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성무예절서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NEW)
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병자성사◆
인쇄
한자
病者聖事
라틴어
Sacramentum unctionis infirmorum
영어
sacrament of anointing of the sick
교회가
고통
당하시고
영광
받으신
주님
께
죽음
의 위험에 처한 환자를 맡겨 드려, 주께서 그를
구원
해 주시도록 하는
성사
.
사제
가
전례서
에 규정된
기도
문을 봉송하면서 환자에게 기름을 바르는 예절로
집전
한다.
성서에서 열두 제자는 수많은 병자들에게 기름을 발라 병을 고쳐 주었고(마르 6:13), 원로들은
주님
의 이름으로 앓는 사람에게 기름을 바르고
기도
해 주어야 한다(야고 5:14)고 하였는데, 전자는 병자성사를 암시하고 후자는 그 보급을 시킨 증거라고 트리엔트
공의회
는 해석하였다(Denz. 1695).
초대
교회
에서 병자성사는 환자 자신이나 그의 친척이
축성
된 기름을 바르는 사적(私的)
도유
와
사제
에 의한 전례적
도유
등 두 가지 방식으로
집전
되었다. 전자는 가벼운 질환을 앓는 자가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였고 후자는 중환자가
사제
로부터 영적 도움을 얻고자 한 것인데
성사
이론이 발전하지 못한 때여서 양자의 차이가 분명하지 못하였다. 9세기 이래 병자성사는 죽을 위험에 처한 자에게 마지막으로 영적 도움 즉
은총
을
주기
위한
성사
로 이해되었다. 이때부터
성사
적 성격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마지막
도유
즉
종부성사
(Extreme Unction)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13·14세기에 칠성사의 이론이 발전하였을 때 병자성사의 주요 효과는 질병을 영적으로 극복하는
성사
은총을 주는 것이라 하였고 질병의 치유를 부수효과로 보았으며 병자성사를 받는 자의 자격 즉, 죽을 위험에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강조하였다. 트리엔트
공의회
는 병자성사를 칠성사의 하나로 규정하고(Denz. 1716)
성사
의 효과로서 영적인 도움과 이에 부수하여 일어날 수 있는
육신
의 질병 치유를 조화시켜 명시하였고(Denz. 1696),
성사
받는 자의 자격을
죽음
에 임박하지 않는 자도 가능하게 하였다(Denz. 1698).
그러므로 병자성사는 “병이나 노쇠로 죽을 위험이 엿보이는”(전례헌장 73)
신자
에게 먼저 영신적인 목적을 위하여, 다음으로
육신
적인 건강을 위하여 베푸는
성사
라 할 수 있다. 병이나 노쇠로
죽음
의 위험에 처한 자는 사망하거나 건강을 회복하게 되므로 병자성사도 이 두 경우를 대비하는 것이지만 병자성사의
은총
은 그 어느 경우를 막론하고 항상 질병에 대한 초자연적인 승리를 준다.
성사
은총
은 환자 개인의 영신
생명
에 영적 능력을 주어
신앙
과
용기
를 증진시킨다(Denz. 1969). 이는 병자성사를 통하여 치유자이신
그리스도
와 만난 덕분이다. 그 결과 환자가
선종
하면 이
죽음
은
그리스도
의 빠스카
신비
에 참여한 것이므로 질병을 영적으로 극복하여 승리를 거둔 셈이 된다. 그렇지 않고 환자가
육신
의 건강을 회복하는 경우는
인간
이 정신과 육체의 상관적인 단일체이므로
성사
은총으로 인한 영적 위안이
육신
치유의 결과를 낳은 까닭이다. 그러므로 병자성사는 치유를 계속하고
계시
는
그리스도
를
만나
게 해주는
성사
이며, 그 결과
성사
은총
으로 말미암아
육신
의 건강을 주거나
그리스도
의
죽음
과
부활
에 참여케 해 주는
성사
인 것이다.
[참고문헌] Prudent De Letter, Anointing of the sick, Sacramentum Mundi, vol. I, Burns & Oates, 1968.
출처 : [가톨릭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