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VADEMECUM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NEW)
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이승훈◆
인쇄
한자
李承薰
이승훈(1756~1801). 한국 최초의
영세
자이며
한국
천주교
회 창설자중의 한 사람.
세례명
베드로
. 자는 자술(子述). 호는 만천(晩泉). 본관은 평창(平昌).
이가환
(李家煥)의 생질이며
정약용
(丁若鏞)의 매부. 서울에서 태어났다. 1780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을 단념하고 학문연구에만 전념하던 중
이벽
(李檗)과 사귀게 되어
이벽
으로부터
천주교
를 배웠다. 1783년 말
이벽
의 권유로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에 임명된 부친을 따라 북경(北京)에 가 그곳의
북당
(北堂)에서
예수회
선교사
들에게서 교리를 배운 후
그라몽
(Jean Joseph de Grammont, 중국명 梁棟材, 1736~1812)
신부
로부터 세례를 받고 한국 최초의
영세
자가 되었다. 1784년 초
교리서
적, 십자고상,
상본
(像本)을 갖고 귀국,
이벽
,
정약전
(丁若銓) ·
정약용
형제
,
권일신
(權日身) 등에게 세례를 베풀고, 다시
이벽
으로 하여금
최창현
(崔昌顯),
최인길
(崔仁吉),
김종교
(金宗敎) 등에게 세례를 베풀게 하여
신자
공동체를 형성시켜 이들과 함께
한국
천주교
회를 창설하였다. 1785년 명례방 김범우(金範禹)의 집에서
종교
집회를 갖던 중
형조
(刑曹)의 관헌에게 적발되어 소위
을사추조적발사건
(乙巳秋曹摘發事件)이 발생하자 친척과 집안 식구들의 탄압으로
배교
,
천주교
서적을 불태우고 벽이문(闢異文)을 지어 자신의
배교
를 공언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다시 교회로 돌아와
가성직제도
(假聖職制度)를 주도,
신자
들에게 세례와 견진 등
성사
를
집전
했고, 1787년에는
정약용
과 함께 반촌(泮村, 현재의 惠化洞)에서 교리를 연구하였다. 1789년 평택현감(平澤縣監)으로 등용되어 선정을 베풀었고 1790년 북경에
파견
되었던 조선 교회의 밀사
윤유일
(尹有一)이 돌아와
가성직제도
와 조상제사를 금지한
북경교구
장
구베아
(Alexander de Gouvea, 중국명 湯士選, ?~1808) 주교의 명령을 전하자
조상 제사
문제로 교회를 떠났다. 1791년 진산사건(珍山事件)으로
권일신
과 함께 체포되어 평택현감 재직시 향교(鄕校)에 배례하지 않았던 사실과 1787년 반촌에서
서학
서(西學書)를 공부했던 사건[丁未泮會事件]이 문제되자 다시
배교
, 관직을 삭탈당하고 석방되었다. 1794년 12월(음)
주문모
(周文謨)
신부
가 입국한 후 이듬해 6월(음)
최인길
,
윤유일
,
지황
(池璜) 등이
주문모
신부
를 맞이한 죄로 처형되자 이에 연루되어 예산(禮山)에 유배되었다가 얼마 후 풀려났다. 그러나 1801년 신유(辛酉)박해가 일어나 이듬해 3월 22일
이가환
,
정약용
,
홍낙민
(洪樂敏) 등과 함께 체포되어
의금부
(義禁府)의 국청(鞫廳)에서
배교
했으나 4월 8일(음 2월 26일)
정약종
(丁若鍾),
홍낙민
,
홍교만
등 6명과 함께 참수되었다. 그 후 1856년 아들
이신규
(李身逵)의
탄원
으로 신원(伸寃)되었다.
이승훈은 비록 여러 번
배교
하고 교회를 떠났던 인물이지만 초기
한국
천주교
회를 주도했고
가성직제도
를 주도했던 인물로서
한국
천주교
회의 첫 장을 연 인물로 평가되며 그로부터
신앙
을 찾은 아들
이신규
와 손자
이재의
(李在誼)는 1866년에, 증손 이연구(李蓮龜), 이균구(李筠龜)는 1871년에 각각
순교
하였다. 이승훈의 유고문집으로 ≪만천유고≫(蔓川遺稿)가 있다.
[참고문헌] 샤를르
달레
原著, 安應烈 · 崔奭祐 譯註, 韓國天主敎會史, 上, 1979 / 崔奭祐, 韓國天主敎會의 歷史,
한국교회사연구소
, 1982.
출처 : [가톨릭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