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QUARTA ORATIO CHRISTIANA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ORATIO IN VITA CHRISTIANA CAPUT SECUNDUM ORATIONIS TRADITIO ARTICULUS 2 ORATIONIS VIA
교회 교리서

In communione cum sancta Dei Genetrice

천주의 성모님과 일치하여

2673 In oratione, Spiritus Sanctus nos cum Filii unici coniungit Persona in Eius humanitate glorificata. Per ipsam et in ipsa, nostra oratio filialis cum Matre Iesu communicat in Ecclesia.
2673 기도를 통하여 성령께서는, 영광스럽게 되신 외아들의 인성 안에서 우리를 그분의 위격과 결합시키신다. 예수님의 인성을 통하여, 예수님의 인성 안에서, 우리가 자녀로서 드리는 기도는 교회 안에서 우리를 예수님의 어머니와 일치하게 한다.(21)
2674 Post consensum Annuntiationi in fide praestitum et sine haesitatione iuxta crucem sustentum, maternitas Mariae exinde extenditur ad eius Filii fratres et sorores adhuc peregrinantes necnon in periculis et angustiis versantes. Iesus, unus mediator, est nostrae orationis via; Maria, Mater Eius Materque nostra, omnino translucens Eius imaginem reddit: ipsa “ostendit viam”(\\\), eius est “Signum” secundum iconographiam in Oriente et in Occidente traditionalem.
2674 “마리아의 모성은 주님 탄생 예고에 믿음으로 동의하시고 십자가 밑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간직하셨던 그 동의에서부터 모든 뽑힌 이들의 영원한 완성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지속된다.”(22) 유일한 중개자이신 예수님께서는 우리 기도의 길이시다. 예수님의 어머니이시며 우리의 어머니이신 마리아께서는 온전히 투명한 분으로서, 예수님의 모습을 그대로 비추어 주신다. 마리아께서는 ‘길잡이’(Hodegetria)이시며, 동방과 서방의 전통적인 성화에 따르면, 그 길의 ‘이정표’이시다.
2675 Inde ab hac singulari Mariae cooperatione actioni Spiritus Sancti, Ecclesiae ad sanctam Matrem Dei excoluerunt orationem, eam ad Personam Christi, in Eius mysteriis manifestatam, dirigentes quasi ad centrum. In innumeris hymnis et antiphonis, quibus haec exprimitur oratio, duo motus plerumque alternis vicibus succedunt: alter “magnificat” Dominum propter “magna” quae Suae humili fecit ancillae et, per eam, omnibus hominibus; alter Matri Iesu supplicationes concredit et laudes filiorum Dei, propterea quod illa nunc cognoscit humanitatem quam in illa Filius Dei ut sponsam Sibi coniunxit.
2675 마리아께서 성령께 탁월하게 협력하신 사실을 토대로,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비에서 드러난 그분의 위격에 초점을 맞추어, 천주의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를 발전시켜 왔다. 이 기도를 표현하는 수많은 찬미가와 후렴 안에는 흔히 두 가지 움직임이 번갈아 나타난다. 하나는 주님께서 당신의 비천한 여종에게, 그리고 이 여종을 통해서 모든 사람에게 해 주신 “큰일”에 대해 주님을 “찬양하는”(magnificat) 것이며,(23) 또 다른 하나는 예수님의 어머니께 하느님의 자녀들의 애원과 찬미를 맡겨 드리는 것인데, 이는 마리아께서 이제 하느님의 아들이 자신 안에서 마치 신부(新婦)처럼 취하신 그 인성을 알고 계시기 때문이다.
2676 Hic duplex motus orationis ad Mariam in oratione “Ave Maria” expressionem invenit singularem:
2676 마리아께 드리는 기도의 이 두 가지 움직임은 ‘성모송’에 탁월하게 표현되어 있다.
“Ave, Maria (Laetare, Maria)” Gabrielis Angeli salutatio orationem aperit “Ave” Deus Ipse, per Angelum Suum, Mariam salutat. Oratio nostra audet Mariae salutationem iterum sumere eo intuitu quo Deus Suam humilem respexit ancillam, et laetari de gaudio quod Ipse in ea invenit.
“마리아님, 기뻐하소서”(Ave, Maria): 가브리엘 천사의 이 인사말로 성모송은 시작된다. 천사를 통해서, 하느님께서 친히 마리아께 인사를 건네신다. 하느님께서 당신의 비천한 여종을 바라보셨던(24) 그 시선으로, 우리는 감히 마리아께 다시 인사를 드리며, 하느님께서 마리아에게서 얻으신 그 기쁨을 우리도 누리는 것이다.(25)
“Gratia plena, Dominus tecum” Duae sententiae salutationis Angeli sese mutuo illustrant. Maria est gratia plena quia Dominus est cum ea. Gratia, qua ipsa cumulatur, praesentia est Illius qui omnis gratiae est fons. “Laetare [...], filia Ierusalem! [...] Dominus Deus tuus in medio tui”(Soph 3,14.17). Maria, in quam Ipse Dominus venit ut habitet, est ipsamet filia Sion, Foederis Arca, locus in quo Domini gloria commoratur: ipsa est “tabernaculum Dei cum hominibus”(Apc 21,3). “Gratia plena ” ipsa est tota donata Ei, qui venit ut in ea habitet, et quem ipsa mundo est datura.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천사가 드린 이 두 마디의 인사말은 서로에 의해 그 뜻이 명확해진다. 주님께서 마리아와 함께 계시기 때문에 마리아께서는 은총이 가득하다. 마리아께 가득한 은총은 모든 은총의 근원이신 분의 현존이다. “환성을 올려라.……딸 예루살렘아……주 너의 하느님……네 한가운데에 계시다”(스바 3,14.17). 마리아 안에 주님께서 친히 와 계시니, 마리아께서는 바로 시온의 딸이요, 계약 궤이며, 주님의 영광이 머무는 곳이다. 마리아께서는 “사람들 가운데에 있는 하느님의 거처”(묵시 21,3)이다.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께서는 자신 안에 머무르러 오시는 분, 자신이 세상에 낳아 줄 그분께 자신을 온전히 바치신다.
“Benedicta tu in mulieribus et benedictus fructus ventris tui, Iesus” Post salutationem Angeli, illam Elisabeth nostram facimus. “ Repleta [...] Spiritu Sancto”(Lc 1,41), Elisabeth prima est in longa serie generationum quae Mariam beatam declarant: “Beata, quae credidit...”(Lc 1,45); Maria est “benedicta [...] in mulieribus” quia in verbi Domini credidit adimpletionem. Abraham, sua fide, effectus est ille in quo “benedicentur universae cognationes terrae”(Gn 12,3). Sua fide, Maria effecta est credentium Mater propter quam omnes terrae nationes accipiunt Illum qui est ipsa Dei benedictio: “benedictus fructus ventris tui, Iesus”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사의 인사말 다음에, 우리는 엘리사벳의 이 인사를 우리의 인사로 삼는다. “성령으로 가득 찬”(루카 1,41) 엘리사벳은, 마리아를 복되다고 일컫는(26) 수많은 사람들 중 첫 번째 사람이다. “행복하십니다,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루카 1,45) 마리아께서는 주님의 말씀이 꼭 이루어지리라 믿었기 때문에, “모든 여자 가운데 가장 복되시다.” 아브라함은 믿음을 통해서, “세상의 모든 종족들이 복을 받도록”(창세 12,3) 해 주는 사람이 되었다. 마리아께서는 믿음을 통해서, 믿는 이들의 어머니가 되셨고, 세상의 모든 민족은, 마리아 덕분에, 하느님의 복 그 자체이신 분을 받아 모신다.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2677 “Sancta Maria, Mater Dei, ora pro nobis...” Miramur cum Elisabeth: “Unde hoc mihi, ut veniat Mater Domini mei ad me-”(Lc 1,43). Maria, propterea quod nobis Iesum Filium suum donat, Mater est Dei et Mater nostra; ei concredere possumus omnes nostras sollicitudines nostrasque petitiones; pro nobis orat, sicut pro se ipsa oravit: “Fiat mihi secundum verbum tuum”(Lc 1,38). Nos eius orationi concredentes, cum ea voluntati Dei nos dedimus: “Fiat voluntas Tua”
2677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저희를 위하여 빌어 주소서”: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루카 1,43) 하고 외친 엘리사벳처럼, 우리도 경탄한다. 마리아께서는 당신의 아들 예수님을 우리에게 주셨기에, 천주의 성모이시며 우리 어머니이시다. 우리는 우리의 모든 근심과 청원을 그분께 맡길 수 있다. 마리아께서는 자신을 위해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카 1,38) 하고 기도하셨듯이, 우리를 위해서도 기도하신다. 마리아의 기도에 우리를 맡겨 드림으로써, 우리는 마리아와 함께 우리를 하느님의 뜻에 맡기게 된다. “주님의 뜻이 이루어지소서.”
“Ora pro nobis, peccatoribus, nunc et in hora mortis nostrae” Postulantes a Maria ut pro nobis oret, nos pauperes agnoscimus peccatores et nos convertimus ad “Matrem misericordiae” ad totam Sanctam. Nos ei tradimus “nunc” in die hodierna nostrae vitae. Atque nostra fiducia extenditur ut ei dedamus iam nunc “horam mortis nostrae” Adsit ipsa tunc, sicut morti adfuit Filii sui in cruce, et in hora nostri transitus nos accipiat sicut Mater nostra ut nos ad Filium ducat suum, in paradisum.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 주소서”: 우리는 마리아께 우리를 위하여 기도해 주시기를 청함으로써, 우리가 가난하고 불쌍한 죄인임을 깨달으며, 또한 온전히 거룩하신 분, “자비의 어머니”께 호소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바로 ‘지금’, 우리는 우리 자신을 마리아께 맡겨 드린다. 그리고 우리의 신뢰심을 더욱 넓혀, 이제부터는 ‘우리 죽을 때’를 그분께 맡긴다. 당신 아들이 십자가에서 돌아가실 때처럼, 마리아께서는 우리가 죽을 때도 함께 계셔 주실 것이며, 우리가 저세상으로 건너가는 시간에 우리의 어머니로서(27) 우리를 맞아들여, 천국에 계신 당신의 아들 예수님께 우리를 인도해 주실 것이다.
2678 Mediaevalis pietas Occidentis orationem excoluit Rosarii, tamquam popularem orationis Horarum substitutionem. In Oriente, forma litanica, sicut \\\ et \\\, propinquior permansit officio chorali in Ecclesiis Byzantinis, dum Armena, Copta et Syriaca traditiones, hymnos praetulerunt et cantica popularia in Matrem Dei. Sed Ave Maria, \\\, hymni sancti Ephraem vel sancti Gregorii a Narek traditionem orationis conservant fundamentaliter eamdem.
2678 중세 서방 교회의 신심은, 대중이 성무일도 대신에 드리는 기도로서 ‘묵주 기도’를 발전시켰다. 동방의 경우, 비잔틴 교회에는 성모 찬미가(Akathistos)와 성모께 위로를 구하는 성모 청원 기도(Paraclesis)라고 하는 연도(連禱) 형태가 노래 성무일도로 남아 있다. 반면에, 아람, 콥트, 시리아의 전통은 천주의 성모에 대한 대중적인 찬미가와 찬가를 더 선호해 왔다. 그러나 성모송, 성모 찬미가(theotokia), 에프렘 성인이나 나렉의 그레고리오 성인의 찬가에서 기도의 전통은 지금까지도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2679 Maria est mulier orans perfecta, figura Ecclesiae. Cum oramus eam, cum ea consilio Patris adhaeremus, qui Suum mittit Filium ad omnes salvandos homines. Sicut discipulus dilectus, eam accipimus in nostra, Matrem Iesu, Matrem omnium viventium effectam. Orare cum ea eamque possumus orare. Oratio Ecclesiae quasi ab oratione fertur Mariae. Eadem est cum Ipso coniuncta in spe.
2679 마리아께서는 완벽한 기도자, 교회의 표상이시다. 우리가 마리아께 기도하는 것은, 모든 인류를 구원하시려고 당신 아들을 보내신 성부의 계획에 마리아와 함께 동의하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사랑하셨던 제자가 그랬듯이, 우리도 살아 있는 모든 이의 어머니가 되신 분, 예수님의 어머니를 모시어,(28) 마리아와 함께 기도할 수 있고, 나아가서 마리아께 기도할 수도 있다. 마리아의 기도는 교회의 기도를 떠받쳐 주는 것이며, 교회의 기도는 희망 안에서 마리아의 기도와 일치한다.(29)

Compendium

간추림

2680 Oratio praesertim ad Patrem dirigitur; eadem etiam in Iesum fertur, speciatim per Eius sancti Nominis invocationem: “Iesu, Christe, Fili Dei, Domine, miserere nobis, peccatoribus!”
2680 기도는 주로 성부께 드리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또한 기도는 특히 예수님의 ‘거룩한 이름’을 부름으로써 예수님께 바친다. “하느님의 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님, 저희 죄인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2681 “Nemo potest dicere: "Dominus Iesus", nisi in Spiritu Sancto”(1 Cor 12,3). Ecclesia nos invitat ad Spiritum Sanctum invocandum tamquam interiorem orationis christianae Magistrum.
2681 “성령에 힘입지 않고서는 아무도 ‘예수님은 주님이시다.’ 할 수 없습니다”(1코린 12,3). 교회는 우리에게 그리스도교 기도의 내적 스승이신 성령께 기도할 것을 권유한다.
2682 Ecclesiae libet in communione cum beata Virgine orare propter eius singularem cooperationem cum actione Spiritus Sancti, ad magna magnificanda, quae Deus in ea operatus est, et ad ei supplicationes concredendas et laudes.
2682 성령의 활동에 대한 동정 마리아의 탁월한 협력으로, 교회는 마리아와 함께, 하느님께서 마리아 안에서 이룩하신 큰일들을 찬양하며, 또한 마리아께 애원과 찬양을 드리기 위해서 즐겨 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