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성무예절서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NEW)
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미사 의식문◆
인쇄
한자
~儀式文
영어
Mass, Order of
역사적으로
말씀 전례
와
성찬 전례
가 분리되어 거행되었으나 나중에 둘이 하나의 전례로 통합되면서 미사라 불리게 되었다. 수세기를 거치면서 예식이 확장되었으나 미사의 특성을 이루는 단순한 구조, 곧
성서
봉독과
성사
거행에 집중한 것은 여전히 보존되었다.
미사 의식문은 특히
갈리아 예법
과 한데 섞이면서 복잡하게 되었다. 미사 의식문은 트리엔트
공의회
와 1570년
교황
비오 5세
의 「로마 미사
전례서
」를 통해 전체
교회
를 위해 고정되었다. 그때에도 단순한
로마 예식
에
시작 예식
,
봉헌 예식
, 마침 예식과 같은
갈리아 예법
의 몇몇 요소들이 첨가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가 주도한 전례
개혁
으로 인해
교황
바오로 6세
의 「로마 미사
전례서
」가 나왔는데 이
전례서
의 목적은 로마 전례를 복구하려는 것이었다.
말씀과
성사
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사이에 흘러 들어온
갈리아 예법
의 몇몇 요소들이 잔존하였다.
희생
제사
를 강조하면서
사제
들 외의 다른 사람들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미사의 구조는 물론 주요한 두 부분의 상호 관계가 갖는 의미와 목적을 명확히 밝히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용어를 바꾸었다. 차이점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기 위하여 이 사전의 부록에 두 개의 도표를 제시하였다. 하나는 미사의 형식문들을 연대기적으로 표시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비오 5세
의 미사
전례서
와
바오로 6세
의 미사
전례서
를 비교한 것이다(부록 1과 2 참조).
미국에서는 전국 차원에서 미사 의식문의 구조적 요소들을 연구하였다.
교구
내의 여러 본당
사목
구들 가운데 연구 조사에 협조하는 본당들에는 「신앙의
신비
」(The Mystery of Faith)라는 책을 배부하였고 본당에서
선택
된 신도들은 이 책에서 제시하는 질문에
응답
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만났다. 그리하여 1970년의 미사 의식문을 사용한 지 10년 뒤에 그에 대한 대중의 반응을 조사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개정한 미사 의식문에 대해 매우 만족한다는 것이었다. 게다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교회
의
경배
에 긴밀히 참여하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전국 차원의 연구를 마친 뒤에 북미
전례학
회는 1983년 1월에 개최한 학술 세미나에서 연구 결과를 점검하였다. 그때 관찰된 몇 가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사에서 어떤 행위들, 이를테면 손 씻음,
혼합
, 물과
포도주
를 섞음은 참된
상징
적 내용보다는
역사
적 이유 때문에 보존되고 있는 듯하다. 지침서에서 ‘이러저러한 말마디’로
선택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유연성과 창의성이 요구된다는 사실이 분명히 드러난다.
시작 예식은 너무 밀집되어 있는 듯하다. 보편
지향
기도의 형태에 더 큰 다양성이 요구된다. 이 분야는 유연성이 많은 부분이며 특정 본당
사목
구에서
주일 미사
의 다양한 형태의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어느 시점에서
평화의
인사
를 교환할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 누가 누구에게 무슨 말을 하는지 명확히 표현되어야 한다.
주례자의 기도와 개인
신심
에서 나오는 기도 사이에는 이미 차이가 있다.
침묵
의
시간
을 더 늘여야 한다. 모든 미사에 진짜 빵과 잔을 사용하며 성수를 넉넉히 뿌리고 향을 자주 사용하는 등
상징
적 행위를 아낌없이 이용해야 한다. 더 효과적인
강론
을 할 수 있도록
신학교
교육 과정에서 더욱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평신도
는 용인된 다양한 역할과
봉사
직무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신도들이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에서 요구하는 충만하고 능동적인 참여를 할 수 있다.
전례와
하느님의 말씀
에 관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이때 「신앙의
신비
」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례가 역동적으로 거행되도록 적절한 예술적, 공간적 배열을 한다는 것은 ‘가톨릭
경배
의
환경
과 예술’(Environment and Art in Catholic Worship)에서 설명하는 원칙들에 항구한 관심을 기울인다는 것을 뜻한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
분의 사람들이 자기들에게 감사 기도에 손을 댈
권한
이 없다는 점을 매우 한탄하였다. 백성이 하는 많은
환호송
들을 포함하는 등 전례 전통을 보존하면서 새롭게 바뀐 감사 기도들이
교회
에 받아들여지기를
희망
하였다.
지역
교회
에서
주일 미사
에 참여하는 회중을 늘이기 위해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하여
주일 미사
는 신앙
공동체
안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신앙
공동체
는 매일 그리스도의
부르심
에
응답
하려고 노력함으로써
그리스도의 몸
인
공동체
가
세상
에서 일하는
하느님 나라
의
징표
와 도구가 될 수 있다. 감사 기도(感謝 祈禱 Eucharistic Prayer), 감사 기도 제1양식의
성인
들(Saints in Eucharistic Prayer I),
감사송
(感謝頌 Preface),
강론
(講論 Homily),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Holy, Holy, Holy),
계응시구
(繼應詩句 Versicle),
공지 사항
(公知 事項 Announcements),
권면
(勸勉 Admonitions),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Praise to You, Lord Jesus Christ),
기도합시다
(Let Us Pray),
대영광송
(大榮光頌 Glory to God),
독서
(讀書 Readings),
딸림노래
(Sequence),
말씀 전례
(~典禮 Liturgy of the Word),
미사 - 마침 예식
(~禮式 Mass - Concluding Rite),
미사 - 영성체 예식
(~領聖體 禮式 Mass - Communion Rite), 미사의
고유 부분
(~固由 部分 Mass, Proper of the),
미사 통상문
(~通常文 Mass, Ordinary of the),
백성을 위한 기도
(Prayer over the People), 보편
지향
기도(普遍 志向 祈禱 General Intercessions),
복음/서
(福音/書 Gospel),
본기도
(本祈禱 Opening Prayer), 봉헌(奉獻 Offering),
봉헌 예식
(奉獻 禮式 Offertory),
분향
(焚香 Incensation),
서간
(書簡 Epistle), 성령
청원
기도(聖靈 請願 祈禱 Epiclesis),
성수 예식
(聖水 禮式 Sprinkling),
성찬 전례
(聖餐 典禮 Liturgy of the Eucharist),
성체 거양
(聖體 擧揚 Elevation),
성체성사
(聖體聖事 Eucharist), 성체 소거양(聖體 小擧揚 Little Elevation), 성체
축성
(聖體 祝聖 Consecration),
시작 예식
(始作 禮式 Introductory Rites),
신도 미사
(信徒~ Mass of the Faithful),
신앙고백
(信仰告白 Profession of Faith),
아멘
(Amen),
알렐루야
(Alleluia), 영성체(領聖體 Communion),
영성체송
(領聖體頌 Communion Antiphon),
영성체
성가
(領聖體 聖歌 Communion Song),
영성체 후 기도
(領聖體 後 祈禱 Prayer after Communion),
예물 기도
(禮物 祈禱 Prayer over the Gifts),
예물 준비
(禮物 準備 Preparation of the Gifts),
예비신자 미사
(豫備信者~ Mass of the Catechumens),
영광송
,
마침(~榮光頌 Doxology),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Through Christ Our Lord),
인사
(人事 Greeting),
입당
성가
(入堂 聖歌 Entrance Song),
입당송
(入堂頌 Entrance Antiphon),
자비송
(慈悲頌 Lord, Have Mercy), 적심,
제병
을
축성
된
포도주
에(Intinction),
전구
(轉求 Intercessions),
정화
(淨化 Ablutions),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Lord Be with You, The),
주님, 영광 받으소서
(Glory to You, Lord),
주님의 기도
(~祈禱 Lord’s Prayer),
참회 예식
(懺悔 禮式 Penitential Rite),
침묵
(沈? Silence),
파견
(派遣 Dismissal),
평화의
인사
(平和~ 人事 Sign of Peace),
하느님께 감사합니다
(Thanks Be to God),
하느님의 어린양
(Lamb of God),
한끄 이지뚜르
(Hanc Igitur),
형제 여러분, (…)
기도합시다
(Pray, Brethren),
호산나
(Hosanna),
혼합
(混合 Commingling),
화답송
(和答頌 Responsorial Psalm),
환호송
(歡呼頌 Acclamaions),
후속 기도
(後續 祈禱 Embolism) 참조.
출처 : [전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