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가톨릭대사전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성무예절서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가톨릭대사전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다니엘서◆
인쇄
한자
~書
라틴어
Prophetia Danielis
영어
Book of Daniel
히브리어
경전
은 다니엘서를
성문서
(聖文書)에 포함시켜
에스델서
와
에즈라서
사이에 배치시키고 있으나, 70인역(Septuaginta)이나 그 밖의 그리스어 번역본들은 이를 예언서로 취급하여
에제키엘서
다음에 배열하고 있다.
1. 저자와 저작연대 : 다니엘서의 저자가 정확하게 누구인지는 모르나, 하시딤(Hasidim)[‘경건한 자들’이란 뜻]사람들 중 한 사람으로 본다. 하시딤 사람들로 구성된
유태교
일파가 그 모습을 드러낸
시기
는 대략 마카베오
형제
들의 반란 이전이다. 이들은
율법
에 충실했으며, 이방민족들의 영향력을 적극 반대했던 사람들이다. 당초 마카베오
형제
들의 반란을 지지했던 것은 사실이나(1마카 2:42, 2마카 14:6), 이 반란이
종교
성을 상실한 순수
정치
적 실력행사로 판단되는 순간 이들은 거기에서 이탈하여 그들 고유의 행동노선을 밟아 간다. 이들의 직접적인 후예들이 바로
바리사이파
사람들이다. 다니엘서 저자는 그리스화 움직임에 대해 혐오감을 가지고 있으며, 성실하게 살고 있는 유태인들로 하여금
율법
에 무조건 복종할 것을 강요하는 자들을 증오하고 있다. 그는 그리스 셀류쿠스 왕들의 침입으로 위기에 처한 동족들에게
용기
를 북돋아 주며,
박해
에 직면해서도 굽힐 줄 모르는
신앙
을 고취시키고 있다. 다니엘서 9:4-19, 3:26-45절이 하시딤 사람들의 정신을 잘 반영해 주는
기도
문들이며, 본
기도
문들에서 저자는
이스라엘
의 무력함을 인정하면서 하느님의 선성만을 호소하고 있다. 사후(死後)의
상선벌악
과
육신
의
부활
에 대한
교의
를 처음으로 분명하게 표명해 내고 있는 것 역시 저자의 최대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10~11장의 현시들이
기원
전 164년 고대 근동지방과
유태교
의
역사
를 조금씩 밝혀 주고 있고, 이어서 등장하는
희망
에 대한 메시지(11:40-45), 최후심판과
죽은 이
들의
부활
사상(12:1-4) 등이 그리스왕 안티오쿠스 에피파누스(기원전 175~164)시대
유태교
의
종교
적인 문제점들과 잘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원
전 190년경의 작품인
집회서
가
이스라엘
예언자
들 사이에 다니엘을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에서(집회 48:22, 49:7-8 · 10) 다니엘서는 그 이전에 저술되지 않았음이 분명하다. 한편 저자는
기원
전 167년 12월 7일에 있었던
성전
침해사건(11:3)과 열심한 유태인들의
죽음
(11:33), 그리고
기원
전 166년 마카베오
형제
들의 반란과 그 중
유다
의 첫 승리(11:34)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저자가 유대인을
박해
하던 왕의
죽음
(기원전 164년 가을)에 대해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는 반면
성전
정화
사업(기원전 164년 12월 14일)을 암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니엘서는
기원
전 164년에 완성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2. 히브리어
경전
과 그리스어
경전
:
기원
후 95년경
유태교
학자들이 얌니아[지금의 야브네]에 모여
경전
으로 인정하고 그 외 모든 저서를
위경
(僞經)으로 취급해 버렸다. 이 히브리어
경전
속의 다니엘서는 12장(章)만을 간직하고 있으며, 1:1-2, 4a, 8:1-12, 13절은 히브리어로, 2:4b-7, 28절은
아람어
로 씌어져 있다. 저자가 왜 이 두 언어를 사용하여 다니엘서를 저술했는지 그 이유를 정확히 알아 볼 방법이 없으나, 단지
아람어
로 된 어록(語錄)이 히브리어로 된 끝부분과 도입부분으로 보완되었음은 인정 할 수 있다. 저자는 여러 자료를 수집하여 다니엘(2, 4, 6장), 그의 세 동료(3장) 또는 이 네 사람이 동시에(1장)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설화부분(1~6장)으로 크게 나누어 놓았다. 이 두 부분에 열거된 자료들이 시대순을 따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다분히 인위적이며 따라서 이를 통하여 저작연대를 측정할 수는 없다. 다니엘서에서 우리가 찾아야 할 것은 어떤
역사
적인 어록이 아니라 그것이 제시하려 하는
종교
적 관점 내지 가치다.
그리스 문화권의
유태교
는 초대
교회
에 서로 다른 두 개의 다니엘서 그리스어 번역본-Septuaginta와 Theodotion-을 물려주었다. 히브리어
경전
과 비교해 볼 때, 이 두 그리스어 번역본은 내용면에서 동일한 자료들을 첨가시키고 있다. 아자리아의
기도
와 세 젊은이의 노래가 제3장 안에 삽입되어 있으며, 제13장은 수산나와 다니엘, 그리고 제14장은 벨(Bel)과 드라곤(Dragon)에 관한 설화를 보여 주고 있다. 이 첨가부분들을 제외한다면 테오도티온은 히브리어
경전
과 별 차이가 없으나, 70인역은 4~6장에서 현저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70인역의 원본은 현재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히브리어
경전
과 다른 것이 아니었나 하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물론
유태교
는 이 첨가부분들을
경전
으로 인정치 않았으나, 이 부분들의 원본 역시 히브리어로 된 것이었음이 거의 확실하다.
3. 문학 유형 : 어떤 한 텍스트의 문학양식은 다음 두 가지 요소로써 결정된다. 그 하나는 본 텍스트를 필요로 하고 있는
공동체
안에서 그 텍스트가 담당하는 기능이요, 다음이 본 텍스트를 둘러싸고 있는 문화적
환경
안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던
관습
이다. 다니엘서는 당시 시대상황과 밀접하게 결부된 채, 당대의 유대문학이 편파적으로 애용하던 두 가지 문학유형이 교묘하게 조화를 이뤄 저술된 작품이다.
① 교훈설화(敎訓說話) : 교훈설화는
신학
이나 윤리 또는
영성
생활 등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인 방법의 하나로 제시된다. 본 설화의 중요성과 가치를 발견하기 위하여, 마치
비유
말씀을 해설할 때처럼, 먼저 그 정점을 간파해야 한다. 설화의 주인공, 그가 겪는
시련
이나 이에 응하는 태도 등 이 모든 것은 정신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독자들로 하여금 거기에서 감화(感化), 격려 및 위로,
믿음
에 대한 메시지를 이끌어 내게끔 한다.
유태교
와 그를 둘러싸고 있는
이방인
문명과의 피치 못할 마찰은 특별히
헬레니즘
시대 동안 믿는 이들에게 갖가지 문제점들을 제기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그리스-시리아 제국이 무력으로 그리스화를 강요했을 때
유다
땅에서 더욱 날카롭게 등장했으며, 이미 지방 귀족계급에 속하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그리스문화에 깊이 젖어 있던 상태였다. 이런 문제점들을 의식하면서 다니엘서 1장, 3~6장 그리고 13~14장을 읽어 가야 한다.
② 묵시문학 : 유배시대를 기점으로 예언문학은 서서히 하느님의
심판
과 이에 뒤따른
구원
에 관하여 지대한 관심을 쏟기 시작한다.
종말론
적인 이러한 관심은 그에
응답
하기 위한 문학양식의 점진적인 발전과정을 통하여 표현된다. 앞날을 미리 내다보는 일, 또는 숨겨진 일들을 밝혀내는 일 등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당시 문화적 배경 속에서
종말론
역시‘밝혀 주는 문학’ 즉
계시
문학(啓示文學)의 일부로 취급되었다. 에제키엘과 즈가리야는 현시(顯示)와 이에 대한
천사
들의 설명이 이미 일반적인 문학 형태로 등장하는 표현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13~14장과 아사야서 24~27장은
역사
의 마지막
단계
를 시나리오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묵시문학 역시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메시지를 선사하기 위하여
성서
구절들을 어렴풋하게나마 상기시키는 문체를 사용하면서 마지막 때를 그려 내고 있다. 동시에 저자들은
역사
에 대한
신학
적 해석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는 본 메시지를 과거의 중요한 인물들과 밀접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가명화(假名化) 현상은 이제 문학유형의 기본법칙으로 등장한다. 이 방법을 통하여 저자들은 자신들이 작품을 쓸 그 당시에야 비로소 중요성이 인정된 과거 사건들에 대하여
신학
적인 재해석을 시도할 수 있었다.
다니엘서 제2부(7-12장) 전체는 다양한 표현양식으로 구성된 묵시문학에 속한다. 물론 기본적인 주제만큼은 제1부로부터 비롯된다. 즉 다니엘이 해몽하게 되는 느부갓네살의 꿈(2장), 임금에 대한
심판
을
상징
하는 큰 나무에 관한 꿈(4장) 그리고 벨사살이 보는 앞에서 왕궁 벽에 씌어진 글자들을 판독하는
장면
(5장)에서 이미 묵시론적인 성격을 읽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시와 꿈을 빌어 줄곧 작품을 써나가고 있다는 이 사실에 당시
이교
인들이 즐겨 사용하던 ‘점(店)치는 문학’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할지라도, 이러한 문학 외형상의 일치는 오로지 하느님의 얼과 지혜에 기초를 둔 예언의 진실성에 비해
이방인
들의 그것이 거짓된 것임을 폭하려는 데 있는 것이다(2, 4, 5장)
4. 메시지 : ①
신앙
과
종교
생활 : 다니엘서는 옛 전승을 철저히 따르면서도 당시의 문제점들을 명쾌하게 간파하고 있는 작품이다. 온갖 잡신들로 가득히 있고(5:4), 그 잡신들의 상(像)과
신성
화한 동물들을 숭배하며(3:1-7, 14:23), 게다가 임금 자신이 신격화(神格化)되기를 고집하는(6:8)
이방인
문명에 직면해서,
이스라엘
의 유일신 사상은 점점 더 다져진다. 물론 이 유일신 사상이
이교
도를 거슬러 싸우기 위한 호교론적인 구실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 해도(14장), 더욱 중요한 것은 이 사상을 통해서
죽음
을 불사하는
신앙
의 위대함이 높이 찬양되고 있다는 점이다(3, 5, 14:29 이하). 하나이신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계시
위에 세워진
유태교
는
율법
을 따라 실생활을 체계화한다.
이방인
들이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1:8),
유태교
는
율법
이 명하는 모든 법규를 준수한다.
율법
은
인간
의 권리를 보호해 줄 뿐만 아니라(13:62), 윤리적이며
종교
적인 이 모든 법규들에 그 참된 의미를 부여해 준다(3:18 · 41, 13:23).
축일표
를 제정해 주며(7:25b)
기도
의 리듬과
자세
를 제공해 준다(6:11).
기도
문 역시 상당히 풍부했던 것으로 보인다(2:20, 3:33, 4:34b, 6:27 이하, 7:27b 등). 동방의 제종교와
예배
행위들을 통합 흡수한
헬레니즘
시대의 문명 속에서도
유태교
는 이렇게 제 본모습을 꾸준히 견지해 왔다. 다니엘서는 바로 이를 입증해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일무이한 이와 같은 현상을 극찬하고 있다. 경건한 유태인들이 이룬 예외적인 성과를 강조하고 있으며(1, 2:48. 3:30. 5:29), 바로 이들을 타락한
사회
의
구원
자로 제시하고 있고, 더 나아가
이방인
왕들로 하여금 하느님의 위대하심을
고백
토록 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2:46-47, 3:31-33, 4:34, 6:27-28). 이러한 경향은
이방인
들로 하여금
율법
을 준수케 함으로써
이스라엘
의 하느님에게로 이끌어 들이면서
계약
의 백성 안에 합류시키려는
구원
보편사상의 기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②
역사
:
역사
를 통하여 하느님은 당신의
신비
스런 계획을 실현하신다. 예레미야의 보편사상(예레 25)과 같은 사상이 담긴 이사야의 위로 메시지(이사 41:25-29, 45:1-6)는 다니엘서 안에서 더욱 풍요로워진다. 저자는 근동지방의
역사
를 살펴 강대국으로 등장하는 제국들을 열거하고 있으며, 이 제국들 간의 대립이 하느님 백성을 더욱 더 억압하는 것처럼 보인다. 네 마리의 짐승과 사람의 아들에 대한 현시(7장)에서처럼 느부갓네살의 꿈(2장) 속에서도 바빌로니아, 메대,
페르시아
, 그리스 제국들의 잇단 자리바꿈이 상투적인 표현양식을 통하여 제시되고 있으나, 그 자체가 메시지의 본질적인 요소일 수는 없다. 이러한
역사
가 하느님으로부터 멀어진
인간
성 안에서 나타나는 악(惡)의 증가와 타락의 일면만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비관적인 시선으로 이
역사
를 응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인간
의
역사
는 그 정점을 향하여 나아가는 죄의
신비
며, 하느님과
천사
들로 구성된 친화세력과 이방 제국들로 구성된 적대세력이 대립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역사
는 최후심판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는 과정이며,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상징
적인 표현들을 다니엘서 안에서 자주 발견 할 수 있다(2:44 이하, 5:24-30, 7:11 · 24-26, 8:23-25, 9:27, 11:40-45). 최후심판에 관한 이러한 예형들은 또한 안티오쿠스 에피파누스 시대의 비극적인 상황과도 직관된다. 극도로 어려운
시기
에도
예언자
들의 음성이 끊임없이 울려 퍼질 만큼 하느님 백성이 감수해야 할
시련
은 안티오쿠스 시대 이후에도 그 모습을 감추지 않는다.
요한 묵시록
은 다니엘서를 인용하여
교회
의
박해
자
로마제국
을 묘사하고 있는가 하면,
로마제국
의
구속
을 받고 있던
유태교
는 오히려 거기에서
희망
의 메시지를 길러 내고 있다.
③
희망
: 오만한 이방민족에게 뿐만 아니라 불경한 유태인들에게까지 미치는 하느님의 징벌은 그분 계획이 발전, 전개되어 나가는 과정 중 위태로운
시기
에 처해서만 가해진다. 이러한 위기를 넘어선다면,
예언자
들이 선포한
희망
에 대한 기대는 이전보다 훨씬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저자가
희망
을
약속
해 주는 예언들을 참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9장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며, 9장은 예레미야 예언서 중 한 부분을 그 시대상황에 맞추어서 현실화한 부분이다. 이밖에도 저자는
희망
에 관한
성서
의 모든 부분들을 거의 같은 목적에서 다시금 읽어 나갔으리라 믿어진다.
이스라엘
은 누구보다 먼저
하느님 나라
를 받아들이고 보존하는 자이며, 이
하느님 나라
의 도래(到來)가 바로
인간
역사의 실질적인 종말이다. 하느님 앞에서 주권을 물려받은 ‘사람의 아들’(7:13-14)에 관한 이러 저러한 표현은 그분의
초월
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분의 지상적 후원자는 지극히 높으신 분의 거룩한 백성
이스라엘
이다. 이처럼 숭고한
부르심
에
응답
하기 위하여
이스라엘
백성은 또한 자신을 단련시킬
시련
을 우선 감수해야 한다(11:35, 12:10). 바로 이것이
팔레스티나
의
유태교
가 지금 겪고 있는
박해
의 참 뜻이며, 따라서
박해
는 ‘장차 올 나라’를 앞당기는 중대한 기회다(7, 12:1-4, 이사 25:7-8, 30:26, 65:17-25, 즈가 14:6).
이 마지막 때에 도달하기 위해서
이스라엘
역시 하느님의
심판
에 순종할 것이다. ‘이 책에 기록된’(12:1) 남아 있는 사람들만이 ‘장차 올 나라’의
기쁨
에 함께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은 최근
신앙
때문에 순교한 유태인들에게도 적용된다. 여기서 저자는 순교체험이 야기하는 질문에
응답
한다. 저자는 하느님께서 불타는 가마솥과(3:49-50) 사자 굴속에서도(6:22)
신앙
인들을 구하실 수 있으심을 확언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죽음
을 무릅쓸 것을 동족들에게
권한
것으로 만족치 않는다. 이보다는,
신앙
때문에 죽은 사람들을 통하여 하느님의 권능이
죽음
의 힘까지도 이겨 낼 수 있음을 주창하려 한다.
순교자
들이 모든
인간
들의 공동운명에 부당하게 참여하게 된 것은 오로지 ‘장차 올 나라’안에 자리를 미리 마련하기 위해서일 뿐이다. 이렇게 해서
구약성서
에서는 처음으로 개별적인
부활
에 대한
희망
의 메시지가 선포된다(12:2-3).
마카베오 하
권은
부활
희망
에 관한 본 메시지가
순교자
들이
신앙
을 끝까지 버티게 해준 기본요소였음을 밝히고 있다(1마카 7:9 · 11 · 14 · 23 · 29). 초대
교회
는 개별적인
부활
사상을 하나의
교의
(敎義)로 인정하는 것만으로 만족하지 않고, 이에 비추어
예수
그리스도
의
죽음
과
부활
을 이해, 수용해 나갔다. 이처럼 다니엘서는
예언자
들의
신학
과 신약의 메시지를 일치시키는 업적을 이루어 낸 중대한 작품으로
역사
에 길이 남게 되었다. (金建泰)
[참고문헌] St. Jerome, Corp Christ, 75A:769-1026 / H.L. Ginsburg, studies in Daniel, New York 1948; The Composition of the B. of D., vet test 4, 1954 / H.H. Rowley, The Bilingual Problem of D., ZATWiss 50, 1932; The Unity of the B. of D., HebUCAnn 23, 1952.
출처 : [가톨릭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