이룰 수 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마음을 직접 감동시켜 주시고 직접 움직이신다. 하느님께서는 당신께서만 채워 주실 수 있는 진리와 선에 대한 갈망을 인간 안에 심어 주셨다. ‘영원한 생명’에 대한 약속은, 모든 기대 이상으로 그 갈망을 충족시킨다.
“Ut id, quod Tu post opera Tua bona valde, quamvis ea quietus feceris, requievisti septimo die, hoc praeloquatur nobis vox Libri Tui, quod et nos post opera nostra ideo bona valde, quia Tu nobis ea donasti, Sabbato vitae aeternae requiescamus in Te”
당신께서 고요한 가운데 창조의 일을 하셨어도, 매우 좋은 그 일을 끝내신 뒤 이렛날에 안식을 취하셨다고 성경의 말씀이 말해 주는 것은, 당신께서 주셨기에 매우 좋은 일들을 한 뒤에 우리도 영원한 생명의 안식을 당신 안에서 누리게 하신다는 것입니다.(58)
2003 Gratia imprimis et praesertim donum est Spiritus qui nos iustificat et sanctificat. Sed gratia etiam illa dona includit quae Spiritus nobis largitur ad nos Suo operi sociandos, ad nos efficiendos capaces qui aliorum saluti et corporis Christi, Ecclesiae, collaboremus incremento. Haec sunt gratiae sacramentales, dona diversis sacramentis propria. Praeterea gratiae speciales habentur, quae etiam charismata appellantur secundum verbum graecum a sancto Paulo adhibitum, quod favorem, donum gratuitum, beneficium significat. Quaecumque earum est indoles, quandoque extraordinaria, sicut miraculorum vel linguarum donum, charismata ad gratiam ordinantur sanctificantem, et ut scopum commune bonum habent Ecclesiae. Ad servitium sunt caritatis quae Ecclesiam aedificat.
2003 은총은 먼저, 그리고 주로 우리를 의롭고 거룩하게 하시는 성령의 선물이다. 그러나 은총에는 성령께서 우리를 당신 사업에 참여시키고, 우리를 다른 사람들의 구원과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게 하시려고 우리에게 내려 주시는 선물들도 포함된다. 이 선물들 중에는 각 성사의 고유한 은혜인 성사 은총도 있고, 바오로 사도가 사용한 그리스 말을 따라서 카리스마(charisma)라고 부르기도 하는 특별한 은총[特恩] 또는 은사들도 있다. 카리스마는 호의, 무상의 선물, 은혜를 의미한다.(59) 기적이나 이상한 언어의 은사와 같이 때로는 예외적인 그 은사의 성격이 어떻든 간에, 카리스마는 성화 은총을 위하여 있는 것이며, 또 교회의 공동선을 목적으로 한다. 카리스마는 교회를 건설하는 사랑에 이바지하는 것이다.(60)
2004 Inter gratias speciales, oportet mentionem facere gratiarum status quae responsabilitatum vitae christianae et ministeriorum in Ecclesia comitantur exercitium:
2004 특은들 중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의 책임을 완수하고 교회 안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따르는 직분의 은총을 언급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다.
“Habentes autem donationes secundum gratiam, quae data est nobis differentes; sive prophetiam secundum rationem fidei; sive ministerium, in ministrando; sive qui docet, in doctrina; sive qui exhortatur, in exhortatione; qui tribuit in simplicitate; qui praeest, in sollicitudine; qui miseretur, in hilaritate”(Rom 12,6-8).
우리는 저마다 하느님께서 베푸신 은총에 따라 서로 다른 은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이 예언이면 믿음에 맞게 예언하고, 봉사면 봉사하는 데에 써야 합니다. 그리고 가르치는 사람이면 가르치는 일에, 권면하는 사람이면 권면하는 일에 힘쓰고, 나누어 주는 사람이면 순수한 마음으로, 지도하는 사람이면 열성으로, 자비를 베푸는 사람이면 기쁜 마음으로 해야 합니다(로마 12,6-8).
2005 Gratia, supernaturalis cum sit, nostrae se subducit experientiae et non nisi per fidem potest cognosci. Non possumus igitur nostris animi sensibus vel nostris operibus inniti ut exinde deducamus nos iustificatos esse vel salvatos. Tamen secundum Domini verbum: “Ex operibus eorum cognoscetis eos”(Mt 7,20), consideratio beneficiorum Dei in vita nostra et in sanctorum vita nobis pignus offert gratiam in nobis operari nosque incitat ad fidem semper maiorem et ad habitum fretae paupertatis.
2005 은총은 초자연적인 것이므로 우리의 감각 기관에 감지되지 않으며, 신앙으로만 인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감정이나 업적을 근거로 해서 우리가 의롭게 되고 구원받았다고 추론할 수 없다.(61) 그러나 “너희는 그들이 맺은 열매를 보고 그들을 알아볼 수 있다.”(마태 7,20)고 하신 주님의 말씀대로, 우리가 우리 삶과 성인들의 삶 안에서 하느님께서 주신 은혜를 생각할 때, 은총이 우리 안에 활동하고 있다는 보장도 받고, 우리가 갈수록 더 커져 가는 신앙과 신뢰하는 청빈의 태도를 지니도록 자극도 받는다.
맨 처음이전 1 2 3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