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천주교용어자료집 (총 59개 검색)

판공성사 (判功聖事) [라]confessio annua [영]annual confession
모든 신자가 부활 대축일과 성탄 대축일을 앞두고 의무적으로 받는 고해성사. 공로[功]를 헤아려 판단[判]한다는 뜻이다. 판공성사 제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다. 성사 (聖事) [라]Sacramentum [영]Sacrament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 은총을 보고 느낄 수 있도록 감각적, 상징적으로 표현한 거룩한 표지. 성사의 은총으로 사람은 거룩하게 되고 하느님을 공경하며 사랑을 실천하게 된다. 가톨릭 교회의 성사에는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성품성사, 병자성사 등 일곱 가지가 있다. 고해성사 (告解聖事) [라]Sacramentum Poenitentiae, riconciliationis et confessionis [영]Sacrament of Penance, sacramental confession, Sacrament of Reconciliation
 [참조] : 보속
가톨릭 교회의 일곱 성사 가운데 하나. 세례성사를 받은 신자가 세례 이후 지은 죄에 대해 하느님께 용서받으며 교회와 화해하게 하는 성사이다. 죄를 통회하고 고백한 신자는 사제를 통해 하느님께 죄 사함(사죄)의 은총을 입고 사제가 정해 준 보속을 이행함으로써 죄를 보상하거나 속죄하게 된다.
세례성사 (洗禮聖事) [라]Sacramentum Baptismatis [영]Sacrament of Baptism
가톨릭 교회의 일곱 성사 가운데 가장 먼저 받는 그리스도교 입문 성사. “세례성사는 그리스도교 생활 전체의 기초이며… 다른 성사들로 가는 길을 여는 문이다. 우리는 세례를 통하여 죄에서 해방되어 하느님의 자녀로 다시 태어나며, … 교회안에서 한 몸을 이루어 그 사명에 참여하게 된다. 세례는 물로써 그리고 말씀으로 다시 ... 성체성사 (聖體聖事) [라]Sacramentum Eucharistiae [영]Sacrament of Eucharist
 [참조] : 성체 성혈 영성체
가톨릭 교회의 일곱 성사 가운데 하나. 사제가 최후의 만찬 때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그대로 반복함으로써 빵과 포도주가 예수님의 몸과 피로 축성되어 성체성사가 이루어진다. 교회는 미사에서 성체성사가 거행될 때, 축성된 빵과 포도주의 외적 형태는 그대로 남아 있지만, 그 실체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인 성체와 성혈로 변화된...
영세 (領洗)
 [참조] : 세례성사
세례를 받음. 한국 천주교 초기부터 사용해 온 말이다. 신자가 세례 받는 일을 가리킬 때는 ‘영세 받다’가 아닌 ‘영세하다’로 써야 한다.
성사 (準聖事) [라]sacramentalia [영]sacramental
교회가 영적인 도움을 얻기 위해 일곱 가지 성사에 준하여 제정한 의식.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축성, 축복, 구마(마귀 쫓음) 등이 이에 속한다. 준성사에는 언제나 기도가 포함되며, 흔히 안수, 십자 성호, 성수 뿌림 같은 일정한 표징이 따른다. 혼인성사 (婚姻聖事) [라]sacramentum matrimonii [영]Sacrament of Matrimony
가톨릭 교회의 일곱 성사 가운데 하나. 세례 받은 남녀 신자가 주례 사제와 두 증인 앞에서 한평생 부부로 함께 살아갈 것을 하느님께 서약하는 성사. 교회는 남편과 아내의 관계를 유일하고(단일성) 영원히 풀 수 없는(불가해소성) 것으로 보며 이에 따라 혼인을 거룩한 종교적 행위로 본다. 성체 (聖體) [라]Corpus Christi [영]Body of Christ
 [참조] : 성체성사
예수님의 몸. 축성된 빵의 형상을 띠고 실제적으로, 본질적으로 현존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일컫는다. 미사 때 성체를 받아 모시는 행위를 영성체라 한다.
부제 (副祭) [라]diaconus [영]deacon
 [참조] : 성품성사
성품성사의 세 품계(주교품, 사제품, 부제품) 중 가장 낮은 품계의 가톨릭 성직자. 주교의 협력자이며 사제를 도와 세례 및 혼인 성사를 집전하고 강론, 장례 예절, 성체 분배 등을 할 수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교회는 사제직을 준비하는 일시적 부제뿐 아니라 초대 교회의 임무를 염두에 둔 종신 부제 제...
맨 처음이전 1 2 3 4 5 6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