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가톨릭대사전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성무예절서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가톨릭대사전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신약성서◆
인쇄
한자
新約聖書
라틴어
Novum Testamentum
영어
New Testament
27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신약성서는
구약성서
를 보완하는 한 단위의 문학 장르로서
하느님
의
인간
에 대한
계시
의 기록을 완성하고 있다. 오늘날 신약성서 작품의 분류는 연대순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구약성서
가
역사
적 · 교훈적 · 예언적 작품별로 분류된 것에 영향을 받아서 신약성서도 초기의 그리스도교 계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분류하였고, 이것이 트리엔트
공의회
에서 정착되었다. 이리하여
역사
적인 분류 기준에 드는 것으로 4복음서,
사도행전
있고, 교훈적인 각종 분류에 드는 것으로
바울로
의 14개
서간
들, 베드로의 첫째 · 둘째 편지, 요한의 세 편지,
야고보의 편지
,
유다의 편지
가 있고, 예언서 분류에 드는 것으로
요한의 묵시록
이 있다.
1. 신약성서의 문학 장르 : 신약성서는 다양한 문학 장르에 속한다. 그러나 신약성서의 작품은 스타일이나
문장
기술(文章記述)의 기교면에서 특정한 문학 유형이나 시대를 의식적 따르지는 않았다는 의미에서 문학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신약성서는 처음에는 그리스어로 씌어졌고, 따라서 그리스도교 발생 제1세기의 그레코-로마 문화와 관련지어 있다. 신약성서는
코이네
(koine), 즉 그 당시에 널리 쓰인 그리스어로써 기술되었다. 어느 특정한 문체를 도용(盜用)해 쓰지도 않았고
세속
작가들로부터 인용한 구절도 많지 않다. 신약성서는 오히려
구약성서
를 특히
칠십인역
(Septuaginta)에서 300회 이상 인용한 것으로 보아
구약성서
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고 본다.
요한의
복음
서의
머리글
(요한 1:1-13)과
바울로
의 자랑 예찬론(1고린 13:1-13)에서처럼 시적(詩的) 표현 형태를 취하는 경우에는
구약성서
의 예언서와
시편
(psalmists)이나
찬미가
(hymns)들에서 원용(援用)하고 있으나, 동시대에 어떤 문학작품의 스타일을
모방
하고 있지는 않다. 그리스도의
설교
나 가르침은
복음
서에서에 예언서의 정신과 문체로 그 당시에 통용되던
랍비
문학 형태로 기술되었다. 또한
설교
,
비유
,
대화
등의 표현방법은
복음
서작가(Evangelists)들에 의하여 널리 애용되었다. 특히
바울로
의 서한에서 나타나는
서간
체는 동시대의
서간
체의 문형을 본뜨고 있기는 하지만
플라톤
(Plato), 치체로(Cicero)나 에피쿠로스(Epikuros) 등을 맹목적으로
모방
하였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위에 든 세 사람은 그들의 사상이나 가르침을 표현하기 위하여
의도
적으로 이러한 표현방법을 채택했었다.
사실상의
설교
인 디아트리베(diatribe, 비판적
강론
)는 가르침을 위해서 만이 아니라 청중이나 독자들로 하여금
신앙
에 귀의케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었는데,
철학
적 작품에 가장 흔하게 쓰인 형태이다. 디아트리베는
디아스포라
(diaspora, 초기 유태인
그리스도교인
)의 유적인
설교
자들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그 뒤 그리스도 후계자들도 사용하였다. 예언서나
박해
(迫害)시대에
랍비
들에게 가장 흔하게 쓰였던 묵시문학 형태는 파루시아(parousia)와 묵시록(apocalypse)에 대한 초기 그리스도교의 가르침 속에 잘 나타나 있다. 개별적 문학작품이나 그 구성부분을 어떤 스타일의 범주에 넣을 것인가에 대하여 오늘날의 학자들은 그 범위를 점점 더 넓혀가는 추세에 있다. 궁극적인 분석이 어떻게 되든 간에
성서
의 책들은 동시대의
세속
작가나
종교
작가들의 작품을
모방
하거나 그대로 인용한 것이 아니라 글로써 표현해야 하겠다는 정신적 절실감이 있었고, 초기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이어 나가야 하겠다는 일념에서였다.
교회
가 우선하여야 할 일은
예수
안에서 사람들이 깊은
신앙
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고, 그 다음에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길을 살도록 입교자를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가르침은 사람들이 기억을 하기 알맞도록 베풀어졌었다.
사도행전
2, 3장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베드로의
설교
형태인 구두(口頭)
교리교육
(oral catechesis)은
신앙
을 전파하는 가장 기초수단이었다.
전례
(典禮)가 발전함에 따라서 그리스도의 메시지는 차츰
미사
로 통합되었고 이것이
성서
작가들의 제재(題材)가 되었다.
교회
가 성장함에 따라서 초기의 구두
설교
자는 문자로 기록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2. 발전 :
대부
분의 신약성서가 처음 어떻게 기록되었는지는 어둠에 가려져 있지만, 4복음서와 논란이 많은 히브리인들에 보낸 편지를 제외한
바울로
의 편지들이 어떻게 씌어졌는지는 추적해 볼 수 있다.
기원
50년경
팔레스티나
의 유대 그리스도교
신자
들을 위하여 씌여졌다고 추정되는 아랍어로 쓰인 마태오의
복음
서는
복음
서 중에서 최초의 것으로 초기 전승(傳承)에 언급되어 있지만, 이보다 훨씬 뒤에
세상
에 나온(기원후 70년) 그리스어 번역본은 아랍어 마태오의
복음
서를 참고로 했을 뿐만 아니라, 마르코의
복음
서와 Q문서도 참조했었다. 베드로의 통역자였던 마르코는 베드로가 죽은 뒤 (기원 후 64 혹은 67년), 혹자에 의하면 50년대 후반에
이교
도 그리스도인(Gentile Christians)을 위하여 기억을 더듬어 썼으며,
바울로
의 동반자였던 루가는 아케아(Achaea)의
이교
도들을 위하여 마르코의
복음
서가 씌어진 얼마 후에
복음
서를 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마태오와 마르코는 냉정한 어조(impersonal intone)를 견지하고 있으며 아마도
미사
를 목적으로 쓴 것 같다. 루가의
복음
은 더욱 문학적이며
역사
적 서술에 비중을 두고 있다. 마태오와 마르코, 루가의
복음
서는 상호의 의존적이며 이를 특히
공관복음서
(共觀福音書)라고 한다.
복음서에 필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다만 ‘예수가
사랑
한 제자’라고만 언급되어 있는
요한의
복음
서는 고대 전승에 의하면 팔자가 그리스도교 발생 1세기 말경에 소아시아의 에페소(Ephesus)에 있을 때 쓴 것 같다. 이
복음
서는 그리스도교 입교자의
믿음
을 확고히 하고 더욱 심화하기 위하여 씌어졌다.
요한의
복음
서는
유태교
(Judaism)를 힐난하는 어조로 씌어 있으며 필자를 성 요한이라고 믿는 것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사도행전은 사실은 제5의
복음
서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대부
분 베드로와
바울로
의 행적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는데, 성
바울로
의 말년에 제3의
복음
서(루가의
복음
서)를 쓴 동일한 작가가
복음
서를 쓴 후 얼마 지나서 쓴 것으로 보여진다.
사도행전
의 텍스트는 두 가지-짧으나 세련된 표현을 하고 있는 알렉산드리아 텍스트와 150년경에 개작한 것으로 보이는
문장
이 방만한 이서(以西)의 텍스트-로 전하여 지고 있으므로 어느 것이 원형인가에 대해서는 약간의
의심
이 있다.
그리스도와 그의 사도들의 말씀과 행적은 그리스도의
부활
이후 10, 20년에 문자로써 기록되기 시작한 반면, 1세기말이 다 지나도록
구약성서
나
바울로
의
서간
중의 몇 작품에 허용되었던
성서
로서의 온전한
권위
가 주어지지 않았었다는 것이
복음
서와
사도행전
의 구성의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이다.
바울로
의
서간
집은 특정
공동체
나
공동체
의 집단에 대하여 쓴 것인데 가르침과
교회
와 오해를 불식하는데 원래의 사명이 있었다. 그
서간
들 중에서 세 가지
서간
은
사목서간
(Pastoral epistles)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주로 공직자들을 위해 쓴 것이다.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는
기원
52년초에 고린토인을 위해 쓰여졌으며 따라서
바울로
의
서간
중에서 제일 먼저 쓰여졌고 신약성서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나머지의
서간
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쓰여진 것으로 본다. 즉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첫째, 둘째 편지(52년 후반),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54년),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57년 봄),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57년 가을),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57~58년),
골로사이인들에게 보낸 편지
,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
(61~63년) 등과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디도에게 보낸 편지
,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는 이들 세
서간
이
바울로
가 쓴 것이 분명하다면 63, 67년 사이에 쓰여졌으리라고 본다.
이렇게 요약하고 보면
대부
분의
바울로
의
서간
들이
복음
서들 이전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우리가 마르코나 루가를
기원
62년 이전으로 잡지 않는다면
바울로
의 몇 작품은 베드로에게 보낸 둘째 편지 3장 15절에서 보이는 것처럼
구약성서
와 똑같은
성서
로서의 대접을 받게 된다.
바울로
의
서간
모두가 그의 저작으로서 현대
성서
학자들에게 인정을 받는 것은 아니다. 특히
사목서간
이나 에페소인들에게 보인 편지의 저자가
바울로
가 아닐지 모른다는 의문이 제기될 정도이니 그 중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히브리인들에게 보인 편지에 대해서는 더 말할 나위도 없다.
가톨릭
서간
(야고보의 편지, 베드로의 첫째, 둘째 편지, 요한의 첫째, 둘째, 셋째 편지,
유다의 편지
)은 개인이나
공동체
보다는 일반
교회
를
지향
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르는 것인데 그 작품의 성격으로 보아서
서간
이라기보다는 교훈서라고 함이 더욱 적당한 표현일 것이다. 또한, 각 서책에 붙은 이름이 그 성책의 진정한 필자를 의미하는지, 단지 가명에 지나지 않는지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이다. 그 중에서
야고보의 편지
,
유다의 편지
,
베드로의 둘째 편지
, 요한의 둘째, 셋째 편지의
경전
성(Canonicity)에 대하여서도 한때 논란이 되었었다. 이들
서간
들은
기원
1세기에 걸쳐 다양하게 연대 표시가 되어 있어서, 그
서간
의 필자로 인정할 수도 부인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와 묵시록이 필자에 대해서는 가장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었다.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는 편지라고 하기보다는 논설문이라고 하는 쪽이 더 알맞다.
바울로
가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의심
하는 학자가 많으며, 설사 관련이 있다 하더라도 간접적인 것이리라고 믿고 있다.
바울로
가 쓴 것이 틀림없다고 굳게 믿고 있는 사람들은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가 63, 67년 사이에 쓰여졌다고 주장한다. 다른 학자들은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는 70, 90년 사이에 쓰여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서방교회는 4세기 중엽에 이르도록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를
바울로
의 작품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동방교회
에서는 3세기에 벌써 그것을
바울로
의 저술이라고 믿어왔다.
묵시록 역시 필자의 동일성이나, 문학 장르의 이해에 곤란을 겪고 있고, 묵시록이 담고 있는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와는 달리 묵시록은
동방교회
에서는 6세기가 지나도록 많은 반대에 부딪힌 반면 서방교회에서는 변함없이
성서
로 인정해 왔었다. 초기의 전승은 사도 요한을 그 편지로 인정하여 왔으나, 오늘날
가톨릭
학자들은 이에 대하여 견해가 통일되어 있지 않다.
성서 작품의 필자의 진위(眞僞), 작품의 진실성,
경전
으로서의 가치, 집필
시기
나 문학 장르의 형태에 대하여 여전히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신약성서들은
하느님
에 의하여
영감
받은
경전
으로서
인간
에 대한 그리스도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것으로 우리
교회
에 의하여 여전히 존경과 인정을 받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J.N. Sanders, The Literature and Canon of the N.T, New York 1962 / R.A. MacKenzie,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Collegeville, Minn, 1960.
출처 : [가톨릭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