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용어사전 (총 44개 검색)

교회 일치 운동 (敎會一致運動)
...4년 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공식화된 이 운동은 언어, 의식, 지역적 특권, 정신적 조류, 법 조직, 선호되는 활동 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교회의 지속적인 내적 쇄신과 개혁을 위해서는 먼저 분열된 다른 그리스도교와도 화해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로마 가톨릭에서 분리된 그리스 정교, 개신교... 미사 해설 (~解說)
... 위해서이다. 그리고 사제는 제단에 허리를 굽혀 인사를 하는데(예전에는 聖石에 입맞춤), 이는 돌(石)제단이 머릿돌이시며 사막에서 갈증을 풀어 준 바위이시고, 교회의 주춧돌이신 그리스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2) 인사 :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는 유다인의 인사로, 언제나 야훼와 함께 한다는 뜻이다(판관 6,12; 루... 고해 성사 (告解聖事)
1. 의의 : 고해 성사란 칠성사 중 하나로, 세례 성사를 받은 신자로 하여금 세례 받은 이후의 죄에 대하여 하느님께 용서를 받으며, 교회와 화해하도록 하는 성사이다. 그런데 그리스도만이 세상의 죄를 용서할 권한을 갖고 있기에, 그분을 대신해서 교회의 대표인 사제가 죄를 뉘우치고 고백하는 자를 용서한다. 2. 제정 : ... 견진 성사 (堅振聖事)
... 친절이요 동정이며, 고요한 기도 중의 열렬한 마음이고 양심의 희열이다. 그런데 오늘날 성령의 일상적인 은혜 중 신령한 언어(方言), 예언, 치유 등은 초대 교회보다 드물다. 이는 종교적 관습의 차이나 혹은 교회 기초를 놓는 데 필요했던 것들이 완성되어 가면서, 초대 교회 때보다 그 필요성이 줄어든 탓으로 보여진다. 그... 성주간 (聖週間)
 [참조] : 성주간 예절 및 준비
...그래서 성주간 동안 신자들은 그리스도 생애의 마지막에 일어난 사건을 되새기며, 그 안에서 예수님이 세상을 성부와 화해시킨 파스카의 신비를 경축하고 재현한다. 교회가 이를 교회법에 명시한 것은 5~6세기경이다. 그리고 중세기에는 여러 의식이 도입되었다. 1955년 교황 비오 12세는 고대와 중세 교회 때의 전례(파스카 3...
기도 (祈禱)
 [참조] : 기도서 예식서 전례서
...주님의 말씀을 깊이 생각하면서 자신을 반성하고 주님과 대화하며, 감사하고 새로운 결심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이때의 묵상 자료는 대자연, 성서, 신심 서적, 교회의 가르침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신비적(神秘的) 기도가 있는데, 이는 우리가 의식적으로 깨닫고 있든 없든, 우리의 모든 생활에 하느님께서 침투하시는 분위기이며...
공의회 (公議會)
...회는 교황의 승인하에 세계 모든 주교가 소집되는 회의이다. 이는 성령의 특별한 은총에 힘입어 신앙과 도덕에 관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식적인 온 세상 교회의 회의이다. 최초의 공의회는 서기 50년경 예루살렘에서 개최된 사도 회의(使徒會議)이다(사도 15,1-29). 그리고 2, 3세기 박해 시대에는 지역별로 주... 성령 (聖靈) [라]Spiritus Sanctus
 [참조] : 견진 성사
...주신다. 또한 성령은 회개하는 자를 돕고 하느님 생명의 새로운 원리가 되어, 그 안에 거처하신다. 뿐만 아니라 시간 안에 들어오시어 인간 사이에 거처하시고, 교회와 더불어 존재하시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인간 구원의 사명을 수행하신다. → 삼위 일체 2. 성서의 성령 : 구약에는 독립된 체(體)로서의 성령에 대해서는 말이...
성탄 시기 (聖誕時期)
...가 바로 서기 1년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헤로데가 로마 건국 750년에 병사하였기에 디오니시오는 탄생 연도를 최소한 4년 늦게 산정한 셈이다. 한편 로마 교회는 336년 이래 12월 25일을 성탄 축일(聖誕祝日)로 지내 왔다. 274년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왕국의 일치를 공고히 할 목적으로, 동지인 12월 25일에 ... 병자 성사 (病者聖事)
 [참조] : 병자 영성체
... 하고 위로를 주는 성사이다(1베드 5,10). 병자 성사는 야고보서(5,14)에 근거한다. 따라서 분명 그리스도께서 세우신 것이다. 그리고 이 성사는 초대 교회 때부터 인정해 왔으며, 3세기 오리게네스나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뿐만 아니라, 동방 교회에서도 이 성사를 행해 왔다. 2. 은총 : 특히 이는 성화 은총을 더...
맨 처음이전 1 2 3 4 5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