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조선교구◆ 인쇄

한자 朝鮮敎區
라틴어 Vicariatus Apostolicus Coreae

   1831년 9월 9일 로마교황 그레고리오 16세에 의해 조선왕국에 설정된 교구. 정확한 명칭은 조선대목구(代牧區)이나 편의상 조선 교구로 부르고 있다.

   1. 조선교구가 설정되기까지 : 1660년 중국 남경(南京)에 교구가 설정되면서 조선지역은 남경교구에 포함되었다. 그 후 조선지역은 1792년 북경 교구 구베아(Gouvea) 주교의 개인적인 보호와 지도에 맡겨졌고, 이러한 위임은 구베아 주교의 후계자들에게도 계승되어 조선 교회가 북경교구에 속한 것이나 다를 바 없게 되었다. 한편 조선에서는 일부 학자들이 천주교 교리를 연구하기 시작한 후, 주어사 · 천진암(走魚寺 · 天眞菴)에 모여 강학(講學)을 하는 동안 천주교 신앙에 대한 싹이 텄다. 그래서 1784년에 이벽(李檗)의 권유로 이승훈(李承薰)이 북경에 들어가 세례를 받고 귀국한 다음, 그들은 ‘천주교 신앙 공동체’를 만들었다. 이 신앙공동체의 출현에서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을 찾게 된다. 초기의 신도들은 스스로 신앙을 찾고 구했으며 실천했다는 점에서 세계 교회사상 유례가 없는 자율적인 교회 창설의 전통을 남겼다. 그리고 한국 교회를 가톨릭 교회 본연의 교회로 승화시키기 위하여 열성적으로 성직자 영입(迎入)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1795년에는 한국 교회의 사목 책임자(司牧責任者)인 북경주교가 보낸 중국인 주문모(周文謨) 신부를 맞아들였다.

   그러나 주문모 신부가 1801년 신유박해(辛酉迫害)로 순교하자, 조선 교회는 또 목자 없는 교회로 돌아갔다. 그래서 제2차 성직자 영입운동을 벌이게 되었는데 청원(請願)은 당연히 조선 교회의 사목책임자인 북경주교가 대상이 되었으나 자율적 활동으로 신앙을 구하고 교회를 창설한 전통을 가진 신자들이기에 마침내 가톨릭의 수위권자(首位權者)인 교황에게 직접 청원하는 적극적인 대책을 세웠다. 조선 교회가 창설된 후, 조선의 신도들에 의해 제기된 조선 교회와 로마 교황과의 연계 발상(連繫發想)은 황사영(黃嗣永)의 백서(帛書)에 처음으로 나타나 있다. 그 뒤 1811년 권(權)기인 등 8명의 평신도 지도자들은 조선 교회의 재건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로마 교황청에 주교의 파견을 요청함으로써 교구설정을 위한 노력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었다. 이에 이어 교황이 조선교구의 설정을 결심케 한 것은 1825년에 쇄국의 조선왕국에서 발송한 정하상(丁夏祥)과 유진길(柳進吉) 등의 간절한 청원서였다. 이 청원은 조선 교회를 위한 성직자 파견만이 아니라, 조선 교회에 대한 영속적 교정(敎政)대책의 강구를 요청하였다.

   조선교구의 설정에는 북경주교의 호의가 적지 않게 작용하였다. 혹독한 박해 하에서도 발전하는 조선 교회의 존재는 북경 주교의 뜨거운 감격을 자아내기에 충분하였다. 사목 책임자로서 그는 깊은 이해와 뜨거운 후원으로 로마교황에게 조선 교인들이 직소(直訴)하는 청원을 오해 없이 수긍하고 이를 교황에 전달하는 데에 적극 협력하였다. 조선 교회의 청원은 1827년 포교성성(布敎聖省)에 접수되고 교황에게 상정되었는데 교황과 포교성성 장관인 카펠라리(Cappellari)추기경은 성심을 다하여 조선 교회의 대책을 서둘렀다. 그는 파리 외방전교회(外邦傳敎會)에 조선 선교의 중책을 맡아 주도록 거듭 교섭하였다. 조선 교회를 위하여 더 다행한 일은 파리 외방선교회의 브뤼기에르 신부가 1829년 멀리 방콕에서 조선전도를 지원하고 나선 일이고, 1830년에는 조선 교회를 위해 적극 힘써 준 카펠라리 추기경이 교황으로 선임되어 그레고리오 16세로 즉위한 것이다. 그래서 조선교구의 설정을 위한 노력은 마침내 결실을 맺고 ‘사도로부터 이어온 사도전승의 교회’의 제도가 조선에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2. 조선교구의 활동 : 1831년 조선교구가 독립교구로 설정된 이후 그 역할과 업적, 그리고 희생은 엄청나게 컸다. 그러나 조선 교회의 끈질긴 저력은 초기 교회에서 평신도들이 자율적으로 교회를 일으키고 지켰던 연면한 전통에 그 바탕이 있었다. 모진 박해시련 속에 자라온 조선교구는 1911년에 서울교구로 개칭되었으며 전라도와 경상도지방을 대구(大邱)교구로 분리시켜 주었다. 한국 전역을 관할하였던 조선교구 80년 발자취는 대략 다음과 같다.

   ① 선교사들의 포교활동 : 조선교구의 사목을 맡은 파리 외방선교회 선교사들은 조선시대에 목숨을 걸고 포교하다가 많은 순교자를 냈다는 데 그 특색이 있다. 조선교구의 초대 교구장브뤼기에르 주교는 만주 뻬리쿠(哵咧溝)에서 병사하였다. 그 후 최초로 입국한 선교사모방(Maubant, 羅伯多祿) 신부였다. 그는 1836년 1월, 조신철(趙信喆)과 정하상의 안내로 변문(邊門)을 거쳐 무사히 서울에 도착하자, 정하상의 집에 머무르면서 조선어를 배우는 한편 한문으로 성찰방식(省察方式)을 만들어 번역하고, 고해성사를 비롯해서 모든 성사를 집행하였다. 그는 또 각 지방을 돌아다니며 포교했는데 경기도와 충청도에 분포된 교우촌(敎友村)들을 찾아가 각 교우촌의 회장을 임명하고 주일축일에도 전례적(典禮的)인 모임을 갖도록 하였다. 모방 신부의 활동 중 가장 괄목할 업적은 1836년 말에 3명의 조선인 소년 최양업(崔良業), 최방제(崔方濟), 김대건(金大建)을 선발하여 마카오신학교에 보낸 일이다. 샤스탕(Chastan, 鄭) 신부는, 소년들을 데리고 간 정하상 등의 안내로 무사히 입국하여, 전교에 필요한 조선어를 외우면서 교우들이 사는 방방곡곡을 찾아다니며 성사를 집행하였다.

   1838년에는 2대 교구장 앵베르(Imbert, 范世亭) 주교가 입국하여 당시 9천여 명에 달한 조선신자들을 사목하였다. 한편, 그는 사제직에 적합한 신자들을 선발하여 신학과 라틴어를 강의하였다. 그 중에는 42세의 정하상도 있었는데 그들은 속성(速成)으로 3년내에 신품(神品)을 받도록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해박해(己亥迫害)로 인하여 이러한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고, 정하상도 선교사들과 함께 순교하였다. 1841년 8월 22일에 조선교구는 교황으로부터 ‘무염시태’(無染始胎)의 성모 마리아주보(主保)로 받아 모시게 되었다.

   3대 교구장으로 임명된 페레올(Ferreol, 高) 주교는 1845년에 다블뤼(Daveluy, 安敦伊) 신부와 함께 바다로 입국하였다. 그는 한국인 첫 신부인 김대건에게 신품성사를 베풀고 교우들의 신앙생활을 돕고, 신심(信心)단체들을 설립하였다. 페레올 주교는 ≪긔해일긔≫를 편찬하는 한편 ≪병오일기≫(丙午日記)[김대건 신부를 비롯한 9명의 순교자 전기 포함]를 수집하여 로마로 보냈고, 박해를 피해 숨어 다니며 포교에 힘쓰다가 1853년 45세로 병사하였다.

   철종(哲宗)시대의 조선교구는 궁핍하고 가난한 중에도 종교상으로는 풍요한 때였다. 1854년에 입국한 4대 교구장 베르뇌(Berneux, 張敬一) 주교는 1857년에 다블뤼 신부에게 조선에서 최초로 주교의 성성식(成聖式)을 올리어 계승권을 가진 보좌주교로 임명하고, 처음 성직자회의도 개최하였다. 그는 조선교구 신자생활 전반에 관한 지침을 제시하고 사목서한(司牧書翰)인 <장주교 윤시제우서>(張主敎輪示諸友書)를 1859년 8월 2일자로 일반 신자들에게 발표하였다. 베르뇌 주교는 또 메스트르(Maistre, 李) 신부를 시켜 고아를 기르는 성영회(聖嬰會)를 운영토록 했으며 기아(棄兒)를 거두어 키웠다. 또 주요한 도시에는 ‘시약소’(施藥所)를 세워, 빈민들을 무료로 치료하여 주었는데 이것은 한국 교회 최초의 의료사업이었다. 그는 성직자 양성에도 대단한 관심을 가지고, 제천에 푸르티에(Pourthie, 申) 신부 지휘로 신학교를 설치하여 정규과정을 가르치게 하였다. 당시 푸르티에 신부자연과학 · 조선의 식물학 · 지질학 · 동물학 · 과학 · 조선어 연구 · 문법서 · 나한한(羅韓漢)사전 등을 편찬하는 등 대단히 광범위한 학문연구를 10여년간 계속하였다.

   1866년 병인박해(丙寅迫害) 때 베르뇌 주교가 먼저 순교하자 보좌주교였던 다블뤼 주교가 5대 교구장이 되었으나, 그도 곧 체포되어 순교하였다. 다블뤼 주교는 성무집행을 할 당시 여가를 이용하여 ≪조선사 연표(年表)≫와 조선역사에 대한 책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였으며 ≪한한불(漢韓佛)사전≫을 준비하면서 그때까지 조선신자들이 가지고 있던 모든 천주교 서적을 재검토하였다. 그는 한국어의 단어에 대한 상당한 목록(目錄)을 수집하였는데 이러한 활동은 당시의 조선에서 처음 시도된 일이었다. 다블뤼 주교는 1857년에 ≪한한불사전≫을 거의 마무리하고 조선 순교자들에 관한 사료수집에 착수하여 두 종류의 <비망기>를 작성하였다. 이와 같은 귀중한 사료들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파리의 본부로 보낸 것은 그의 큰 업적이었다. 병인박해 때 살아남아 조선을 탈출한 리델(Ridel, 李福明) 신부가 6대 교구장이 되어 1877년에 다시 조선에 입국했으나 곧 체포되어 중국으로 추방되었다.

   한국 교회는 박해 가운데도 국내에서 각종 교리서의 번역, 보급과 함께 ≪한불자전≫(韓佛字典), ≪한어문전≫(韓語文典) 등의 편찬 작업을 진행하여 1880년과 1881년에 이의 간행을 보게 됨으로써 한국을 세계에 널리 알리게 되었다. 또한 달레(Dallet)의 ≪한국 천주교사≫(Histoire de l'Eglise de Coree)가 1874년에 파리에서 출판됨으로써 가혹한 박해 속에서도 살아남은 한국 교회의 모습이 전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한국 교회는 1880년대 전반기부터 어느 정도 신앙자유 얻게 되었다. 이 때 7대 교구장으로 임명된 블랑(Blanc, 白圭三) 주교는 종현성당의 터를 잡아 성당 건립의 기초를 마련하는 등 한국 교회 재건에 공헌하였다. 1890년에는 뮈텔(Mutel, 閔德孝) 신부가 8대 교구장으로 임명되었고, 포교사업은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 발전되었다.

   ② 평신도들의 활동 : 조선교구 시대의 평신도들은 수차에 걸친 가혹한 대박해에도 불구하고 교회를 끝까지 사수(死守)하였다. 이 시기천주교 신자들은 대체적으로 가족적이고 친족적(親族的)인 관계와 연결되어 활동하였다. 그들은 극히 가난한 처지에 놓여 있었으나 박해를 피해 다니는 교우들끼리 촌락(村落)을 형성하여 공동의 생업(生業)을 영위하며 살아갔다. 교우촌의 신자들은 서로 돕고 협력하면서 정신적 위로와 극진한 교우애로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교우촌에서 베푸는 교육의 내용은 대체로 교리 지식과 기도생활에 관한 것이었으며 순교정신에 대한 철저한 종교교육이 실시되었다. 그들은 심한 박해를 견디면서 선교사들을 보호해 주었고, 회장들은 선교사를 도와 복사(服事), 강론, 성경해설, 교리설명 등 다양하고 광범한 활동을 하였다. 흉년이 들어도 가난한 사람을 서로 돕고, 무식한 사람들을 가르치며, 병자들을 찾아 간호해 주고, 감옥에 갇힌 동료들을 위로하며, 버려진 어린이들을 데려다 키웠다. 그들은 이와 같은 선행을 통하여 포교하고 교세를 키워갔다.

   당시 평신도들은 외적(外的)인 많은 제약과 박해 속에서도 차원 높은 신앙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다. 박해 때문에 선교사회장을 잃었다 하더라도 그것은 일시적인 손실에 지나지 않았고, 당시의 교회는 단시일 내에 다시 생명력을 되찾는 저력을 보였다. 평신도들의 순교정신, 교우애, 실천의 덕행, 그리고 생명과 바꾸는 포교행위는 한국 교회의 굳건한 초석이 되었다.

   ③ 조선교구의 문화활동 : 조선교구의 문화활동은 한 마디로 한국 근대화의 정신적 기초를 마련해 준 것이었다. 조선교구는 한국어의 연구와 한글보급에 크게 공헌하였고,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의식을 불어 놓은 사회 교육적 기능을 발휘하였다. 또한 1880년대 이후부터는 각종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애국계몽운동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또한 <경향신문>과 같은 교회의 공식 언론기관을 통하여 개화(開化)의 참된 방향을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 조선교구 시대에 성취된 신앙자유는 우리나라의 종교 · 신앙자유를 확립시킨 기점이 되었다. 그러나 조선교구가 남긴 정신적 유산 중에 가장 큰 것은 순교의 전통이었다. 조선교구는 교구가 설정된 후만 하여도 세 차례나 큰 박해를 당하였고 1만여명의 순교자를 배출하였다. 그 가운데서 1839년 기해박해, 1846년 병오박해(丙午迫害) 때 순교한 79위는 1925년 시복되었으며, 1866년 병인박해 때 순교한 24위는 1968년 시복되었으며, 이들 103명의 복자들은 1984년 5월 6일 한국을 방문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집전으로 서울에서 시성(諡聖)되었다. 이 103위 순교 성인들은 조선교구가 세계의 교회에 남겨 준 중요한 정신적 유산인 것이다. (⇒) 서울대교구

   [참고문헌] 朝鮮敎區設定150周年紀念敎會史심포지움報告書, 敎會史硏究, 第4輯, 韓國敎會史硏究所, 1983 / 崔奭祐, 韓國天主敎會의 歷史, 韓國敎會史硏究所, 1982.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