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주지주의◆ 인쇄

한자 主知主義
영어 intellectualism
독일어 Intellektualismus
프랑스어 intellectualisme

   인간의 마음은 지(知), 정(情), 의(意)로 이루어진다고 말해지는데 이 가운데 지의 측면, 즉 이성(理性), 지성(知性), 오성(悟性)으로 불리는 지(知)의 기능을 다른 감정이나 의지의 기능보다도 상위에 두는 입장을 주지주의라 부르고, 감정을 상위에 두는 주정주의(主情主義), 의지를 상위에 두는 주의주의(主意主義)의 상대적 개념으로 사용된다. ① 인식론에서 주지주의는 이성론(理性論)으로 나타난다. 보편타당한 진리의 인식은 경험에서 독립된 이성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하여 선천적(a priori)으로 자명한 근본 원리에서 논리적으로 추출된 것만이 확실한 인식이라고 인정한다. 수학을 확실한 인식모델로 삼으며, 영원불변의 생득관념(生得觀念)을 인정한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칸트, 헤겔 등이 대표적이다. ② 심리학에서는 독일의 심리학자 헤르바르트(Johann Friedrich Herbart)에 의해서 주장되었다. 그는 경험적 개념에 포함된 많은 모순을 제거하여 경험의 배후에 있는 변치 않는 실재(das Reale)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하여 심리적인 현상을 지적 요소로 설명하려 하였다. ③ 윤리학에서는 감정을 억제하고 냉정한 이성적 통찰을 통해 의지를 규정한다는 입장으로 나타났다. 이 입장은 삶을 있는 그대로의 의지와 감정의 움직임으로 보는 비합리적 사고에 반대한다.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