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TERTIA VITA IN CHRIST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DECEM PRAECEPTA CAPUT PRIMUM "DILIGES DOMINUM DEUM TUUM IN TOTO CORDE TUO ET IN TOTA ANIMA TUA ET IN TOTA MENTE TUA" ARTICULUS 1 PRIMUM PRAECEPTUM
교회 교리서

Sociale religionis officium et ius ad religiosam libertatem

종교의 사회적 의무와 종교 자유에 대한 권리

2104 “Homines [...] cuncti tenentur veritatem, praesertim in iis quae Deum Eiusque Ecclesiam respiciunt quaerere eamque cognitam amplecti ac servare” Hoc officium ab ipsa hominum procedit natura. Sincerae observantiae non contradicit diversarum religionum quae “haud raro referunt [...] radium illius veritatis, quae illuminat omnes homines” neque exigentiae caritatis quae christianos urget “ut amanter, prudenter, patienter aga[n]t cum hominibus, qui in errore vel ignorantia circa fidem versantur”
2104 “모든 사람은 진리, 특히 하느님과 그분의 교회에 관한 진리를 탐구하며, 깨달은 그 진리를 받아들이고 지켜야 한다.”(21) 그 의무는 “인간 본성 그 자체”에서(22) 생기는 것이다. 그 의무는 “모든 사람을 비추는 참진리의 빛을 반영하는”(23) 여러 종교에 대한 꾸밈없는 존경을 배척하지 않으며, “신앙의 오류나 무지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사랑과 지혜와 인내로 대하도록”(24) 그리스도인들을 촉구하는 사랑의 요구와도 상반되지 않는다.
2105 Officium Deo cultum authenticum tribuendi hominem individualiter et socialiter respicit. Hoc constituit “traditionalem doctrinam catholicam de morali hominum ac societatum officio erga veram religionem et unicam Christi Ecclesiam” Ecclesia, homines incessanter evangelizans, laborat ut ipsi possint spiritu christiano informare “mentem et mores, leges et structuras communitatis” in qua vivunt. Christianorum sociale officium est in unoquoque homine observare et suscitare amorem veri et boni. Ab illis petit ut cognoscendum praebeant cultum unicae verae religionis quae in catholica et apostolica Ecclesia subsistit. Christiani vocantur ut lux mundi efficiantur. Sic Ecclesia regalitatem manifestat Christi super totam creationem et speciatim super humanas societates.
2105 하느님께 참된 예배를 드려야 하는 의무는 인간에게 개인적으로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관련되는 것이다. 이것이 “참종교와 그리스도의 유일한 교회에 대한 개인과 사회의 도덕적 의무에 관한 가톨릭의 전통 교리”(25) 이다. 끊임없이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함으로써, 교회는 사람들이 “자기가 살고 있는 공동체의 정신, 풍습, 법률, 구조 등을 그리스도 정신으로 충만하게 하도록”(26) 힘쓴다.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의무는 각 사람 안에 있는 참된 것과 선한 것을 존중하고 일깨우는 것이다. 이 의무는 보편되고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 안에 유일하고 참된 종교의 예배가 있음을 알릴 것을 그들에게 요구한다.(27) 그리스도인은 세상의 빛이 되라는 부름을 받았다.(28) 이처럼 교회는 모든 피조물, 특히 인간 사회에 대한 그리스도의 왕권을 드러낸다.(29)
2106 “In re religiosa neque aliquis cogatur ad agendum contra suam conscientiam neque impediatur, quominus iuxta suam conscientiam agat privatim vel publice, vel solus vel aliis sociatus, intra debitos limites” Hoc ius super natura ipsa humanae fundatur personae cuius dignitas efficit ut ipsa libere divinae adhaereat veritati quae ordinem temporalem transcendit. Quamobrem hoc ius “perseverat etiam in iis qui obligationi quaerendi veritatem eique adhaerendi non satisfaciunt”
2106 “종교 문제에서 자기의 양심을 거슬러 행동하도록 강요받지 않아야 하고, 또한 사적으로든 공적으로든, 혼자서나 단체로, 정당한 범위 안에서 자기 양심에 따라 행동하는 데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30) 이 권리는 인격 자체의 본성에 근거하는 것이며, 인간은 인격의 존엄성에 따라 세속의 질서를 초월하는 하느님의 진리에 자유롭게 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진리를 추구하고 그 진리에 따라야 할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사람들도 이 자유의 권리를 지닌다.”(31)
2107 “Si attentis populorum circumstantiis peculiaribus uni communitati religiosae specialis civilis agnitio in iuridica civitatis ordinatione tribuitur, necesse est ut simul omnibus civibus et communitatibus religiosis ius ad libertatem in re religiosa agnoscatur et observetur”
2107 “국민의 특별한 사정을 고려하여 국법 질서 안에서 한 종교 단체에 특수 지위를 인정한다 하더라도, 동시에 모든 시민과 종교 단체의 종교 자유의 권리를 반드시 인정하고 존중하여야 한다.”(32)
2108 Ius ad libertatem religiosam neque moralis est permissio adhaerendi errori neque praesumptum ad errorem ius, sed naturale ius personae humanae ad libertatem civilem, id est, ad immunitatem a coactione externa, intra iustos limites, in re religiosa, ex parte politicae potestatis. Hoc ius naturale in ordine iuridico societatis agnosci debet ita ut ius civile constituat.
2108 종교 자유의 권리는 오류를 지지하라는 허락도 아니고,(33)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권리도 아니며,(34) 다만 국민으로서 누릴 수 있는 자유에 대한 인간의 타고난 권리이다. 이 권리는 종교 문제에서 정당한 한계를 지킬 때 정치권력으로부터 외적인 구속을 받지 않을 권리이다. 이 타고난 권리는 “사회의 법적 제도 안에서 인정되어 국민의 권리가 되어야 한다.”(35)
2109 Ius ad libertatem religiosam neque potest, natura sua, esse illimitatum neque limitatum solummodo ordine publico qui modo “positivistico” vel “naturalistico” concipiatur. “Iusti limites” qui ei sunt inhaerentes pro unaquaque sociali rerum condicione debent prudentia politica determinari secundum exigentias boni communis atque auctoritate civili haberi rati “secundum normas iuridicas, ordini morali obiectivo conformes”
2109 종교 자유의 권리는 그 자체로 무제한적일 수 없고,(36) 그저 단순히 “실증주의적으로나 자연주의적으로” 이해된 공공질서만으로 제한될 수도 없다.(37) 종교 자유에 내재하는 ‘정당한 한계’는 각 사회의 상황에 맞게 정치적으로 신중하게, 공동선의 요청에 따라 정해지고, “객관적인 도덕 질서에 부합하는 법률 규범”(38) 에 따라 국가 권위가 인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