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정치신학◆ 인쇄

한자 政治神學
영어 political theology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난 신학의 한 흐름으로, 신앙의 제재(題材)를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신학을 가리킨다. 정치신학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이를 전개한 사람들은 메츠(J.B. Metz), 몰트만(J. Moltman), 콕스(H. Cox) 등이다. 이들은 이전까지 신학사회와는 단절된 개인의 신앙만을 문제 삼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신앙이 사사화(私事化, privatization)하여 신앙의 실천이 사회와는 무관한 개인의 인격적인 문제에만 국한되어 왔다고 비판하면서, 인간사회와 밀접히 결속되어 있는 만큼 정치에 관심이 없는 신학은 올바른 신학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면서 신앙에 함축되어 있는 정치적인 역량을 개발하여 보다 나은 세계를 건설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정치신학은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남기신 종말론적인 약속들, 예컨대 정의, 자유, 평화, 화해 등을 성취하기 위해 그리스도 교인들은 사회의 온갖 구조악과 맞서 싸워 이들을 추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정치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보다 나은 세계를 지향하는 것이야말로 인류의 구원에 동참하는 행위임을 정치신학자들은 신앙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정치신학자들은 정치와 신앙을 혼동하지는 않는다. 다만 인간이 처한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신앙인인 살아가야 할 모습이 어떤 것인가를 끊임없이 추구함으로써 현실에 책임을 지는 신학일 따름이라고 그들은 주장한다. 2차 세계대전이라는 엄청난 재난을 겪은 서유럽 신학자들에 의해 태동한 정치신학은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차별받는 흑인들에게 수용되어 흑인신학으로, 라틴아메리카로 건너가 해방신학으로, 여성운동가들에게 수용되어 여성신학으로 발전되어 억눌린 사람들의 해방을 위한 신학이 되고 있다.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