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성무예절서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NEW)
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시편◆
인쇄
한자
詩篇
라틴어
Liber Psalmorum
영어
Books of Psalms
히브리어
성서
에서
성가
라고 불리며 정전으로 인정된 150개의 노래들의 모음이다. 불기타
성서
에서 이들의 명칭을 시편이라고 하였다.
1.
제목
: 시편의
제목
들은
칠십인역
성서
이전에 붙여진 것들로 이들은 시편의 저자와
음악
적 표기법 및 고대인들의 생활상에 대한 정보까지도 종종 제공해준다. 그러나 이들은
성서
의 일부가 아니며
역사
적 가치도 거의 지니고 있지 않다.
2. 원문과 역문 : 시편의 히브리어 역은 많은 부분이 손상되었으므로 현대의
성서
번역은 고대의 역본들을 고려에 넣는 동시에 추리에 의존하기도 해야 한다.
불가타
성서
에서 발전된 구
라틴어
역본과 성
예로니모
가 쓴 세 개의 역본들에 이르는
라틴어
역의
역사
는 본문비판의 분야뿐만 아니라
교회
저술가들과
전례
의 해석에서 중요하다. 1945년,
교황청
성서
연구소(Pontifical Biblical Institute)의
예수회
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정밀한 ‘라틴어역’은
라틴전례
기도서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미사
경본에서는 아직도 구
라틴어
역과 성
예로니모
의 역본들이 사용되고 있다. 시편 40:14, 71:19, 88:52, 105:48, 150편에 나타나는
영광송
의
존재
로 보아 시편이 저작
시기
에 따라 다섯 개의 책으로 분류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시편 1-40, 41-71, 72-88, 89-105, 106-150) 이는
모세
오경을
모방
한 듯하다. 일부 시편의
제목
들은 저자들의 성명을 밝히고 있다. 예를 들어 41-48편은 코어(Core)의 아들들이 쓴 것이고, 72-82편은 아사프(Asaph)가 쓴 것이다. 시편 3-40편의
대부
분과, 50-64편, 67-70편, 137-144편 등 다른 많은 시편들도 이들의
제목
에 의해 다윗이 쓴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밖에 119-133편은
순례
의 노래(sir hamma‘alot)이며, 103-105편, 110-116편, 134편, 145-150편 등은
알렐루야
시편이다 일부 시편이
시편집
(Psalter)의 변형된 형태로
존재
한다는 사실은 이전의 몇몇 시편모음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 시편 모음들이 어떤 상황 하에서 만들어졌는가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현재의 형태와 같은
시편집
들이 마카베오시대 이전인
기원
전 3세기에 이미
존재
했었던 것 같다.
3. 문학 유형에 따른 분류 : 시편에의 가장 올바른 접근 방법은 군켈(H. Gunkel)이 그의 주석서(1926)와 입문서(1933)에서 설정한 시편의 문학적 유형에 따른 분류법에 의해 이를 연구하는 것이다. 군켈의 뒤를 이어 슈미트, 모빙켈(S. Mowinkel), 웨스터만(C. Westermann) 등이 시편을 다듬는 작업을 계속해 왔다. 군켈은 시편을 고대 근동의 비교 문학의 견지에서 분석했으며
성가
와
애가
와
감사
의 시편들을 문체의 특성에 의해 분류하였다. 최근에 모빙켈 같은 이들은 시편의
전례
적
기원
에 관심을 기울여 왔는데, 이는 현재 시편 해석의 정도(正道)로 간주되고 있다. 사실,
대부
분의 시편이
전례
행위를 위하여 씌어진 것이지 문학으로서 씌어진 것은 아니다. 일부 시편들은 정확히 분류하기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분류방식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①
성가
시편 :
성가
시편(8, 28, 32, 64)은 보통 세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도입부분은
하느님
을 찬미하고 기뻐하고 환호하는 내용이며, 본문을 찬미하는 이유를 기록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창조, 구원의
역사
또는
야훼
의 속성에서 연유된 것들이며, 이러한 부분들로부터 우리는
구약성서
신학
의 풍요로운 보고를 발견하게 된다. 끝부분은 도입부분과 비슷하다. 시편 44, 46, 74, 82, 85, 130편 등은
예루살렘
의 영광을 노래하고 있기 때문에 ‘시온의 노래’라고 불리기도 한다. 시편 46, 92, 98편은
야훼
의 ‘왕위에 오르심’을 기리는 시편들로 특히 창조에 의해 명백해진
야훼
의 왕되심을
기념
하고 있다.
②
애가
시편 :
애가
는 개인적인 것이 있고 집단적인 것이 있다. 개인적인
애가
는 시편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데, 예를 들어 시편 3, 5, 7, 16, 21편 등이 있다. 도입부는 보통
야훼
에게 도와달라는 호소로 시작되는데,
야훼
는 종종 ‘나의
하느님
’, ‘나의 바위’와 같은
비유
로 묘사된다. 본문은 호소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들고 있는데, 예를 들어 질병이나
죽음
의 위협, 노쇠, 특히 적들에 대한 것 등이며 이들은
반복
되는 호소에 의해 중단되기도 한다. 그 다음에는
야훼
가 개입하기를 청하는 데 대한 일련의 근거들이 나타나는데
야훼
의
정의
,
야훼
의 충실하심 또는 작가의 무고함이나 그의
야훼
에 대한
믿음
등을 들고 있다.
감사
의
제사
에 대한
맹세
도 매우 자주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 부분은 대개
하느님
이 그의 호소를 들어 주셨으리라는 것에 대한 시편 작가의 화답으로 끝을 맺는다. 슈미트는 7편이나 34편과 같은 일부
애가
들은 부당하게 비난받은 사람들의 기도로서 따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들은 자신이 받고 있는 부당한 비난들로부터 구제받기 위해
성전
을 찾아온 사람의 상황을 잘 나타내고 있다.
신앙
을 주체로 한 일부
애가
들은 ‘신앙의 시편’으로 따로 분류될 수 있다(시편 10, 15, 22, 26, 40, 61, l30).
집단적 또는 국가적인
애가
는
전쟁
에서의 패배와 같은 국가적인 재난을 당한 경우에 쓰여졌다. 집단적
애가
의 구조는 개인적
애가
와 비슷한데, 도움을 호소한 후에 비탄과 호소의 근거 및
야훼
의 도움을 청하는 주제로 되어 있다.
③
감사
의 시편 :
감사
의 시편은 구원에 대한 보답으로
감사
의
제물
(toda)을 바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성가
와 같이 도입부에 이어 시편 작가가 구조된 재난을 기술하고 이어 구원자로서의
야훼
를 찬미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종종 이러한 경험으로부터 다른 사람들이 배워야 할 교훈적인 말들이 첨가되기도 한다(시편 17, 29, 40, 114-115). 123편은 국가적인
감사
의 시편에 속한다.
④ 제왕시편 : 제왕시편은
애가
시편이나
감사
의 시편 등과 같이 다양하게 분류될 수는 없으나, 왕의
결혼
(44), 대관식(2)과 같은 국왕과 관련된 특수한 상황을 노래하고 있다. 시편 2, 17, 19, 20, 44, 71, 88, 100, 109, 143:1-11이 이에 속한다. 이 시편들은 국왕의 통치에 대해 언급하고 있기는 하나, 나단이 다윗왕에게 했던 예언(2사무 7:1-29)의 견지에서 그렇게 한 것이다. 즉, 왕의 통치는 다윗 왕조와 맺은
메시아
의 언약들과 관련해서 기술되고 있으며, 왕은 이 언약들이 실현되는데 대한 보증인인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제왕 시편들에서 언급되고 있는 전세계에 미치는 통치나 번영과 같은 국왕의 광범위한 권리들을
정당
화해 주는 데 이 권리들은
야훼
의 세계통치 및
야훼
와 다윗 왕조간의
계약
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
가
이스라엘
의 궁극적인 왕이기는 하지만 제왕시편들이 직접적으로
메시아
적인 것은 아니다. 초기의 제왕시편들이 보존되었고, 바빌론 유배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는 사실은 제왕 시편들이
메시아
적 견지에서 재해석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⑤
역사
시편 :
역사
시편은 구원
역사
에 대한 내용을 노래한 것으로 시편 77, 104편과 같이
대화
의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시편들이 씌어졌던 상황은 특별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 이들은 거의 어떤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느님
의 구원
역사
에 대한 이야기는
성가
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단순한 찬미 이상이며, 교훈적 목적을 다분히 포함하고 있다(시편 77: 1-8).
⑥ 지혜시편 : 내용이나 형식면에서
지혜서
와 비슷한 문학형태를 지니는 시편. 이들이 정확히 몇 편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운데, 왜냐하면
애가
시편이나
감사
의 시편 등 다른 많은 시편들도 지혜시편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시편 24:8-14, 91:7-9). 그러나 지혜시편으로 확실히 분류되는 시편들도 있는데, 이들은 권선징악, 선과 악의 대비,
하느님
에 대한 두려움 및 행위에 대한 실제적인 훈계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시편 1, 31, 33, 36, 48, 111, 127).
⑦
전례
시편 : 여기서 ‘전례’라는 용어는 일부 특정한 시편들의 특징을 가리키는데, 예를 들어 화자가 바뀐다든지 예언들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러한 분류는 다소 독단적이기는 하나, 그만큼 가치가 있다(시편 14,23). 원래 이들은 더욱 복잡한 상황하에서 씌어진 것이었을 것이나 현재와 같이 간단한 명칭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예언적
전례
’도 빈번히 사용되는 용어 중의 하나이다. 시편만이 예언적
교의
의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나 시편에는 주목할 만한 문체적 특성을 지닌 예언들이 나타나고 있다.
4
성서
외적인 시편들과 그 영향 : 근세기에 들어서면서 발견된 고대 근동의 문학서들은 시편 연구에 큰 도움이 되었는데 특히 시편이 씌어지게 된 배경, 문학형태, 운율 및 어휘 등에 대한 연구에 큰 빛을 던져주었다. 팔켄슈타인(A. Falkenstein), 폰 조덴(W. von Soden), 비덴그렌(G. Widengren) 등의 학자들이 메소포타미아와
이스라엘
의 문학형태를 비교 연구하였는데, 이들은 아크나톤(Akhnaton)의 아톤의 노래(Song of Aton)와 시편, 103편간의 유사점을 밝혀내기도 하였다. 알브라이트(W.F. Albright), 고든, 진스버그(H. Ginsberg) 등이 고대 우가르의
신화
와 시편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이들 사이의 유사성은 매우 산발적이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시편은 우가르
신화
보다 오래된
가나
안문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 뒤
가나
안인들에 의해 우가르의 영향력이
이스라엘
의 전해졌다고 추정되는데, 시편 28편과 68편은 우가르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시편과
성서
외적 시편들간의 유사성을 시편 저자의 맹목적인
모방
의 결과라고 할 수는 없다. 그보다는
이스라엘
이 주변 국가들과 문학적인 문화유산을 함께 나누고 있었으며, 시편 저자들이 이들 중에서
이스라엘
의 문학과
종교
에 일치되는 요소들을 흡수했다고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 시편에는 이 모든 유사성들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의 독특한
신앙
이 날카롭게 표출되고 있다.
5. 시편의
신학
: 시편의
신학
을 평가함에 있어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이 반드시 기억되어야 한다. 첫째 시편의 노래들은 약 700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만들어진 것이므로 이들은
이스라엘
의 지속적이고 심오한
야훼
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고 있다. 둘째, 시편은
교의
의
전례
적 표현이다. 비록
예언자
나 학자들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는 없으나 시편의
교의
는 예언적
교의
나 지혜적
교의
와는 별개의
교의
이다. 그러나 시편의 노래들 속에서 체계적인
구약성서
의
신학
을 발견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① 시편신학의 특징 : 시편의 가장 중요한 주제는 창조와 구원의
역사
이다.
역사
의
하느님
은
자연
의
하느님
이며,
창조주
는
구세주
이기도 한 것이다. 이러한 주제로부터
야훼
의 특성 즉, 그의
이스라엘
에 대한
사랑
, 전지전능하심 및 자신의 언약에 대한 충실하심 등이 나타난다. 이 특성들은 정적(靜的)인 상태에서 기술된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이
역사
안에서의
하느님
의 행위를 체험하면서 발견한 것들이며 이들은 또한
이스라엘
사람들의
전례
생활에서 적극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시편
신학
의 따뜻하고 생동감있는 성격은 체험을 통한 기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고통
과 악의 엄청난
신비
와
정의
와
하느님
의 응징 사이에서 괴로워하였다(시편 72). 셰올(Sheol)이라고 불리는 지하세계에서의 황폐한 생활이
죽음
에 직면한 보통사람들에게 주어진 슬픈 운명이었다. 시편의 극히 일부(시편 48, 72)만이
하느님
과의 복된 생활을 위한 길이 있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시편 저자들이
하느님
의 실재를 체험했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시온
은
하느님
의 거처이기 때문이다.
② 저주의 시편 : 저주의 시편은 다른 어느 시편들보다 기도가 생생하고 강렬하다(시편 103:35, 138:19-24).
애가
시편에 거의
반복
적으로 언급되고 저주되는 ‘적들’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이론들이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어느 한 이론만으로 시편의 저자들이 기술한 ‘적대적인 세력들’이나 ‘저주의 대상’이 누구인가를 밝혀내기는 어려운 일이다. ‘적들’은 시편 저자의 개인적 경험이나 윤리적 평가의 견지에서 기술된 것이 아니라
전례
행위를 통해 그들 위에
하느님
의
정의
가 내려야 할
무신론
자들로서 기술되고 있다. 이들은
하느님
의 적이며 따라서 저주의 시편은 이들에 대한 개인적인 복수심의 표현이라기보다 전체적인 입장에서
하느님
에게 대항하는 적대자들을 응징해 주실 것을
전례
를 통해 청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편에 나타나는 저주들은
하느님
에 대한 충성의 표현이라고 볼 수도 있다(시편 138: 19-24).
결론적으로 시편의
신학
은
야훼
에 대한
믿음
과
신뢰
의
신학
이며, 이는
이스라엘
의
역사
와
이스라엘
사람들의 개인적 경험 속에 나타난
하느님
의 구원행위가
전례
를 통한 회고에 의해 발전되어 온 것이다.
[참고문헌] E.J. Kissane, The books of Psalms, vol, 2,Westminster, Md, 1953-l954 / G. Castellino, Libro dei Salmi, Rome l955 / S.O. Mowinckel, The Psalms in Israel's Worship, vol.2, Nashville 1962 / A. Ringgren, The Faith of the Psalmists, Londeon 1963 / A. Weiser, Psalms: A Commentary, Philadelphia l962 / R. de Langhe, Ses Origines, ses problemes, son influence, Louvain 1962.
출처 : [가톨릭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