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VADEMECUM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NEW)
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파스칼◆
인쇄
원어명
Pascal, Blaise
Pascal, Blaise(1623∼1662).
프랑스
의 수학자, 물리학자,
그리스도교
사상가.
클레
르몽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죽었다. 사법관의 아들로 3세 때 모친을 여의고, 부친의 사직(辭職)과 동시에 파리로 이주하였다. 어려서부터 비상한 재능을 보야 12세 때 혼자 힘으로 유클리드기하학 정리 32까지 생각해냈다고 한다. 부친의
친구
인 수학자 데자르그(Gerard Desargues, 1593∼1662)의 영향을 받고, 16세 나이로 유명한 ≪원추곡선 시론≫(Essai pour les coniques, 1640)을 썼다. 1639년 부친의 복직으로 일가는 루앙(Rouen)에 이주하였다. 계산기를 발명, 1648년에는 파스칼의 원리(수압기의 원리)를 발견, 그 후에도 1654년부터 1658년 사이에 수학분야에서 정수론(整數論), 확률론, 적분법에 관한 많은 발견을 하였다. 이러한 과학연구와 함께 가족 모두가 얀센주의
신앙
을 믿어, 1646년에 그 자신도 ‘제1차 회심(回心)’을 체험하였다.
1650년 일가는 다시 파리로 옮겨, 그는
사교
계의 교양있는
인사
들과 접촉,
인간
완성의 이상을 추구, 문학자로서의 자질을 연마하는 동시에 수학적 사색에 더욱 몰두하였다. 그러나 이
세상
의 삶과
신앙
과의 모순에 관해 내면적으로 심각한 고민에 빠진 끝에 마침내 1654년 11월 결정적 회심이라 일컬어지는 이상한
신비
적 체험을 가졌다. 이 체험에서 그는 사람의 아들이자 신(神)이신
예수 그리스도
에 대한 인격적 종교적인
신앙
속에 가장 확실한 것을 얻었다고 믿었다. 그것은 합리적 확실성을
초월
한 감정 ·
의지
등 전인적(全人的) 활동을 감싸고 충만케 하는 확실성이었다. 누이동생 자클린(Jacqueline)에 뒤이어 1655년 포르르와얄(Port Royal) 수도원의 객원(客員)이 되어,
성서
와
교부
의 연구에 몰두하였다. 얀센주의에 공명하는 이 수도원은 당시의
예수회
로부터
수도원장
아르노(A. Arnauld)를 비롯해 심한 공격을 당했고, 결국 얀센주의는
이단
판결을 받았다. 파스칼은 아르노의 위촉을 받고 1651년부터 1657년까지 연달의 익명의 공개장 ≪시골사람들에게 보내는 편지≫(Lettres crites a un provincial)를 발표, 처음에
은총
에 관한
신학
문제를 논하고, 이어서
예수회
의 파성적이고 부패된
도덕
을 규탄해서 크게 인심을 동요케 하였다. 이 서한은 문학사적으로 근대
프랑스
산문의 모범으로 손꼽히는 명문(名文)이다. 이보다 앞서 그는 과학적 사대정신(회의주의, 이상주의, 수학)과
그리스도교
신앙
을 대결시키는
그리스도교
변증론의 구상을 짜기 시작하였으나, 이 저술은 완성을 못보고 단편적 초안만 남겨졌다. 이것이 유명한 수상록 ≪팡세≫(Pensees sur la region)이며, 그가 별세한 후에 출판되었다. 또한 1658년에는 ‘나선(螺旋)’의 문제에 관한 사색을 했고, 미적분학(微積分學)을 발표하여 훗일의 라이프니츠 미적분학의 선구(先驅)가 되었다. 만년에는 지병(持病)에 시달리면서 고뇌 속에 사색을 계속하였다.
사상사적으로 그의 업적을 생각해 보면,
르네상스
이래로 일어난 근대
자연
과학, 인문주의적
인간
형성,
종교개혁
운동을 계기로 대두된
아우구스티노
적 종교사상 등 세 가지를 계승 발전시켰는데, 이것은 그가 수립한 3개의 질서(물체 · 정신 ·
자애
)에 각각 자리를 잡을 수 있다. 그는
도덕
가로서 개아(個我)의 완성사상을 추구했는데, 이것은 이 3개 질서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인간
중심주의의 오류에 빠지지 않는다.
자연
·
인간
· 신의 문제가 저마다 실재성을 드러내면 전개되고 있다.
자연
과학에 있어서 그는 스콜라적
자연
학이나
데카르트
적
자연
학에 대해, 갈릴레이에서 뉴턴으로 발전하는 근대적 실증적
자연
과학 계열에 있으며,
인간
문제 있어서는
데카르트
적 합리주의에 대해 주체적 고찰방법에 의해 후세의 실존적 사유(思惟)를 예시(豫示)하였다. 종교문제에 있어서는 스콜라적
주지주의
적인
교의
학 및
윤리학
을 타파하고,
의지
결단과 내면성을 중시하는 근대 · 현대
가톨릭
시즘의 선구를 이루고 있다. 그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뒤를 잇는
프랑스
도덕
가의 한 사람이지만, 그
인간
완성은
인간
의
자연
적 능력에 내재(內在)하지 않고
하느님
의 초자연적 관계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 <심정설>(心情說)에 있어서 베르그송(H. Bergson) 등의 사상적 선구가 되고 있다.
출처 : [가톨릭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