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기적◆ 인쇄

한자 奇蹟
라틴어 miraculum
영어 miracle

   초자연적인 계시의 표지로서 하느님이 비범하게 역사하시는, 감지할 수 있는 사건. 기적은 치유하고 구원하는 하느님의 종말론적 능력을 미리 계시하는 것이라는 의미와 이 계시를 모든 사람들이 깨닫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감지할 수 있으면서도 비범하게 표현된 것이라는 표징적 기능을 지닌다. 기적은 질병의 치유와 같은 물리적 기적과 예언의 경우처럼 지적(知的) 기적 및 바울로개종 사례와 같은 윤리적 기적으로 구분된다. 구약에서는 두 시기 즉 하느님의 백성으로 설정되는 시대인 모세와 여호수아의 생애와 모세 계약의 재건자들인 엘리야와 엘리사의 생애 동안에 주로 기적 이야기가 집중된다. 이집트의 열 가지 재앙이나 사막에서의 기적들과 약속된 땅의 정복에 관한 전승적 이야기들은 하느님의 초월성과 전능하신 하느님의 은혜로운 보호적 현존(여호 24:17)을 보여 주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었다. 여기서 이스라엘기원이 창조사업에 비길 만한 기적이었음(이사 65:17)을 알게 된다. 구약을 통하여 기적은 하느님의 심부름꾼이 선포한 하느님의 말씀을 뒷받침해 주므로 말씀에 종속해 있는 표징이며, 기적은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일으켜 주므로 효력 있는 표징이다.

   예수는 기적들로써 예언자들이 선포했던 메시아 왕국이 당신 자신의 위격 안에 현존해 있음을 보여 주셨다(마태 11:4-5). 그분은 당신 자신과 당신 안에 육화한 하느님 나라복음에다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사람들로 하여금 당신이 누구이신지를 묻도록 유도하는 놀라움을 불러일으켰다(마태 8:27). 복음회개신앙에 의하여 받아들여지기로 되어 있는데(마르 1:15), 기적은 회개신앙을 일깨워 주려는 의도를 지니었다. 그러나 믿기 위하여 그분의 기적에 너무 의존하는 것은 불완전한 믿음의 표현이다(요한 10;38). 새로운 출애급의 정점인 부활의 표징(요한 13:1)은 교회를 설정하였고 구원의 완성인 죽은 이들의 부활을 선포하였다(1고린 15:20).

   오늘날에도 교회성인들의 빛나는 업적 안에서 볼 수 있는 윤리적 기적들과 루르드의 기적 같은 물리적 기적은 하느님의 말씀에로 우리의 주위를 이끌어 준다. 그러나 하느님께 자신을 개방하는 마음 자세가 없는 자는 기적의 증거를 거절할 것이다(요한 5:36). 이러한 마음 자세를 공관복음은 ‘기적에 선행하는 신앙’이라 보고 있다(마르 5:36, 9:23).

   역사상 기적이 가능한 지에 관하여 18세기의 근대 과학은 기적을 자연법칙으로 환원시켜 설명하고 19세기의 합리주의는 이를 신화로 돌렸으나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하느님의 계시성령에 의한 내적 도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기적을 통해서도 드러난다고 하였으며, 비오 12세는(1910년) 기적이 모든 시대의 모든 지성에 부합될 수 있다고 하였다.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