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무속신앙◆ 인쇄

한자 巫俗信仰

   무속신앙은 일반적으로 동북아시아 일대에 퍼져 있는 종교현상의 하나이다. 사제(司祭)인 샤먼(shaman)과, 그에 의하여 집전되는 제의(祭儀)와, 그 제의를 요청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지는 이 무속신앙은 특히 사제제의 참여자들의 탈자적 경험(ecstasy)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탈자적 경험은 초월적인 존재나 효과의 합일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그 합일을 통하여 터득되는 새로운 인식과 정서적 안정, 그리고 현실적인 기대의 충족 등으로 살아간다. 우리나라에 무속신앙이 자리 잡은 역사기원을 분명하게 고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무속신앙이 우리 민족의 고유한 종교적 심성을 결정한 근원적인 종교경험이었으리라는 사실은 여러 측면에서 확인되고 있다. 역사적 사료에서 나타난 고대 제의의 제반 특성에 무속신앙이라고 유추되어질 수 있다는 점, 민족지적(民族誌的) 발견들에 의하면 현존하는 무속신앙이 아득한 연원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는 것들이 그 예일 수 있다. 따라서 무속신앙은 첫째 한국인의 본래적인 종교경험이고, 둘째 그렇기 때문에 무속신앙은 한국인의 종교심성을 결정하는 기층종교라고 하는 이해가 대체로 지배적이다.

   그러면 무속신앙은 어떠한 신령체계를 가지고 있는가? 무속신앙은 많은 신들을 섬기고 있다. 자연신계통, 인신계통, 그리고 기타신 계통으로 분류해 보면 봉안된 신들 중의 많은 수가 자연신계통에 속하고 있다. 이를 다시 가신(家神), 동신(洞神), 자연현상의 질서를 나타내는 신, 사령신(死靈神), 무속시조신, 인간생명현상과 관련된 신, 외래종교의 신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여러 신들은 무속신앙 속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그 신들은 인간의 삶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특정한 직능 또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둘째, 각 신들은 그의 고유한 속성을 지니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신간의 위계나 정리된 신통기(神統記)를 찾아볼 수 없다. 셋째, 신들은 형이상학적 가치나 이념으로 성화되지 않는다. 다만 인간을 능가하는 초월적 힘 또는 영역(靈力)으로 인지될 뿐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신관(神觀)과의 관련에서 보면 무속신앙은 바로 그 힘과 인간과의 관계구조의 상황적 전승적 표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무속신앙은 인간이 신에 의하여 창조된 것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인간은 그 출현과 소멸, 그 어간에서의 삶의 현실이 ‘자연스러움’으로 설명될 수 있는 그러한 존재이다. 그러므로 늙음도 죽음자연스러운 것인 한 그것을 삶의 한 모습으로 여긴다. 또한 인간은 결코 개별적인 존재일 수가 없다. 혈연을 축으로 한 가족 및 지역 공동체내의 관계적 실존을 살아가는 개체이다. 따라서 무속신앙은 인간이란 자연 속에서 태어나 가족을 이루어 살다가 죽는 존재, 그리고 살아 있을 동안 자연스럽게, 곧 고생하거나 불행하지 않게 살다가 불의의 죽음을 죽지 않고 자연스러운 죽음을 죽고, 죽은 후에도 살아 있는 자와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유지하거나 끊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존재라고 믿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무속 신앙에는 현존재로서의 인간이 있을 뿐 해탈이라든가 부활이라든가 하는 현존재의 초극(超克)이나 부정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무속신앙의 우주는 하늘 · 땅 · 사람으로 이어지는 종적(縱的)인 삼층구조를 이루고 있지도 않고, 존재와 무(無)로 대립되는 양극적인 세계도 아니며, 차안과 피안이 평면적으로 전개되는 수평적 구조도 아니고, 그것이 단절되어 중첩된 이중적 구조의 우주도 아니다. 무속신앙은 뮈토스(Mythos)를 축으로 하여 하늘과 땅과 사람, 자연인간, 개인과 집단, 현세와 내세, 이승과 저승, 삶과 죽음이 선회하는 단일체제의 우주를 지닌다. 현존재로서의 인간과 상보적인 것으로 무속신앙은 영혼존재를 전제하고 있다. 영혼은 크게 나누면 생령(生靈) 사령(死靈)으로 나눌 수 있다. 생령은 인간인간이게 하는 잠재적 가능성이지만 사령은 육신을 이탈한 것, 무형의 전지자적(全知者的) 속성을 지닌 것, 불멸하는 것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같은 사령은 조령(祖靈)과 원귀(寃鬼)로 나누어지면서 각기 선악의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령은 살아 있는 사람과의 제의적 관계에서 그 기능을 바꿀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신관, 인간관, 우주관, 영혼관을 지니고 있는 무속신앙의 구원관은 어떠한 것인가? 무속신앙이 구원을 필요로 하는 삶의 정황으로 전제하는 것은 원한이나 살이 ‘맺히고 낀’ 상태, 부정이나 동티가 ‘타거나 난’ 상태, 그리고 옴이나 귀신이 ‘붙은’ 상태들이다. 이러한 원인의 결과는 불의의 부자연스러운 죽음들, 질병, 가난, 천하게 됨, 자손없음, 천재, 화재, 수재, 심지어는 관재(官災), 구설수 등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러한 삶의 정황에서 벗어나는 것, 곧 이를 신은 ‘내리고’, 귀신을 ‘쫓고’, 재앙을 ‘막아’ 풀어 가는 것이 구원이다.

   따라서 무속신앙에서의 구원은 현실적인 삶의 정상적인 자연스러움을 그 최선의 상태에서 누리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부유함, 귀하게 됨, 많은 자손을 거느림, 가운(家運)의 번창, 몸의 건강, 수명 장수, 자손들에 의하여 위무받을 수 있는 사령, 영계에의 천도가 자연스러울 수 있는 일 등이다. 달리 표현하면 구원에의 희구는 기복(祈福)으로 나타나고, 그 복은 현실적인 육체적 실존에 바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앙체계는 제의를 통하여 구체화된다. 무속신앙은 그 제의인 굿을 통하여 종교현상으로 현존하게 되는 것이다.

   굿은 기능적으로 분류된다. 그렇게 분화된 굿은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를 수 있으나 목적에 의하여 분류하면 대체로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부르는 굿, 사령굿, 그리고 무당을 위한 신 굿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굿은 다시 정기적인 것, 수시적인 것들로 분류해볼 수도 있고

   가제(家祭)와 동제(洞祭)로 나눌 수도 있다.

   기주(祈主)의 요청을 무속신앙의 사제인 무당이 받아들여 집전함으로써 굿은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당은 굿의 집전자이면서 무속신앙 전체의 관리자인 사제이다. 무당은 본래 여자 무(巫)에게만 사용되는 이름이었으나 무속신앙 사제의 일반적 호칭이 되어가고 있다. 여무(女巫)에 대하여 남무(男巫)는 박수라 부른다. 이 이외에도 심방 · 만신 · 당골 등의 호칭이 있다. 무당이 되기 위해서는 내림굿을 치러야 한다. 이렇게 무당이 된 경우, 이를 강신무(降神巫)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강신을 위한 굿을 치르게 되는 것은 그 후보자가 무병(巫病)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독특한 질병을 앓기 때문이다. 무병은 굿을 통해 치유되는 종교체험이라는 점에서 다른 정신질환과 구별된다. 무당이 되면 그는 무의 기능을 학습하게 되고, 영력(靈力)을 지니게 되며, 특정한 신을 몸주로 모시게 되고, 굿을 관장하고 집전하게 된다. 그러나 강신체험이 없이도 무당이 되는 경우가 있다. 흔히 당골 또는 단골로 호칭되는 이러한 세습무(世襲巫)는, 강신무가 중북부 지역의 현상인데 비해 남부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무당은 혈통에 의한 무권(巫權)을 세습할 뿐만 아니라 사제관할권(管轄圈)도 세습한다. 이 외에도 제주도의 심방, 남부 지역의 명두는 각기 강신무나 세습무의 일부 특징들을 혼합하고 있어 또 다른 유형의 사제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굿이라는 제의의 진행을 거리라 한다. 그러므로 굿거리는 제차(祭次)를 이르는 것이다. 거리의 수와 종류는 굿 규모의 크기에 따라 융통성 있게 바뀐다. 그러나 신을 청하는 과정, 신을 접대하고 즐겁게 하는 과정, 신을 보내는 과정 등이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기주의 소청에 대한 신의 응답인 공수, 그것을 전하는 인간의 대행자이면서 신의 대행자인 무당의 탈자적 경험, 실을 위무하기 위한 노래와 춤, 제의신성성을 서술하는 무가(巫歌)의 음송 등이 연출되고, 명도 · 방울 · 오방장기 · 삼지창 · 무의(巫衣) 등의 무구(巫具)와 제상, 음식, 무신도(巫神圖) 등의 장식이 이용된다. 사령제인 지노귀 굿의 경우에는 사자회귀(死者回歸)의 극적인 연출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이때에도 사령의 역할은 무당이 담당한다.

   굿의 구조에서 유념해야 할 것은 초월적인 존재인 신과, 그의 대리자 또는 인간과 신과의 중개자인 무당과, 구원에의 희구를 구체화해 줄 것을 요청하는 기주와, 이러한 세 요소들이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제의현장에 참여하고 있는 관중들의 상호관계이다. 굿에서의 신의 기능은 자발적이거나 적극적이 못된다. 그는 “불려지고”, “놀려지고”, “보내진다.” 그러나 인간에게 필요한 신 자신이 신성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신과의 만남은 외경(畏敬)의 분위기를 낳는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종교적 계율이 절대적 권위를 통하여 규범화되지는 않는다. 무당은 굿의 진행 속에서 신격(神格)의 구체화로 기능한다. 탈자적 경험은 그 구체화의 징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신과의 관련에서 언급한다면 신은 무당 개인의 신비적 경험을 통하여 비로소 기능할 수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기주의 희구를 수렴한다는 입장에서 보면 무당은 완전한 중개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그 중보적(仲保的) 성격이 일상성 속에서는 지속되지 않는다. 기주와 무당과의 관계는 당골판에서 조차 상황적 필요에 따라 생길 수도 있고, 없어질 수도 있다. 제의 관람자인 굿판 참여자와의 관계에서 보면 굿은 그들과 아무런 직접적인 관련을 갖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굿에서 기능하는 신이나 그 사제인 무당이나 이웃이기도 한 기주의 무속신앙의 현실은 하나의 연희적(演戱的)인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무당의 신적 권위에 대한 상징적 공감과 기주의 실존적 조건에 대한 상징적 공감은 굿의 현장을 종교적 정서의 자리로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무속신앙의 공동체는 제장공동체(祭場共同體)라 이름할 수 있다. 그 굿판, 곧 제장은 그 굿판의 끝남과 아울러 해체되지만 상징적 공감대의 지속은 그러한 제장의 벌림을 상황적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요청할 수 있는 것으로 지속해 가고 있는 것이다.

   무속신앙의 또 다른 공동체로 단골판을 들 수 있다. 세습무를 축으로 한 이 단골조직은 흔히 어느 특정한 무당의 신봉자가 그 무당에게 명다리(명건, 명교)를 바침으로써 그 관계가 성립한다. 그러면 그 사람은 그 무당에게 속하게 되어 필요할 때 그 무당을 찾아간다, 혹은 하나의 무당이 일정한 지역 안에 있는 무속신앙자들의 사제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두 요소가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무속신앙 공동체를 앞의 제장공동체와 구별하여 제역공동체(祭域共同體)라고 할 수 있다. 무속신앙은 아득한 옛적부터 우리 민족의 삶의 물음에 대한 해답으로 기능해 온 종교상징체계이다. 그것은 이원적 사고나 그러한 구조에서 비롯하는 현실부정적이고 탈속적인 가치를 강요하지 않는다. 신성이라든가 초월이라든가 궁극성이라든가 하는 종교적 가치보다는 지금 이곳에서의 인간을 위한 ‘힘의’ 활용, 그것을 위한 ‘힘’의 위무, ‘힘’의 횡포로부터의 벗어남을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자연스럽게’ 누리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무속신앙은 그 종교적 정조(情操)의 진지성과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자기통찰의 결여, 정신적 가치보다는 감각적이고 구체적이며 현실적인 이해관계가 우선하는 일, 현실적 복락을 누리기 위한 무분별한 목적지향적 태도, 힘에 대한 아부나 힘에 의한 수탈의 가능성, 넓은 의미에서의 사회의 의식이나 역사의식의 결여 등을 낳기도 한다.

   무속신앙은 한국의 역사 과정에서 각 왕조의 종교 정책에 의해서 영향을 맡아왔을 뿐만 아니라, 유교 · 도교 등에 의하여 영향을 주고 받아왔다. 때로는 배척되고 또 때로는 이용당하기도 하고 보호를 받기도 하면서 무속신앙은 유교불교에서 제의의 구성에 커다란 영향을 입고 있다. 지노귀굿의 거리나 동제에 스민 유교적 특성, 굿거리 전체에 깃들인 불교적 요소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특히 도교는 무신(巫神)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세기 후반에 그리스도교 선교가 시작된 이래, 그리스도교는 어느 다른 종교보다도 강력하게 무속신앙에 대하여 부정적이고도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무속신앙은 미신으로 단정되었고 무당과 그 신봉자는 마귀로 간주되었다. 일본의 식민지 정책도 무속신앙을 혹독하게 박해하였다. 굿의 거리가 모두 행해지지 않는다던가 은밀하게 굿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이때의 사정을 설명해 주고 있다. 1945년 이후에도 무속신앙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에는 아무런 근원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무속신앙은 부정되어야 할 그릇된 전통으로 여겨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속신앙은 그 기본구조를 상실하지 않은 채 전승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속 신앙적 사유는 불교, 유교, 그리스도교 등의 신앙유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무속신앙 자체에 대한 관심과 현대의 사회변동에서 어떻게 무속신앙이 전승될 것인가를 우리는 아울러 주목해야 할 것이다. (鄭鎭弘)

   [참고문헌]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0 / 김열규, 한국신화와 무속연구, 일조각, 1977 / 김인회, 한국인의 가치관 - 무속과 교육철학, 문음사, 1979 / 서대석, 한국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80 /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대출판부, 1975 / 장병길, 한국고유신앙 연구,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1970 / 최길성, 한국무속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78.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