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성무예절서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NEW)
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구원◆
인쇄
한자
救援
라틴어
salvatio
영어
salvation
“도와 건져 준다”로 풀이되는 구원이란 말은 누가 남을 재앙에서 벗어나게 해 주고 아울러 먼저 상태로 회복시키거나 보다 나은 상태에 놓인다는 것을 뜻한다. 이 ‘구원’이란 단어는 위험을 제거하는 것과 마음의 위안을 제공하는 양면이 있는 동시에, 건져 주는 이와 건져진 이가 서로 불가결한 관계를 맺는다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구원행위를 표현하는 말은 다양하나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흔히 쓰이는 ‘살린다’라는 동사가 상황의 긴박함을 잘 말해 주는 바와 같이, 구원은 인생의 기본적이고 궁극적인 문제와 관련된다.
인간
은 살다 보면 누구나 인생에 대하여 불안감이나 부족함을 느끼면서
행복
을 갈망하고 있다. 동서고금을 통해 볼 때, 현인들은 만족스럽지 못한 인생에서 자기 자신을 스스로 구제하려고 노력했으며 그들이 발견한 구제 방법들을 아낌없이 남에게 가르쳐 왔다. 그리고 자의로 해탈에 도달하려는
불교
마저도 중생을 고해에서 극락세계로
인도
하고 제도하는 보살의 역할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남은 도와주되 자기 자신을 위하여는 도움을 거절하는 현인들을 볼 때, 공교롭게도 그들은 현세에 대하여 비관과 절망에 빠져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공통된 점이다. 그렇다면
인간
을 구제하기 위하여 구태여 우리가 속해있는 현실세계를 등지고 살아야만 되는가? 또한 고대 그리스 현인들처럼 물질세계에 속하는 육체를 버리고
영혼
만이 누릴 수 있는
행복
을 후세에까지 미루어야 하는가? 이를 잘못 이해하면 구원이란 선각자의 고답적인 지혜와 도피생활을 의미할 수 있다. 그래서 구원을 아예 기대하지도 않고 인생을 운명으로 초연히 받아들이며
죽음
을 헌거롭게 대면하는 태도야말로
인간
의 존엄성을 보존하는 유일한 길로 보인다. 이렇게 볼 때, 구원은 현세에 머무르는
인간
의 실패를 말하는 것 같다.
그러나 우리
역사
속에 우리가 살아야 할 인생을 통해서
영원히
지속되는
행복
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이색적인 주장은
성서
가르침의 주축이요
교회
가르침의 기초이다.
인간
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현세를 낙관적으로 볼 때, 자기가 사는 세계에서 소외된
인간
을, 바로 이 세계에서 출발하여
영원한
생명
으로 들어가게 하는 비결은
하느님
의 개입에 있다.
하느님
께서 우리의 현세상에 개입하시어 모든
인간
을 위하여 당신과 일치하는
행복
으로 나아가는 길을 마련해 주셨다는 사실은 ‘속량’(贖良)이란 개념뿐 아니라 구원이란 단어로도 표현된다.
외연이 넓은 구원의
동의
어로 쓰이고 있는 죄의
용서
(루가 9:49-50, 19:9-10), 성세(1베드 3:21),
은총
(에페 2:8,
사도
15:11),
부활
(에페 2:6),
하느님
과의 일치(베드 1:4-5) 등은 실제로 구원의 여러 과정을 말해 줄 뿐이다. 또한 구원이란 말을 대신하여 쓰이는 해방,
화해
, 완성은 신인관계와 대인관계의 여러 관점을 표시하며 이들은 구원 개념에 귀착된다. 구원이란 말은 부정적으로 알아들을 위험이 있다 하더라도,
하느님
의 절대적이고 결정적인 역할을 강조하기 위하여는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교회
전통에서 볼 때도,
교부
시대부터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에 이르기까지 이어받고 개발해 온 독특한 표현들, 예컨대 ‘구원계획’, ‘구세사’, ‘구원경륜’, ‘구원의
시기
’, ‘구원의
수단
’, ‘구원의 표시’ 등을 살펴 보건데, ‘구원’이란 단어는 다소 복잡하고도 함축성 있는 단어임에 틀림없다.
1.
인간
을 위하여 개입하시는
하느님
: 구원이란 우선
하느님
께서
인간
을 위하여 이
세상
에서 하시는 일을 뜻한다.
하느님
의 개입이 가능하냐는 문제가 처음부터 제기된다.
인간
의
자유
를 해친다거나 단순히
하느님
의
초월
성을 보호한다고 해서,
하느님
의 개입을 거부하는 것은 미흡한 신관(神觀)에서 비롯된다.
하느님
의 개입, 심지어
하느님
의
존재
문제마저도 선결문제는 아니다.
성서
나
신학
은 그 가능성을 따지지 않고 사실부터 출발하여 개입하시는
하느님
정체의 일부라도
관상
(觀想)하며 표현하려 한다. 그래서
철학
가들의 신이 못하시는 일도 그리스도인들의 신은 해 내신다는 결론부터 인정해야 한다.
인간
이
하느님
의 개입을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하느님
의 활동 및
하느님
의 정체를 규정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하느님
의 개입으로
하느님
다운
하느님
, 즉 자기 피조물에 구애받지 않으실 뿐 아니라 자기
신성
(神性)에도 구애받지 않으시는
하느님
을 발견한다.
인간
이
신성
과
인간
성의 상봉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성부
와
성자
와 성신으로 현존하시는 하나이신
하느님
은 ‘관계의
하느님
’이시니만큼,
신성
을 상실하지 않고서도 피조물들과 새로운 차원에서 관계를 맺으신다.
성부
께서 보내신
성자
께서
인간
이 되시어 우리와 함께 머무르시고 이제부터 영원토록
인간
으로서도 계신다는 사실이,
하느님
의 개입 자체는 창조와는 다르게
인간
을 상대방, 즉 인격자로 삼으시어
인간
에게 당신의
생명
을 부여하기 위하여 함께 하신다. 인성(人性)을 취하시어
인간
이 되신 아드님께서는
영원히
변함없는
하느님
의 아들이시기 때문에
본성
의 차원에서 벌어진
하느님
과
인간
사이의 틈을 없이 하셨다. 즉 그리스도의 인성은
삼위일체
의 대내관계를 변질시키지 않으면서 특히
인간
구원에 있어서 신인관계의 발판이 된다. 인격의 차원에서
인간
을 당신의 상대방으로 삼으심으로써
인간
의 개성을 요구하며 또 확정하신다. 왜냐하면 구별과 일치의 원천이신
성령
께서 신인관계를 이루시는 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느님
의 개입으로
인간
은 개성을 상실하기는커녕
하느님
앞에 서 있는
존재
로서 살고, 몸의
부활
로서 전인(全人)으로 완성된다.
하느님
은
인간
을 인격자로 보심으로써
인간
이 누리는
자유
의 불가침해성을 보장하신다.
하느님
의 개입은
인간
의 진상을 은폐하기보다도 오히려
인간
이 범하는 죄악을 문제시함으로써 죄악을 필요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 같으나, 실제로는 죄악의 성격을 드러내시면서 죄악을 없애 주신다.
하느님
께서
인간
의 죄악을 따지시는 것은 죄악이
인간
의 구성요소가 아님을 드러내시는데 있으며,
인간
에게
용서
를 베푸시는 것은 단지
인간
을 본상태로 되돌리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나은 상태로 올려 주심을 뜻한다.
하느님의 개입은 갑자기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인간
을 살리시는
하느님
을 소개해 주는
성서
가
하느님
의
의도
를 부분적으로나마 암시하고 있다.
사도
바울로
에 의하면, “하느님께서는 미리 정하신 사람들을 불러 주시고 부르신 사람들을 당신과 올바른 관계에 놓아 주시고 당신과 올바른 관계를 가진 자들을
영광
스럽게 해 주셨다”(로마 8:30).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네
단계
로 나누어진 구원과정은
하느님
께서 구원될 자들을 예정하신다는 사실부터 시작된다. 예정론은
하느님
의 절대적인
자유
, 헤아릴 수 없는
자비
, 구원의 무료성(無料性)을 뜻하는 것이고 “하느님께서 우리를 먼저
사랑
하셨다”(1요한 4:19)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하느님
이 사람을 예정하셨다 해서 어떤 사람은 이미 배척하셨다고 말할 수도 없거니와, 오직
하느님
만이 아시는
의도
를 존중하여, 살리시는
하느님
께 절대로
의지
할 뿐이다. 한편 “하느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다 구원을 받게 되고
진리
를 알게 되기를 바라신다.”(1디모 2:4) 는 말씀과 “예수의
복음
을 받아들이지 않는 자들을 처벌하실 것이다.”(2데살 1:8-9)는 말씀은 서로 모순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이 난제를 풀기 위하여 다음의 몇 가지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
이 되신 당신 아드님,
예수 그리스도
와 관계없이 구원을 제공하시지 않으신다. 당신과
인간
사이에 중개역할을 맡으신 분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
이시다(1디모 2:5).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예정되었듯이(에페 1:4-12 참조)
예수 그리스도
에 의해
심판
을 받는다(사도 17:31, 1베드 4:5, 히브 6:2). 따라서 우리가 그분에 대하여 취한 태도에 따라 우리의 구원이 결정된다.
인간
이 예수를 위하여 하는 일도 결정적이다. 그러므로 확실히 우리
세상
에는
지옥
이 없다. 즉 이 지상에서
하느님
께로부터 결정적으로 떼인 자는 없다(로마 5:8-11). 모든 사람을 위하여 죽으신 (2고린 5:15)
예수 그리스도
덕분에 모든
인간
이 구원을 향하게 되었는데,
신앙
으로
응답
하기만 하면(로마 10:9-10) 구원이 아니라
하느님
의 순수한 선물이다(에페 2:5,
사도
15:11).
성서
는 무엇보다도 구원의 무료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 마디로 말해서 구원문제를 다룰 때
하느님
의 입장과
인간
의 입장을 꼭 구별하면서,
인간
이신
하느님
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가 유일한
중개자
로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신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2.
역사
속의 모든 사람을 위하여 :
시간
을
초월
하시는
하느님
의 결의 및
심판
과
역사
안에 머무르는
인간
의 반응을 같은 차원에서 언급할 수는 없다. 즉 구원의 영원성과
시간
성, 그리고
하느님
의 역할과
인간
이 몫을 구별해야 한다. 따라서
하느님
과
인간
을 일치시키는 구원을
세상
에 제공된 구원과
심판
으로 확정된 영원한 구원으로 나누면서, 이 두
단계
의 연관성을 강조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예정론이
구세사
를 필요 없게 만드는
결정론
으로 변하여
신뢰
보다는 공포감을 일으킨다든가, 또는
하느님
의 요구를 무시한 채 구원을 현세상에 제한시키는
세속주의
가 생긴다든가, 또는
하느님
이 보편적 구원의
의도
를 가지신다 해서
지옥
의 가능성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 미망에 빠져 무책임하게 사는 위험들이 종종 있어 왔다.
그 다음,
하느님
께서 구원을 제공하시는 배경도 고려해야 한다. 선하게 창조된
인간
은
자유
를 악용하여 창조자이신
하느님
과의 관계를 끊고 죄를 범하고 말았다. 죄 속에 사는 온 인류(로마 3:10-20)가 유죄 판결을 면할 수 없게 되었다(로마 5:16.18). 그러나
하느님
께서는
역사
속에서 행하실
심판
을 포기하시고, 당신 아드님을 보내 주셔서 죄를 단죄하시고(로마 8:3) 모든
인간
을 죄의 멍에에서 해방시키셨다(로마 5:21). 그분은 우리 죄의
용서
뿐 아니라 당신의
생명
까지 주셨다.
하느님
께서는 벌하는
정의
가 아니라 살리는
정의
를 드러내 보이셨다(로마 3:21-24).
하느님
께서 거저 베푸신(1디모 1:9) 구원을
신앙
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면(로마 10:9) 이를 받아들이는 이들에게는 더 이상 유죄 판결이 없다(로마 8:1 · 34). 그러나 이 기회를 거부하는 자는
역사
를 끝맺는 최후의
심판
을 면할 수 없다(마르 3:29, 8:43-48). 따라서
지옥
에 가는 자는 이중
죄인
이라고 할 수 있다. 최후심판은
창조주
를 거부하고 그분께 도전하는 자들과
하느님
과 결합시켜 주는 구원을 거부하는 자를 단죄할 것이다. 따라서
하느님
께서는 무력하고 결백한 자를 단죄하시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
과의 관계를 되찾는 길을 알면서도
하느님
이 베푸시는
생명
을 거부하는 자들만을 멸망시키실 것이다.
이제 우리는
세상
에서 진행 중인 구원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하느님
께서는
죄인
이 마땅히 받아야 할
심판
을 일단 포기하시고 구원의 길을 더 주심으로써 인류의
역사
를 활성화시키셨다. 실제로 죄 때문에 불안 속에 떨며 현실을 외면하는
인간
은 위축된 생활을 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하느님
께서는
인간
을 부르시고 만민에게
축복
을
약속
하시면서부터 (창세 12:2-3) 결판을 보게 될 종말까지
역사
를 안내하심으로써
역사
의 양극을 제정하시고, 당신 아드님을 보내심으로써
역사
한 가운데에 규범과 기준을 세워 주셨다.
하느님
께서는 일반
역사
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이용하시어 당신 뜻을 이루신다. 사실 성신께서는
예언자
들을 시켜서 구원과 멸망을 가지다 주는 사건들을 가리신다(요한 16:12-13). 즉 사건과 사건의 의미를 밝히는 말씀으로 구성된
계시
를 통해서
삼위일체
이신
하느님
께서는 우리 상황 속에서
구세사
를 형성하신다.
하느님
의 개입방법(여러
차례
의 제약들)과 범위(이스라엘을 통해서 만민에게)를 드러내는 구약시대가
구세주
이신(루가 2:11)
하느님
의 도래를 준비하였다.
예수(“주님이 살리신다”, 마태 1:21)라고 불러진
하느님
의 아들은 환자들을 치유하신 때나(마르 3:4, 5:23 · 28, 6:56, 10:52), 제자들을 구제하실 때나(마태 8:35, 14:30), 자기 자신에 대하여
신앙
을 구함으로써 구원의 성격을 드러내셨다. 그분은 잃어버린 것(루가 9:56, 19:10), 즉
세상
을 구원하기 위하여(요한 3:17, 12:47) 오셔서 말씀하신다(요한 5:34). 남을 구원하면서도 자기 자신을 스스로 구원하시지는 못하지만(마르 15:30)
죽음
과
부활
로 ‘영원한 구원의 원천’이 되셨다(히브 5:7-9). 실제로 우리를 구원할 수 있는 이름은 예수의 이름밖에 없다(사도 4:12). 그래서
교회
가 선포하는
복음
을 유태인(사도 13:26)과 외교인(사도 13:47, 28:28)을 위한 구원의 말씀이다(로마 1:16). 인류 구원에 있어서 당신 몸인
교회
를 살리시는 그리스도(에페 5:23)께서 필요하듯이,
교회
도 필수적이다. “교회 바깥에는 구원이 없다”는 격언이 말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의 몸
인
교회
와 관계없이 구원은 있을 수 없다. 왜냐하면
하느님
께서는 구약시대부터 이미 보여 주신 대로
인간
을 단체로 부르시고 구원하셨듯이, 오늘날도 온 인류를 당신의 백성으로 모으시기 때문이다.
인간
이 되심으로써 모든
인간
과 관계를 맺으신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이를 위하여 죽으시고
부활
하심으로써 온 인류를
구세주
(사도 5:31)가 되셨기에,
교회
도 모든 이에게
파견
된다. ‘일치의
성사
’, 곧 구원의
성사
인
교회
는 인류를 대표하여
주님
이 마련하신 구원을
기념
하고 실현하는
제사
를 올리고 산 이들과
죽은 이
들을 위하여
기도
한다. 따라서 모든 믿는 이들은
바울로
가 자기 민족인
이스라엘
뿐 아니라(로마 11:14 · 26) 외교인에게도
복음
을 전파하였듯이, “하느님의 구원이
이방인
에게로 돌아가게 되었다는 것을 알고”(사도 28:28)
세상
끝까지 구원의 말씀을 선포하고 있다.
하느님
께서 모든 외교인들에게 늘
회개
의
은총
을 베푸시며,
교회
에 들어오지 못한 많은 이들이 양심대로(로마 2:14-16) 살기로 이미 ‘실존적 기본 결단’을 내리고
하느님
의 자녀답게 살고 있다. 그래서 모두가
선교사
인 믿는 이들은 그들의 죄를 일깨워 주면서
하느님
이 그들에게 베푸신 은혜(곧
예수 그리스도
의
신비
)를 발견하도록 이끈다. 그러므로 믿는 이들은
교회
를
박해
하는 자들을 단죄하기보다도 그들이
회개
하고
교회
품에 들어오도록 구원의 길을 터 주어야 한다(마태 5:44-45). 이렇게 함으로써 믿는 이들은 남을 구원한다기보다도 구원을 허락하신
하느님
께
응답
할 뿐이다. 믿는 이들은
성서
를 연구하면서(2디모 3:15) 자기 구원(필립 2:12)과 남의 구원을 위해 일한다(1고린 9:22, 10:33). 오늘날이 바로 ‘구원의 날’이기 때문이다(2고린 6:2). 구원의 상속자(히브 1:14)가 된 우리는
희망
으로 구원받았다.(로마 8:24). 그래서 온갖
선행
을 하면서(야고 2:14) “그리스도께서 구원을 주신 날”(히브 9:28)을 기대하고 있다. 우리는 이제 그리스도의 피로써 의로움을 얻었으니 그리스도의 덕분으로
하느님
의 진노에서 구원될 것이다(로마 5:9). (文世華)
[참고문헌] T.G. Pinches et al., Hastings ERE, 11 / EncDict Bibl 2101-07 / X. Leon-Dufour, ed., Vocabulaire de theologie biblique, Paris 1962 / M.E. Boismard, St. John's Prologue, tr. Carisbrooke Dominicans, Westminister Md. 1957 / L. Cerfaux, Chrit in the theology of St. Paul, tr. G. Webb and A. Walker, New York 1956 / J. Danielou, Christ and Us, tr. W. Roberts, New York 1961 / F.X. Durrwell, The Resurrection, A Biblical Study, tr. R. Sheed, New York 1960 / A. Gelin el al., Son and Saviour, tr. A. Wheaton Crev. ed., Baltimore 1962.
출처 : [가톨릭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