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박해◆ 인쇄

한자 迫害
[참조단어] 조상 제사

   박해란 강제력과 심리적 수단으로 신앙자유를 억압하려는 탄압 행위를 말한다. 그 목적은 신자들을 배교시켜 신앙을 말살하려는 데에 있다. 이 박해의 역사로마 제국의 그리스도교 박해에서 시작된다. 이는 폭군 네로(54~68년 재위) 시대에서 밀라노 칙령(313년)까지 약 3세기 동안 계속되었다.

   한국의 박해는 1785년에 시작되어 1801년(신유박해), 1839년(기해박해), 1846년(병오박해), 1866년(병인박해) 4대 박해를 비롯해서, 1910년 제주도 박해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박해가 1세기 동안 계속되었다.

   하느님을 만물 위에 받들고 그에 대한 절대적인 신앙을 요구하는 천주교는, 당시 국교의 성격을 띠고 있던 유교 사회와 근본적으로 대립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보편성을 요구하는 천주교의 근대적 평등 사상은 충효를 숭상하던 가부장적 봉건 윤리와는 충돌이 불가피하였다. 이러한 대립은 정조 15년(1791년) 전라도 진산에서 현실로 나타났다. 윤지충이 모친상을 당하여 교리에 따라 제사를 폐하고 신주(神主)를 불살랐다 하여, 주자 가례(朱子家禮)를 어긴 죄목으로 처형당하였다. 이것을 시작으로 박해는 본격화되었다.
출처 : [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