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TERTIA VITA IN CHRIST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DECEM PRAECEPTA CAPUT SECUNDUM “DILIGES PROXIMUM TUUM TAMQUAM TEIPSUM” ARTICULUS 6 SEXTUM PRAECEPTUM
교회 교리서

IV. Offensae contra matrimonii dignitatem

IV. 혼인의 존엄성을 거스르는 죄

2380 Adulterium. Hoc verbum infidelitatem designat coniugalem. Cum duo, quorum saltem alter est matrimonio coniunctus, relationem sexualem, etiam fugacem, nectunt inter se, adulterium committunt. Christus adulterium damnat, etiam illud simplicis optati. Sextum praeceptum et Novum Testamentum absolute adulterium proscribunt. Prophetae eius denuntiant gravitatem. In adulterio perspiciunt figuram peccati idololatriae.
2380 간음. 이 말은 부부의 부정(不貞)을 가리킨다. 일시적인 것이라고 해도, 성관계를 맺을 때 두 사람 가운데 적어도 한 사람이 기혼자일 경우, 그 두 사람은 간음죄를 범하는 것이다. 그리스도께서는 단순히 마음으로 짓는 간음조차 단죄하신다.(131) 여섯째 계명과 신약 성경은 간음을 절대로 금한다.(132) 예언자들은 간음의 심각성을 알린다. 예언자들은 간음을 우상 숭배 죄의 표상으로 본다.(133)
2381 Adulterium quaedam est iniustitia. Qui illud committit, a suis deficit obligationibus. Foederis frangit signum quod vinculum est matrimoniale, alterius coniugis laedit ius et matrimonii attentat institutionem, contractum violans qui illam fundat. Bonum generationis humanae adducit in discrimen atque filiorum qui unione parentum egent stabili.
2381 간음은 정의를 어기는 행위이다. 간음하는 자는 자신의 약속을 어기는 것이다. 간음은 계약의 표징이 되는 혼인의 유대를 손상시키며, 한 쪽 배우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혼인의 기초가 되는 계약을 어김으로써 혼인 제도를 해친다. 간음은 인류의 선익과, 부모의 안정된 일치가 필요한 자녀들의 선익을 위태롭게 한다.

Divortium

이혼

2382 Dominus Iesus originali institit intentioni Creatoris qui matrimonium volebat indissolubile. Abrogat tolerantias quae in Legem veterem irrepserant.
2382 주 예수님께서는 해소될 수 없는 혼인을 원하신 창조주의 본뜻을 강조하셨다.(134) 예수님께서는 옛 법에 서서히 끼어들어 온 관행을 폐기하신다.(135)
Inter baptizatos, “Matrimonium ratum et consummatum nulla humana potestate nullaque causa, praeterquam morte, dissolvi potest”.
세례 받은 이들 사이에 “성립되고 완결된 혼인은 사망 이외에는 어떠한 인간 권력이나 어떠한 이유로도 해소될 수 없다.”(136)
2383 Coniugum separatio, vinculo matrimoniali permanente, quibusdam in casibus iure canonico praevisis, potest esse legitima.
2383 혼인 유대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부부의 별거는 교회법에 비추어 어떤 경우에는 합법적일 수 있다.(137)
Si divortium civile unus restat modus ad quaedam iura legitima praestanda, filiorum curam vel patrimonii defensionem, potest tolerari quin culpam constituat moralem.
만일 민법상의 이혼만이 어떤 정당한 권리들과 자녀 양육이나 상속 재산의 보호를 보장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이 된다면, 도덕적인 죄가 성립되지 않고, 허용될 수 있다.
2384 Divortium gravis est contra legem naturalem offensa. Contractum simul usque ad mortem vivendi, libere a coniugibus initum, frangere conatur. Divortium iniuriam infert salutis Foederi, cuius sacramentale Matrimonium est signum. Novam contrahere unionem, etiamsi haec a lege civili agnoscatur, rupturae addit gravitatem: coniux iterum matrimonio iunctus tunc in statu versatur publici et permanentis adulterii:
2384 이혼은 자연법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다. 이혼은 부부가 죽을 때까지 서로 함께 살기로 자유로이 합의한 약속을 파기하는 것이다. 이혼은 성사로 맺어진 혼인이 표징으로서 보여 주는 구원의 계약을 거스른다. 새로운 혼인 유대를 맺는 것은 비록 민법이 그 유대를 인정하더라도, 혼인 파기의 심각성을 증대시킨다. 그때 재혼한 배우자는 계속해서 공공연한 간음 상태에 있게 된다.
“Non licet viro, uxore dimissa, aliam ducere: neque fas est repudiatam a marito, ab alio duci uxorem”.
남자가 아내를 버리고 다른 여자를 끌어들이는 것은 불가합니다. 남편을 버린 여자를 아내로 맞이하는 것도 불가합니다.(138)
2385 Divortium suam indolem pravam etiam habet ex inordinatione quam in familiarem cellulam introducit et in societatem. Haec inordinatio damna gravia secum fert: pro coniuge, qui se derelictum invenit; pro filiis, parentum separatione profunde vulneratis, et saepe subiectis contentione inter eosdem; propter suum contagionis effectum, qui ex eo veram plagam efficit socialem.
2385 사회와 가정에서 일으키는 폐단 때문에 이혼은 부도덕한 성격을 지닌 것이다. 이 무질서는 중대한 폐해를 끼친다. 버림받은 배우자에게도, 부모의 결별로 충격을 받고 흔히 부모 사이에서 이리저리 끌려다니는 자녀들에게도, 그 파급 효과 때문에 사회에도, 참으로 큰 폐해를 끼친다.
2386 Fieri potest ut alter ex coniugibus victima sit innocens divortii lege civili declarati; hic tunc praeceptum morale non infringit. Notabilis est differentia inter coniugem qui cum sinceritate nisus est ut Matrimonii sacramento esset fidelis et se iniuste videt derelictum, et illum qui, gravi culpa e parte sua, canonice validum destruit Matrimonium.
2386 배우자 가운데 한 사람이 민법으로 판결이 내려진 이혼의 무고한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그 사람은 도덕적 계율을 어기는 것이 아니다. 혼인성사에 충실하고자 진정으로 노력하였으나 부당하게 버림받는 배우자와, 자신의 중대한 잘못으로 교회법상 유효한 혼인을 파기하는 배우자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139)

Aliae contra dignitatem matrimonii offensae

혼인의 존엄성에 대한 다른 죄들

2387 Tragoedia intelligitur illius qui, ad Evangelium volens converti, se perspicit obligatum ad unam vel plures repudiandas mulieres, cum quibus vitae coniugalis particeps fuit per annos. Attamen polygamia cum lege morali non concordat. Coniugali “communioni funditus polygamia adversatur: haec enim directe recusat Dei propositum, sicut ipsis initiis revelatur, quoniam pari personalique dignitati viri et mulieris repugnat, qui in matrimonio alter alteri se dant amore integro ideoque ex se unico et exclusorio”. Christianus, qui prius fuit polygamus, graviter iustitia tenetur ad obligationes relate ad suas antiquas uxores et suos filios contractas honorandas.
2387 복음을 받아들이기를 원하여, 여러 해 동안 부부 생활을 해 온 한 여자 또는 여러 여자를 버리지 않을 수 없게 되는 사람의 비극을 우리는 이해한다. 그러나 일부다처제는 도덕률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부부의 일치에 위배된다. 일부다처제는 “혼인 안에서 온전하고 그러기에 특유하며 배타적인 사랑과 함께 자신을 내어 주는 남자와 여자의 동등한 품위에 위배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계시된 하느님의 계획을 정면으로 부정한다.”(140) 전에 여러 아내를 가졌다가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은 한때 그의 부인이었던 여인들과 그의 자녀들에 대한 의무를 마땅히 지켜야 할 중대한 책임이 있다.
2388 Incestus relationes indicat intimas inter consanguineos et propinquos, in gradu qui matrimonium vetat inter illos. Sanctus Paulus huic culpae speciatim gravi inurit notam: “Omnino auditur inter vos fornicatio et talis fornicatio [...] ut uxorem patris aliquis habeat. [...] Iam iudicavi [...], in nomine Domini nostri Iesu, [...] tradere huiusmodi Satanae in interitionem carnis...” (1 Cor 5,1.3-5). Incestus relationes corrumpit familiares et ad animalitatem obsignat regressionem.
2388 근친상간은 혼인이 금지되어 있는 촌수의 친척이나 인척들 사이의 육체관계로써 이루어진다.(141) 바오로 사도는 특히 이러한 중죄를 비난한다. “여러분 가운데에서 불륜이 저질러진다는 소문이 들립니다. 이교인들에게서도 볼 수 없는 그런 불륜입니다. 곧 자기 아버지의 아내를 데리고 산다는 것입니다.……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그러한 자를 사탄에게 넘겨 그 육체는 파멸하게 하는 것입니다”(1코린 5,1.3-5). 근친상간은 가족 관계를 타락시키고 동물과 같은 삶을 살게 한다.
2389 Ad incestum referri possunt abusus sexuales ab adultis patrati in pueros et adulescentes eorum custodiae concreditos. Culpa tunc duplicatur scandaloso facinore peracto contra psychicam et moralem integritatem iuvenum, qui illo, sua vita perdurante, manebunt signati, et violatione responsabilitatis educativae.
2389 자신들의 보호에 맡겨진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에게 어른들이 저지르는 성적 악행은 근친상간과 결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의 죄는, 그 자체로, 일생을 두고 상처를 간직하게 될 젊은이의 육체와 정신 전체를 짓밟는 악행이며, 또한 교육적 책임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이유 때문에 그 죄는 배가된다.
2390 Libera iunctio habetur, cum vir et mulier recusant iuridicam et publicam dare formam relationi intimitatem sexualem implicanti.
2390 남녀가 성관계를 포함하는 자기들의 관계에 법적이고 공적인 형태를 부여하기를 거부할 경우 이는 자유 결합이다.
Locutio fallax est: quidnam potest significare iunctio in qua personae invicem non obligantur et sic defectum testantur fiduciae in alteram, in se ipsam vel in futurum“”
‘자유 결합’이라는 말은 기만적이다. 두 사람이 서로 상대에게 책임을 지지 않으려 하며, 이렇게 신뢰가 결핍된 동거가 상대나 자신이나 미래에 무슨 뜻이 있겠는가-
Locutio ad diversas extenditur condiciones: concubinatum, reiectionem matrimonii qua talis, incapacitatem se obligationibus vinculandi ad longum tempus. Omnes hae condiciones dignitatem offendunt matrimonii; ipsam familiae destruunt ideam; sensum fidelitatis debilitant. Eaedem contrariae sunt legi morali: actus sexualis locum habere debet solummodo in matrimonio; extra illud, grave semper constituit peccatum et a communione excludit sacramentali.
내연의 관계라는 이 표현에는 여러 가지의 상황이 포함된다. 축첩(蓄妾), 혼인 그 자체에 대한 거부, 장기적인 약속을 할 수 없는 무능력 등이 그러한 예이다.(142) 이러한 상황들은 모두 혼인의 존엄성을 손상시키는 것이며, 가정이라는 개념까지도 파괴하고, 신의를 약화시킨다. 이러한 상황들은 자연법에도 어긋난다. 성행위는 오로지 혼인 생활 안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 혼인 생활 외의 성행위는 언제나 중죄이며 성체를 모시지 못하게 한다.
2391 Plures hodie speciem quamdam “iuris ad experimentum” tunc postulant, cum intentio habetur matrimonium contrahendi. Quaecumque est propositi firmitas eorum qui se his praematuris vinciuntur relationibus sexualibus, “hae iunctiones non sinunt, ut sinceritas ac fidelitas mutuae necessitudinis inter viri et mulieris personas in tuto ponantur, nec praesertim ut haec necessitudo a cupiditatum et arbitrii mobilitate protegatur”. Unio carnalis moraliter est solummodo legitima, cum vitae definitivae inter virum et mulierem instaurata est communitas. Amor humanus “experimentum” non tolerat. Totale et definitivum exigit donum personarum inter se.
2391 오늘날 혼인할 의향이 있을 때 ‘실험해 볼 권리’(시험 결혼)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 이처럼 미숙한 성관계를 맺는 사람들의 결심이 아무리 단호하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결합은 남녀의 인간관계에 진실성과 성실성을 보장해 줄 수 없으며, 특히 엉뚱한 행동과 일시적 기분에서 그들을 보호해 줄 수 없다.”(143) 육체적 결합은 남녀 사이에 결정적인 생활 공동체가 형성되었을 때 비로소 도덕적으로 정당한 것이 된다. 인간의 사랑은 ‘실험’을 용납하지 않는다. 사랑은 서로 자신을 결정적으로 완전히 내어 주는 헌신을 요구한다.(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