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가톨릭대사전 (총 32개 검색)

조상제사문제 (祖上祭祀問題)
...한국, 중국, 일본 등 유교문화권의 극동지방 선교는 큰 타격을 받게 되었다. 교황청이 이런 금령을 내린 데는 여러 요인이 있었으나 선교정책에 있어 토착화보다는 신앙의 통일성을 중시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였다. 그 후 약 200년간 이 금령은 엄격히 준수되어 오다가 20세기에 들어와 시대의 변천과 교황의 선교정책의 변화에 ... 교황청 (敎皇廳) [라]Curia Romana [영]Roman Curia
교황청은 흔히 바티칸이라고도 불린다. 바티칸은 베드로 사도가 순교한 로마의 한 언덕의 이름에서 유래되어, 지금은 그곳에 베드로 성전이 자리 잡고 있으며 교황님이 머무르시고 계신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바티칸은 사도좌(使徒座), 또는 성좌(聖座)라 불리는 전세계 교회의 최상 사목자인 교황 자신과 그를 보필하는 기구를 뜻하기... 조선교구 (朝鮮敎區) [라]Vicariatus Apostolicus Coreae
...1874년에 파리에서 출판됨으로써 가혹한 박해 속에서도 살아남은 한국 교회의 모습이 전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한국 교회는 1880년대 전반기부터 어느 정도 신앙의 자유 얻게 되었다. 이 때 7대 교구장으로 임명된 블랑(Blanc, 白圭三) 주교는 종현성당의 터를 잡아 성당 건립의 기초를 마련하는 등 한국 교회 재건에 ... 교부 (敎父) [라]Pater Ecclesiae [영]Father of the Church
...도들의 설교 내용과 다른 교부들의 전통이 아니라, 사도들의 설교내용을 가르치고 증거한다는 의미에서 교부들은 교리에 밝은 학자들뿐 아니라 사도들로부터 전해 받은 신앙의 증거자로 여겨지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교리가 등장헸을 때 그것이 교부들의 가르침인지 비교해 보았고 이에 위배(違背)되는 사항이 있으면 배척되는 이유가 되... 교회법 (敎會法) [라]ius canonicum [영]canon law
...이는 사회의 범규범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신약의 그리스도 교회는 이와 대칭되는 새로운 믿음의 규범이란 의미로 카논이란 말을 사용하게 되었다. 바울로 사도는 신앙의 법칙을 말씀하시며(갈라 6:16), 걸어온 관습의 원칙이란 말씀을(필립 3:16) 카논이라 쓰고 계신다. 이에 따라서 그리스도 교회는 새로운 그들의 믿음의 ... 불교 (佛敎)
... 이차돈(異次頓)의 순교가 있은 후 왕과 대신들 사이에서 불교수용의 일치된 결의가 생겼다. 불교는 가장 민주적 방식으로 신라에서 공인되고 그후 가장 착실한 불교신앙의 발전이 이뤄진다. 결국 불교는 신라의 국력 배양의 원동력이 되었고 신라문화의 근간이 되어 삼국통일을 달성케 하고, 나아가 한민족의 전통문화의 근간이 되게 ... 토미즘 [영]Thomism
...학(光學)에 있어서 그 원리들이 다른 상위의 학문(예컨대 수학)에 의하여 뒷받침되고 있듯이 신학도 신과 성인들의 지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식속에 있는 신앙의 명제들은 확실한 진리인 것이다. 계시는 객관적으로 이러한 의존관계를 중개해 주고 있다(제2항). 계시는 어느 내용이 신학적으로 취급될 수 있고 신학이 하나... 토비트서 (∼書) [라]Liber Tobiae [영]Book of Tobit
제2경전에 속하는 토비트서는 유대문학의 보배로운 작품들 중의 하나이다. 당시 고대 근동지방에 널리 유포되어 있던 지혜문학 전승을 이어받음과 동시에 성서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아 저술된 토비트서는 유배시대 이후 수세기에 걸쳐 전개된 유태교의 인간적이면 종교적인 활발한 움직임을 잘 보여 주고 있기 때문이다. 190년경의 집회... 교부철학 (敎父哲學) [영]patristic philosophy [독]patristische Philosophie
... 그리스도교 사상은 하나의 총합적인 세계관으로서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기초 위에서 중세의 그리스도교 신학의 체계가 확립되기에 이르렀다. 초기 교회의 신자들은 신앙의 지식과 세상의 지식을 구별하여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려 하였으나 이교적인 철학적 사변의 도전을 받으면서 진리옹호와 변증이 불가피한 사실로 나타났다.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철학 (~敎哲學)
...교 철학은 아우구스티노(Augustinus)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초기의 그리스도교 철학(=교부철학)은 플라토니즘, 네오 플라토니즘을 그리스도교적 신앙의 재보에 융화시키려는 노력과 함께 발전한 것이다. 초기의 그리스도교 철학은 체계적인 통일을 이루고 있지는 않지만, 철학사적으로 볼 때 스콜라철학과 신학(神學)...
맨 처음이전 1 2 3 4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