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QUARTA ORATIO CHRISTIANA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ORATIO DOMINICA: “PATER NOSTER” ARTICULUS 3 SEPTEM PETITIONES
교회 교리서

IV. Panem nostrum cotidianum da nobis hodie

IV.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2828 “Da nobis” pulchra haec est fiducia filiorum qui omnia a suo exspectant Patre: “Solem Suum oriri facit super malos et bonos et pluit super iustos et iniustos”(Mt 5,45) et omnibus viventibus dat “escam in tempore suo”(Ps 104,27). Iesus nos hanc docet petitionem: eadem revera nostrum glorificat Patrem, quia agnoscit quantopere Ille, ultra omnem bonitatem, sit bonus.
2828 “저희에게 주소서.” 이 말은 자기 아버지께 모든 것을 기대하는 자녀들의 아름다운 신뢰이다. “아버지께서는 악인에게나 선인에게나 당신의 해가 떠오르게 하시고, 의로운 이에게나 불의한 이에게나 비를 내려 주신다”(마태 5,45). 모든 생물에게 “제때에 먹이를”(시편 104[103],27) 주신다. 예수님께서는 이 청원을 드리라고 우리에게 가르쳐 주신다. 실로 이 청원을 드리는 사람은, 아버지께서 모든 선을 초월하여 더없이 선한 분이심을 깨달은 사람이기에, 우리 아버지께 찬양을 드리는 것이다.
2829 “Da nobis” est etiam Foederis expressio: Eius sumus et Ipse est noster, pro nobis. Sed hoc verbum “nos” Eum etiam tamquam Patrem agnoscit omnium hominum et Eum pro eis omnibus precamur, in solidarietate cum eorum necessitatibus eorumque doloribus.
2829 “저희에게 주소서.”라는 청원은 또한 계약의 표현이기도 하다. 우리는 아버지의 것이고, 아버지는 ─ 우리를 위한 ─ 우리의 아버지이시다. 그러나 이 ‘우리’(저희)라는 말은 또한 그분을 모든 사람의 아버지로 인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결핍을 느끼고 고통을 겪는 사람들과 이루는 연대에서, 그들 모두를 위하여 아버지께 기도드리는 것이다.
2830 “Panem nostrum” Pater, qui nobis dat vitam, nequit nobis nutrimentum ad vitam non dare necessarium, omnia bona “convenientia” materialia et spiritualia. In sermone montano, Iesus hanc filialem urget fiduciam quae Patris nostri cooperatur providentiae. Ipse ad passivitatem nequaquam nos inducit, sed vult nos ab omni anxia liberare inquietudine et ab omni sollicitudine. Talis est filialis deditio filiorum Dei:
2830 “저희의 양식.” 우리에게 생명을 주신 아버지께서 삶에 필요한 양식과, 물질적이고 영적인 ‘합당한’ 모든 재화를 주시지 않을 수 있겠는가. 예수님께서는 산상 설교에서 우리 아버지의 섭리에 협력하는 이 자녀다운 신뢰를 강조하셨다.(97)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수동적으로 만드시는 것이 아니라,(98) 오히려 온갖 불안과 걱정에서 우리를 해방시키고자 하신다. 그리고 이것이 하느님의 자녀들이 자녀답게 의탁하는 일이다.
“Quaerentibus Regnum et iustitiam Dei omnia promittit apponi: nam cum Dei sint omnia, habenti Deum nihil deerit, si Deo ipse non desit”
하느님 나라와 하느님의 정의를 찾는 사람들에게 하느님께서는 모든 것을 곁들여 주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 과연 모든 것은 하느님의 것이니, 하느님을 모시고 있는 사람에게는, 그 자신이 하느님을 버리지 않는다면, 아무것도 부족할 것이 없습니다.(99)
2831 Sed praesentia eorum, qui panis inopia esuriunt, aliam huius petitionis revelat profunditatem. Drama famis in mundo vocat christianos, qui in veritate orant, ad efficacem responsabilitatem erga eorum fratres, tam in eorum personalibus agendi modis quam in eorum solidarietate cum humana familia. Haec Orationis Domini petitio separari nequit a parabolis pauperis Lazari et Iudicii ultimi.
2831 그러나 양식이 없어서 굶주리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은 이 청원의 또 다른 깊은 의미를 일깨워 준다. 세상에 굶주림의 비극이 있다는 것은, 진실한 마음으로 기도하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개인적인 처신에서나 인류 가족인 그들과의 연대에서나, 자기 형제들에 대한 실질적 책임을 다하라고 호소하는 것이다. 주님의 기도에 나오는 이 청원은 거지 라자로의(100) 비유나 최후의 심판의(101) 비유와 뗄 수 없다.
2832 Sicut fermentum in massa, Regni novitas terram debet Spiritu Christi perfundere. Hoc manifestari debet iustitiae instauratione in relationibus personalibus et socialibus, oeconomicis et internationalibus, quin oblivioni mandetur structuram iustam non haberi sine hominibus qui iusti esse velint.
2832 반죽 속의 누룩과 같이, 하늘 나라의 새로움은 그리스도의 성령으로 이 세상을 ‘부풀어 오르게’ 해야 한다.(102) 이는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국제적 관계 안에서 정의를 확립함으로써 드러나야 하며, 올바르게 살기를 원하는 사람들 없이는 올바른 사회 구조란 있을 수 없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2833 De pane agitur “nostro” de “uno” pro “pluribus” Beatitudinum paupertas virtus est communicationis: eadem vocat ad bona materialia et spiritualia communicanda et dividenda, non coactione, sed amore, ut aliorum abundantia necessitatibus aliorum sit remedium.
2833 여기서 말하는 ‘우리’의 빵은 ‘여럿’을 위한 ‘하나’인 빵이다. 참행복에 언급된 가난은 나눔의 덕이다. 이 자발적 가난은 강요가 아니라 사랑으로 물질적 정신적 재물을 공유하고 나누어, 가진 사람들이 궁핍한 사람들을 도와줄 것을 요구한다.(103)
2834 “Ora et labora” “Sic orate ac si totum a Deo dependeret, et sic laborate ac si totum dependeret a vobis” Post nostrum peractum laborem, nutrimentum permanet donum Patris nostri; bonum est id ab Illo postulare, Eidem de hoc gratias agere. Hic in familia christiana sensus est benedictionis ad mensam.
2834 “기도하고 일하여라.”(“Ora et labora.”)(104) “모든 것이 하느님께 달려 있는 것처럼 기도하고, 모든 것이 그대들에게 달려 있는 것처럼 일하여라.”(105) 우리가 일을 하였어도, 양식은 여전히 우리 아버지께서 주시는 선물이다. 아버지께 양식을 청하고 감사를 드리는 것은 좋은 일이다. 이것이 그리스도인의 가정에서 드리는 식사 전 기도의 의미이다.
2835 Haec petitio et responsabilitas quam eadem secumfert, etiam de alia valent fame, qua homines pereunt: “Non in pane solo vivet homo, sed in omni verbo, quod procedit de ore Dei”(Mt 4,4), id est, in Eius Verbo et Eius Spiritu. Christiani omnes suos conatus impellere debent ut “pauperes evangelizentur” Sunt qui famem habent in terra, “non famem panis neque sitim aquae, sed audiendi Verbum Domini”(Am 8,11). Hac de causa, sensus specifice christianus huius quartae petitionis ad Panem vitae refertur: Verbum Dei fide accipiendum, corpus Christi in Eucharistia receptum.
2835 이 청원과 이 청원이 부과하는 책임은, 사람들이 겪는 또 다른 굶주림에도 해당된다. “사람은 빵만으로 살지 않고, 하느님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산다”(마태 4,4).(106) 곧, 사람은 하느님의 말씀과 하느님의 숨결(성령)로 사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모든 노력을 다해 “가난한 이들에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 땅 위에서는 “양식이 없어 굶주리는 것이 아니고, 물이 없어 목마른 것이 아니라, 주님의 말씀을 듣지 못하여 굶주리는 것이다”(아모 8,11). 그렇기 때문에 이 네 번째 청원의 특별한 그리스도교적 의미는 생명의 빵, 곧 신앙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하느님의 말씀과 성찬으로 받아 모시는 그리스도의 몸과 관련된다.(107)
2836 “Hodie”est etiam fiduciae locutio. Dominus eam nos docet; nostra praesumptio eam invenire non poterat. Siquidem praesertim de Eius agitur Verbo et de corpore Filii Eius, hoc “hodie”non solum est illud nostri mortalis temporis: est “Hodie” Dei:
2836 “오늘”이라는 말은 신뢰심을 표현한다. 교만한 우리는 이 말을 생각해 낼 수 없었기에 주님께서 우리에게 그것을 가르쳐 주신다.(108) 특히 이 말은 하느님의 말씀과 그분 아들의 몸에 관계된 것인 만큼, 이 ‘오늘’은 우리의 현세적 오늘뿐 아니라 하느님의 ‘오늘’인 것이다.
“Cotidie si accipis, cotidie tibi hodie est. Si tibi hodie est Christus, tibi cotidie resurgit. Quomodo- "Filius meus es tu, ego hodie genui te" (Ps 2,7). Hodie ergo est, quando Christus resurgit”
그대가 매일 빵을 받으면, 그대에게는 매일이 오늘입니다. 만일 그대가 오늘 그리스도를 모신다면, 그분은 날마다 그대를 위해 부활하시는 것입니다. 어떻게 그렇게 되는 것이겠습니까- “너는 내 아들. 내가 오늘 너를 낳았노라”(시편 2,7). 오늘은 말하자면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시는 때입니다.(109)
2837 “Cotidianum” Novum Testamentum alias hoc verbo \\\ non utitur. Id, sensu temporali sumptum, paedagogica est repetitio illius “hodie” ad nos confirmandos in fiducia “sine exceptione” Sensu qualitativo sumptum, significat id quod ad vitam necessarium est, et largius omne bonum sufficiens ad subsistendum. Ad litteram sumptum (\\\: super-substantiale”), directe indicat Panem vitae, corpus Christi, “ pharmacum immortalitatis” sine quo vitam in nobis non habemus. Tandem, si cum verbo praecedenti coniungatur, sensus caelestis est evidens: “dies” de quo ibi agitur, est ille Domini, ille Convivii Regni, anticipati in Eucharistia quae iam praegustatio est Regni venturi. Hac de causa, oportet liturgiam eucharisticam “cotidie ” celebrari.
2837 “일용할”(epiousios)이라는 낱말은 신약 성경에서 여기서만 쓰인다. 시간적인 의미에서 이 말은 우리의 ‘온전한’ 신뢰를 굳게 하기 위해 ‘오늘’이라는 낱말을 교육적으로 반복한 것이다.(110) 질적인 의미에서는, 생명에 필요한 것을, 더 넓은 의미로는 살아가는 데 충분한 모든 재물을 가리킨다.(111) 글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이 낱말은(epi-ousios; “반드시 필요한”), 그것 없이는 우리 안에 생명이 있을 수 없는, “불사불멸의 약”(112) 인 생명의 빵, 그리스도의 몸을 직접적으로 가리킨다.(113) 끝으로, 이러한 의미들과 관련된 이 말의 천상적 의미는 명백하다. 곧, ‘이날’은 주님의 날, 성찬으로써 미리 참여하는 하늘 나라의 잔칫날이다. 성찬은 다가오는 하늘 나라를 앞당겨 누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찬의 전례는 마땅히 ‘날마다’ 거행되어야 한다.
“Ergo Eucharistia panis noster cotidianus est [...]. Virtus enim ipsa quae ibi intelligitur, unitas est, ut redacti in corpus Eius, effecti membra Eius, simus quod accipimus. [...] Et quod in Ecclesia lectiones cotidie auditis, panis cotidianus est: et quod hymnos auditis et dicitis, panis cotidianus est. Haec enim sunt necessaria peregrinationi nostrae”
성체는 우리의 일용(日用)할 양식입니다. 하느님께서 주시는 이 양식의 고유한 효험은 일치를 이루게 하는 힘입니다. 성체는 우리를 주님의 몸에 결합시켜서, 우리를 우리가 받아 모시는 당신 몸, 그 몸의 지체가 되게 합니다.……그런데 여러분이 날마다 교회에서 듣는 독서도 일용할 양식이며, 여러분이 듣고 노래하는 찬미가도 일용할 양식입니다. 이 모든 것이 우리의 지상 나그넷길에 필요한 것들입니다.(114)
Pater de caelo nos hortatur ut, sicut filii de caelo, Panem de caelo petamus. Christus “Ipse est panis qui est satus in Virgine, fermentatus in carne, in passione confectus, fornace coctus sepulcri, in ecclesiis conditus, inlatus altaribus caelestem cibum cotidie fidelibus subministrat”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는 우리에게 하늘의 자녀로서 하늘의 빵을 청하도록 촉구하신다.(115) 그리스도께서는 “친히 동정녀 안에 뿌려져, 육체 안에서 부풀어 오르고, 수난으로 반죽이 되고, 무덤의 화로에서 구워져, 교회 안에 저장되고 제대로 옮겨져서, 날마다 신자들에게 제공되는 천상 양식인, 빵이십니다.”(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