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전례사전
(총 97개 검색)
성모 성월
(聖母 聖月) [영]May, Month of Mary
...도들의 신심이 특히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 향하는 달이다. 오월은 온 세상 어디에서나 가톨릭 신도들이 하늘의 모후께 신앙과 사랑을 바치는 달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성모 성월에 성당에서나 가정에서나 기도와 경의로써 마음으로부터 성모님께 열정과 사랑을 드린다. 오월에는 성모님을 통해 하느님의 자비가 우리에게 풍성히 내려온다(바오...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영]Solemnity of Mary, Mother of God
...방인들의 관습을 상쇄하는 기도의 날이었다. 이날 이교적인 많은 방탕한 축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5세기부터 중세 때까지 복되신 동정 마리아와 마리아께서 천주의 성모이심을 공경하였다. 그러다가 예수 성탄 대축일 팔일 축제를 지켰고 이 축일은 주님의 할례 축일로 발전하였다. 1961-1969년 사이에 주님의 할례 축일은 다시...
성모송
(聖母頌) [영]Hail Mary
잘 알려져 있는 성모송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때 가브리엘 대천사가 칭송한 말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 때 엘리사벳이 한 인사 그리고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으로 시작하는 후반부는 중세의 카르투지오 수도회의 「성무일도서」에서 따온 말이다. 초세기에 첫 두 인사는 봉헌 기도와 성무일도...
성모 찬송가
(聖母 讚頌歌) [영]Final Antiphons of Our Lady
시간전례에서 밤 기도 끝에 마리아를 공경하는 네 개의 대 찬송가들을 낭송하거나 노래하였다. 시간전례가 공표되기까지 이들 각 찬송가는 특정한 전례 시기를 위해 분류되어 있었다. 지금은 성무일도를 기도하는 모든 이들이 아무 때나 이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11세기나 12세기부터 유래하는 이 찬송가들의 저자는...
성모 승천 대축일
(聖母 昇天 大祝日) [영]Assumption of Mary
...상과 같은 사실에도 불구하고 마리아께서는 당신 아드님처럼 죽음을 받아들이셨다. 그러나 그녀의 육체는 썩지 않은 채 당신 아드님의 육체적 영광에 참여하게 되셨다.성모 승천 대축일을 기해 교회는 마리아께서 구원에서 차지하시는 역할에 대해 정당한 공경을 드리도록 할 뿐 아니라 값진 진리를 일깨워 준다. 마리아의 모성이 당신 아...
성모 대성전 봉헌 축일
(聖母 大聖殿 奉獻 祝日) [영]Dedication of St. Mary Major
[참조] : 복되신 동정 마리아 - 축일(Mary, Blessed Virgin - Feasts)
성모, 과달루페의
[영]Our Lady of Guadalupe
...서 멕시코시티 근교에 있는 테페약 언덕 위에서 후안 디에고에게 발현하시어 당신을 위해 거기에 성당을 지으라고 말씀하셨다. 주교가 표지를 제시하라고 요구했을 때 성모님은 후안에게 아직 꽃이 피지 않은 장미를 좀 꺾어 주교에게 갖다 주라고 말씀하셨다. 그가 만토를 펼쳤을 때 거기에는 하느님의 모친상이 기적적으로 새겨져 있었고...
성모의 찬가
(聖母~ 讚歌) [영]Canticle of Our Lady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노래가 마리아의 찬가라고 생각하지만 엘리사벳의 찬가로 여기는 학자들도 있다. 매일 저녁 기도 때 노래하거나 낭송하는 이 노래는 루가 복음(1,46-55)에서 따온 것으로 라틴어의 첫 단어에 따라 아직도 ‘마니피캇’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노래는 한나의 찬가(1사무 2,1-10)와 아주 유사하며 구...
성모 마리아의 죽음과 승천
[영]Dormition of the Virgin
Dormition은 ‘잠을 자다’(dormir)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용어이며 성모 마리아께서 죽으신 뒤에 하늘로 승천하신 것을 가리킨다. 전례에서는 이미 5세기부터 예루살렘에서 8월 15일에 성모 마리아의 ‘안식’ 축일을 지내 왔다. 6세기에는 동방 제국 전체에서 8월 15일에 성모 마리아의 죽음과 승천 축일을 지...
성모 소일과
(聖母 小日課) [영]Little Office of the Blessed Virgin
복되신 동정 마리아를 공경하기 위하여 외는 소시간경 전례서를 가리킨다. 성모 소일과는 사제들, 봉쇄 수녀들, 서원한 수도자들이 의무적으로 바쳐야 하는 성무일도에 비해 아주 짧으면서도 차별화된 기도이다. 일곱 개의 시간경으로 되어 있으며 시편이 날마다 바뀌지 않는다. 11세기에 개인 신심에서 비롯된 성모 소일과가 한때는 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