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교부철학◆ 인쇄

한자 敎父哲學
영어 patristic philosophy
독일어 patristische Philosophie

   그리스도교는 처음부터 고대 이교문명(異敎文明)과는 전혀 다른 원천에 바탕을 두는 종교로서 등장하였지만, 차차 이교 세계 내부에서 교세를 신장해 감에 따라, 고대문명 특히 그리스의 철학사상과의 대결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를 담당한 사람들이 교부(敎父, [라] Patres)였고, 이들 교부의 저술을 먼 뒷날까지도 계속 인용하여, 정통적인 교설(敎說)의 권위로서 삼는 것이 가톨릭 교회의 입장이다. 교부의 시대는 2세기부터 8세기까지에 이르는 사이로서, 이 시기에 발달한 그리스도교 철학을 '교부철학'이라고 부른다. 그리스도교계시와 고대의 이교사상과의 사이에 최초의 접촉을 나타내 주는 이 교부철학은, 고대문명 속에서 가치 있는 것을 그리스도교 사상 가운데로 섭취하는 한편, 그리스도교의 교설 자체가 궁극에 있어서는 이성에 의한 해명을 허용하지 않는 '신비'를 담고는 있다 하더라도, 파악 가능한 범위 안에서는 교설 자체도 어느 정도의 이성적인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이리하여 그리스도교 사상은 하나의 총합적인 세계관으로서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기초 위에서 중세의 그리스도교 신학의 체계가 확립되기에 이르렀다.

   초기 교회신자들은 신앙의 지식과 세상의 지식을 구별하여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려 하였으나 이교적인 철학적 사변의 도전을 받으면서 진리옹호와 변증이 불가피한 사실로 나타났다. 그리스도교의 지식인들은, 자기들이 서로 크게 다른 두 세계의 교차점에 서 있음과, 또 양자가 반드시 대립적인 것만은 아님을 의식하고 있었다. 콰드라투스(Quadratus), 아리스티데스(Aristides) 등은 로마 황제에게 《호교서》(護敎書, Apologia)를 제출하여 그리스도교 신자신앙 및 신의 바른 개념을 철학적으로 규정함으로써 교부철학은, 고대 헬레니즘(Hellenism)의 최고의 유산과 유태교로부터 많은 것을 이어 받은 그리스도교신앙의 융합을 표시하여 준다. 교부철학은 세 가지의 주요한 철학계통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가운데 ② ③ 학파설은 이단적이다. 즉 ① 그리스도교이교주의와는 완전히 대립하는 것이라고 보는 테르툴리아노(Tertullianus)의 입장, ② 그리스도교이교주의는 완전히 조화된다고 보는 그노시스(Gnosis)파의 입 장, ③ 그리스도교의 지식과 이교의 사상은 협력이 가능하지만, 이교철학은 그리스도교에 종속해야 하며, 더 높은 계시에 의하여 정화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 등이다.

   초기의 교부시대의 이단과의 충돌에 있어 그 대부분은 일부 그리스도교 사상가가 그리스도교 신앙을 지중해 연안의 이교세계의 여러 설에 종속시키려고 시도한 데서 비롯되었다. 초기 그리스도교 철학사상 최대의 교부아우구스티노(Aurelius Augustinus, 354~430)는 당시 로마 사회에 있어서 변론가로서의 이교적인 교양과 어머니에게서 영향받아 가톨릭신앙에 돌아오기까지의 회심의 과정을 《고백록》(告白錄, Confessiones, 13권, 400년경)으로 펴냈는데, 이는 이교문명으로부터 그리스도교 문명으로 바뀌어 가는 시대의 고뇌와 환희를 기록한 정신사상 귀중한 고전이 되었다. 이밖에 《삼위일체론》(三位一體論, De Trintate, 15권, 400?~419?), 《신국》(De Civitate Dei, 22권, 413~426) 등 후세의 그리스도교 사상을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큰 힘의 하나로 작용하였다.

   [참고문헌] E. Brehier, Periode Hellenistique et Romaine, v. 1, 2 of Histoire de la philosophie, t. 2, Paris 1926-1932 / A.J. Festugiere, L'Ideal religieux des Grecs et l'Eglise de Clement de Rome a Clement d'Alexandrie, Paris 1957 / C. Tresmonatnt, A Study of Hebrew Thought, tr. M.F. Gibson, New York 1960; La Metaphysique du christianisme et la naissance de la philosophie chretienne, Paris 1961 / J. Danielou, Message evangelique et culture hellenistique aux II' et III' siecles, v. 2 of Histoire des doctrines cheretiennes avant Nicee, Tournai 1961 / C. Tresmontant, The Origins of Christian Philosophy, tr. M. Pontifex, Now York 1963 / John A. Hardon, S.J., Modern Catholic Dictionary, New York 1980.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