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TERTIA VITA IN CHRISTO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VOCATIO HOMINIS: VITA IN SPIRITU CAPUT TERTIUM SALUS DEI: LEX ET GRATIA ARTICULUS 3 ECCLESIA, MATER ET MAGISTRA
교회 교리서

II. Praecepta Ecclesiae

II. 교회의 법규

2041 Praecepta Ecclesiae in hac linea vitae moralis cum vita liturgica coniunctae et ab illa nutritae collocantur. Indoles obligatoria harum legum positivarum ab auctoritatibus pastoralibus promulgatarum, pro scopo habet fidelibus providere minimum pernecessarium in orationis spiritu et in morali nisu, in incremento amoris Dei et proximi.
2041 교회의 법규는 전례 생활과 연결되고 또 전례 생활로 자라나는 윤리 생활과 그 맥을 같이한다. 교회의 목자들이 제정한 이 실정법의 의무들은 신자들에게 기도 정신과 윤리적 책임, 그리고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선을 제시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다.
2042 Primum praeceptum (“Diebus Dominicis ceterisque festis de praecepto Missam audire et ab operibus servilibus vacare” a fidelibus exigit diem in quo resurrectio Domini commemoratur, necnon praecipuas liturgicas festivitates quae Domini, beatae Virginis Mariae et sanctorum honorant mysteria, sanctificare, imprimis eucharisticam participando celebrationem, in qua communitas congregatur christiana, atque ab illis requiescere laboribus et negotiis quae talem horum dierum sanctificationem possint impedire.
2042 첫째 법규(“주일과 의무 축일에는 미사에 참여하고, 육체노동을 삼가야 한다.”)는 주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주일을 비롯하여, 주님과 복되신 동정 마리아와 성인들의 신비를 공경하는 주요 전례 축일들을 거룩하게 지내도록 신자들에게 요구한다. 신자들은 무엇보다도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함께 모여 거행하는 성찬례에 참여하여야 하고 이날의 성화를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일과 노동을 삼가고 쉬어야 한다.(86)
Secundum praeceptum (“Peccata saltem semel in anno confiteri” ad Eucharistiam praestat praeparationem per receptionem sacramenti Reconciliationis, quod opus conversionis et veniae prosequitur Baptismi.
둘째 법규(“최소한 일 년에 한 번은 자기의 죄를 고백해야 한다.”)는, 회개와 용서라는 세례의 작용을 지속시키는 고해성사를 받음으로써 성체를 모실 준비를 확실하게 하라는 것이다.(87)
Tertium praeceptum (“Eucharistiae sacramentum saltem in Paschate recipere” minimum praestat in corporis et sanguinis Domini receptione in conexione cum festis Paschalibus, origine et centro liturgiae christianae.
셋째 법규(“적어도 한 번 부활 시기에 성체를 받아 모셔야 한다.”)는 그리스도교 전례의 기원이며 중심인 부활 축제들과 연결시켜, 주님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는 최소한의 규정이라도 준수하라는 것이다.(88)
2043 Quartum praeceptum (“Diebus ab Ecclesia statutis ab esu carnium abstinere et ieiunium servare” tempora tuetur asceseos et paenitentiae quae nos ad festa praeparant liturgica et ad acquirendum in nostros instinctus dominium et cordis libertatem.
2043 넷째 법규(“교회가 정한 날에 금식재와 금육재를 지켜야 한다.”)는 전례 축일에 맞갖게 우리를 준비시키고 본능의 자제와 마음의 자유를 얻도록 돕는 참회와 고행의 시기를 가지라는 것이다.(89)
Quintum praeceptum (“Ecclesiae necessitatibus subvenire” enuntiat, fideles praeterea obligari ad subveniendum, singulos secundum suam facultatem, materialibus Ecclesiae necessitatibus.
다섯째 법규(“교회의 필요를 지원하여야 한다.”)는 신자들이 저마다 자신의 능력에 따라 교회의 물질적 필요를 지원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