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성무예절서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NEW)
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전례 - 역사◆
인쇄
한자
典禮 - 歷史
영어
Liturgy - History
전례는 길고 복잡한
역사
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제시하는 것은 개괄적인 내용일 뿐이다. 더욱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부록 3 : 전례
역사
의 주요 사건들의 연대기 일람’ 참조.
전례
역사
는 여섯
시기
로 나눌 수 있다. (1) 원시 전례(1-3세기). (2) 예식의 성장(4-6세기). (3)
로마 예식
의 고정(7-9세기). (4)
성직자
중심의 전례(10-15세기). (5)
예식 거행 지침
주의
시기
(16-19세기). (6) 전례
쇄신
(20세기).
(1) 원시 전례(1-3세기). 이
시기
동안 전례는 먼저
최후 만찬
과 예수님의 가르침에서 발전되었다. 이때의 전례는
유다
인들의 전례와 식탁 기도에서 가져온 요소들을 포함하였다. 2세기에는
서방
교회
대부
분의
집회
에서
독서
,
설교
, 기도,
예물
봉헌, 감사,
영성체
를 기본 틀로 가지고 있었다.
성체성사
는
주일
날 그리스도인들의 여러
가정
집에서, 나중에는
경배
의 집에서 거행하였다.
처음에
주례자
는 감사 기도를 포함한 기도를 즉석에서 만들었다. 그러나 머지 않아 통일된 기도가 생겨나게 되었고 1세기 말에는 통일된 감사 기도가 있었다. 그 형태는 「디다케」, 성
유스티노
의 「첫째 호교서」, 성
히폴리토
의 「사도전승」에서 발견된다. 아침과 저녁에 바치는 기도 형태도 발전하였는데 이는
시간전례
와 같은 형태였다.
3년 동안의 교리 교육
시기
를 거쳐
그리스도교
입문
성사
들인
세례성사
,
견진성사
,
성체성사
를 통해
교회
에 들어올 수 있었다.
전례력이 생겨나
예수 부활
대축일
(2세기),
성령 강림
대축일
과
주님 공현
대축일
(4세기)과
예수
성탄
대축일
(4세기)은 물론 사순
시기
와 부활
시기
를 보존하였다.
(2) 예식의 발전(4-6세기). 4세기에 접어들면서
교회
는 새
평화
시기
를 맞는다.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칙령을 반포하여 그리스도인들이 로마 제국 안에서 합법적으로
종교
를 신봉하게 하였다.
성당
들이 건축되었으며 주교들은 시민권을 갖게 되었다. 전례는 더욱 아름답게 꾸며지고 잘 짜여졌으며 전례 때에는 그리스어 대신
라틴어
가 사용되었다. 전례에서
구원
사건들을 경축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주교는
사제단
에 둘러싸여
부제
들이
복사
하는 가운데 전례를 거행하였다. 다른
봉사자
들도 있었으며 백성은
공동체
예식에 완전히 참여하였다.
제국의 주요한 도시들을 중심으로 많은 수의
전례군
(典禮群) 또는 전례 예식들이 생겨났다. 몇 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알렉산드리아에서 성
마르코
의 전례는 물론 알렉산드리아의 치릴로 전례,
바실리오
전례, 나지안조의 그레고리오 전례. ② 안티오키아에서 소야고보의 전례, 서부
시리아
전례와 동부
시리아
전례. ③ 콘스탄티노플에서 비잔틴 전례 또는
요한 크리소스토모
전례. ④ 로마에서 로마와
아프리카
에서 기원하는 로마 - 북아프리카 전례. ⑤ 갈리아 전례 형태의 비로마 라틴 전례.
스페인
(모자라비아) 전례, 갈리아 전례, 밀라노 전례, 켈트 전례.
6세기에 와서
예수
성탄
대축일
을 준비하기 위하여 대림
시기
가
달력
에 첨가되었고
달력
의 형태도 다양해졌다.
성체성사
거행 때 사용되는 기도 모음들이 적혀 있던
리벨리 미싸룸
이 소책자로 만들어졌다. 나중에 학자들은 「미사 전례
기도집
」이라 불리는 이 기도 모음들이 여러 교황들에 의해 쓰여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미사 전례
기도집
들은 「레오
미사 전례
기도집
」, 「젤라시오
미사 전례
기도집
」, 「그레고리오
미사 전례
기도집
」으로 알려졌다.
(3)
로마 예식
의 고정(7-9세기). 로마의 전례 활동은 점차 제자리 걸음하게 되었고 7세기에 와서는 고정된 전례가 생겨났다. 카를 대제가 황제가 되자 전례를 포함한 모든 것에서 제국을 통일하고자 하였다. 그는 로마
전례서
들을 도입하여 자기 왕국에서 사용하게 하였다.
프랑스
와
독일
의
성직자
는 로마
전례서
들을 받아들여 자신들의 필요와 문화에 맞게 고쳤다. 카를 대제 황실
수도자
였던
알퀸
은 「로마 미사
전례서
」가 될 본문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는
성령 강림
대축일
다음에
주일
본문을 첨가하고 주님
수난
성지
주일
을 위한 전례를 삽입하였으며
부활 성야
의 새 불 예식을 덧붙이고 다른 사항들을 바꾸었다. 이 「로마 미사
전례서
」는 점차 제국 전체에서 통용되는 주된 본문이 되었다.
여러 가지를 섞어 만든 새 전례는 고대 로마 전례의 더욱 단순한 형태보다 훨씬 더 풍부하였다. 여기에는
파스카 초
축복
의 멋진 전례,
기원 미사
들, 많은 수의 더욱 사적인 기도, 특히 사제가 자신의 죄를 사적으로
고백
하고
용서
를 비는 기도들(이른바
사죄경
)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기도들은 미사의 거의 모든 부분의 시작 때 조금씩 나타났다.
고전 형태의 기도들에서처럼 그리스도를 통하여 아버지께 바치기보다는 직접 그리스도께 바치는 다른 많은 기도들도 생겨났다. 극심한 죄의식과
심판
에 대한
고통
스러운 두려움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공동체
적 성격이 더 이상 주된 흐름이 되지 않았다. 백성은 전례 거행에서 더욱 적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사제는 백성을 뒤로 하고 전례를 거행했으며 전에는
봉사자
들이 하던 부분도 사제가 하였다.
그 결과 사제를 위한 한 권의 책만 필요했다. 그래서 완전한 「미사
전례서
」(Missale Plenarium)가 생겨났는데 여기에는
후렴
, 기도,
독서
,
감사송
, 감사 기도 그리고 미사를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이 실려 있었다. 950년 마인츠의 성 알바노
수도원
에서 이 모든 것을 포함한 한 권의 책이 「로마 -
독일
주교
예식서
」(Romano-German Pontifical)라는 이름으로 나왔는데 이는 주교가 미사 외의 다른 전례를 거행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4)
성직자
중심의 전례(10-15세기).
프랑스
-
독일
전례는 로마 전례가 되었다. 그러나 문명의 쇠퇴로 인한 황폐화와 혼돈은 전례에도 영향을 미쳤다.
성직자
는 전례 의무를 부주의하게 수행하기 시작하였고 백성은 전례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 이 기간은 붕괴와 역작(力作), 재해석과 잘못된 해석의
시기
였다고 말할 수 있다.
백성은 더 이상
라틴어
를 이해하지 못하였고 봉헌
행렬
과 같이 한때 자신들이 수행했던 몇몇 행위조차 잃어버렸다. 그들은 매우 드물게
영성체
했으며 미사에 참여하기보다는 ‘구경꾼’이 되기 시작하였다. 사실 그들은
제단
에서 점점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자리를 잡게 되었고 사제는 등을 돌린 채 미사를 드렸기 때문에
신도
들은 미사를
제대
로 볼 수도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제병
을
축성
한 후 성체를 거양하는 것과
성작
을 거양하는 것을 멀리서 바라보는 것으로 만족하였다. 전례는
성직자
의 사적인 영역이 되었고 백성은 점점 더 전례에 마음의 문을 닫아 걸었다.
수도원과
주교좌성당
들에서 사용하던 고전 로마
시기
의 전례와
프랑스
와
독일
시기
의 전례는 너무 화려해서 모두에게 통용되는 유산이 될 수 없었다. 로마
교황청
에서 일하던 한
성직자
가 이를 받아들여 12세기와 13세기 아주 작은
공동체
들에서도 실천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 「미사
전례서
」, 「성무일도서」, 「주교
예식서
」였다. 새로 창설된 프란치스코회 회원들이 이
전례서
들을 받아들여
그리스도교
전체에 확산되었다.
(5)
예식 거행 지침
주의
시기
(16-19세기). 프로테스탄트
개혁
에 대한 반작용으로 생겨난 트리엔트
공의회
는 전례
개혁
을 단행하여
서방
교회
에서 인식할 수 있는 로마 전례를 복구하였다.
공의회
는
성인
들 미사와
기원 미사
등 중세 때 첨가된
대부
분을 삭제하였다. 그러나
공의회
는
제대
발치에서 하는 기도(시편 42)와 미사 끝의 마지막
복음
처럼
공동체
예식으로서 미사에 맞지 않는 몇몇 부분을 보존하기도 하였다.
소미사
가 새로 강조되기도 하였으나 손으로 하는
영성체
나
성작
에서
성혈
을 영하는 것은 복구되지 않았다.
공의회는 복구된 예식들을 엄격히 지켜야 할
예식 거행 지침
에 삽입하였다. 이 지침을 준수하지 않는 사람은 누구나 죄를 짓는 것이었다. 그렇게 해서
공의회
는 나중에 발전할 수 있었던 전례를 보존하였다.
공의회는 퀴논스(Qhinones)의
성무일도서
를 제거하였다. 전통적으로
공동체
기도를 노래하는 것과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사 거행에서 준수해야 할 사항과 배제해야 할 것들’에 관한
교령
을 반포하였다. 이
교령
은 전통을 고수하면서 전례
개혁
을 수행하였다(전례의 혼란스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엄격한 획일성에 관심을 집중한
공의회
는 의무적으로 반드시 준수해야 할
예식 거행 지침
을 실은
미사 통상문
을 만들었다. 후임 교황들은
공의회
의 정신을 신속히 수행하였다.
비오 5세
때 「로마
성무일도서
」(1568년)와 「로마 미사
전례서
」(1570년)가 나왔고,
클레멘스
8세 때에는 「로마
주교
예식서
」(1596년)와 「주교
의식서
」(1600년)가 나왔고
바오로
5세 때에는 「로마
예식서
」(1614년)가 빛을 보았으며,
개혁
작업을 보장하기 위하여
식스토
5세는 1598년 예부성성을 만들었다.
그와 같은
개혁
의 이점들을 과대평가로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전례
개혁
은 16세기의 위기에서
교회
를 보호하였고 참된
예배
를 위해 유효한 기반을 제공하였다.
혼합
된 중세 형태로
개혁
이 진행되기는 했으나 이 전례의 근저에는 고대 로마 전례의 본질적 유산들이 그대로 간직되어 있었다.
개혁
은 우리 시대에 영성 생활의 원천과
전례 운동
의 출발점이 되었다.
(6) 전례
쇄신
(20세기). 1903년
비오 10세
는 다음과 같은 말로 우리 시대에 전례
역사
의 마지막
단계
를 시작하였다. “[백성이] 거룩한
신비
들과
교회
의 공적이고 장엄한 기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참된
그리스도교
정신의 가장 우선적이고 필수불가결한 원천이다”(뜨라 레 솔레치뚜디니). 교황의 발언은
전례 운동
(이는 이전의 여러 사건들, 특히 19세기 프로스퍼 궤랑제
신부
의 저술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을 생겨나게 만들었다.
40여 년 뒤
가톨릭
세계 전체에서 전례의 씨앗이 기반을 다진 뒤에 교황 비오 12세는 그의 유명한
회칙
메디아또르 데이
(「하느님의
중개자
」)를 반포하였다.
회칙
은 전례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고 당시에 발전하고 있던
전례 운동
을 인준하였다. 계속해서 비오 12세는
부활 성야
와
성체성사
거행에
개혁
을 단행하였다. 교황
요한 23세
는 로마 미사 전문(감사 기도 제1양식)에 성
요셉
의 이름을 삽입하였는데 이는 약 삼 백 년 동안 바뀌지 않았던 본문을 바꿀 수 있는 기초를 놓았다. 전례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인 국제 학술회의도 1951년에 시작되는 전례
개혁
에 길을 텄다. 이와 연관하여 무엇보다도 1956년 아시시에서 있었던
사목 전례
국제 학술회의와 1960년 뮌헨에서 있었던
성체대회
가 특히 중요했다.
1962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는 전례 문제를 숙고하기 위해 회의를 소집하였고 1963년에는 첫 번째 문헌이자 획기적인 문헌인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을 반포하였다.
전례 헌장
은 전례를
교회
전체 활동의 원천과 정점으로
정의
하고 대대적인 전례
개혁
을 요청하였다. 25년 이상에 걸쳐 대규모의
개혁
이 있었고 거의 완성되었다.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바티칸
공의회
, 제2차(~公議會 Vatican Council, Second),
성사
(聖事 Sacraments),
전례서
(典禮書 Liturgical Books),
전례 운동
(典禮 運動 Liturgical Movement),
준성사
(準聖事 Sacramentals) 그리고
전례서
들에 나오는 개별 항목들과 미사,
준성사
,
성사
의 부분들 참조.
출처 : [전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