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묵주기도 성월의 유래
|
묵주기도 성월은 개인과 가정성화, 인류구원과 세계평화를 위하여 묵주기도를 바치는 달로,
|
묵주기도로 승리를 거둔 레판토 해전의 날(10월7일)을 기념하여 교황 비오 5세가 이 날을
|
묵주기도의 기념일로 정하였다.
|
그후 1883년 발표한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수프레미 아포톨라투스』(Supremi Apostslatus)에 의해
|
10월이 묵주기도 성월로 설정되었다.
|
|
|
2. 묵주기도의 유래
|
묵주기도(로사리오)의 뜻은 ‘장비꽃다발’이라는 뜻이다.
|
묵주기도의 기원은 초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교인들은 자기자신을 신(神)에게 바친다는 의미로
|
머리에 장미꽃으로 역은 관을 쓰는 관습이 있었는데, 이것이 초대 교회 신자들에게 전해져 신자들은 기도 대신
|
장미 꽃을 봉헌하곤 했다. 특히 박해 당시 신자들은 원형 경기장인 콜로세움에 끌려가 사자의 먹이가 될 때 머리에
|
장미꽃으로 엮은 관을 썼는데 이것은 하느님을 뵙고 하느님게 자신을 바치는데 합당한 예모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
또한 박해를 피한 신자들은 순교자들의 시신을 거두면서 순교자들이 썼던 장미 꽃송이마다 기도를 한가지씩
|
바쳤다고 한다.
|
또 다른 유래는 이집트 사막의 은수자들이 죽은 자들을 위해 시편 150편을 외웠는데, 작은 돌멩이나 곡식 낱알을
|
머리에 쓰는 관처럼 둥글게 엮어 하나씩 굴리며 기도의 횟수를 세었다고 한다.
|
이때 글을 모르는 사람들은 시편 대신 ‘주님의 기도’를 150번 바치기도 했으며, 수를 셀 때 불편하였기에
|
열매나 구슬을 150개를 노끈이나 가는줄에 꿰어 사용하였다고 한다.
|
이런 관습들이 묵주기도를 탄생시키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
12세기 삼종기도가 널리 보급되면서부터 성모신심의 영향으로 주님의 기도 대신 성모송으로 대체되어 바치다가,
|
13세기부터는 영광송이 삽입되었다.
|
또한 이 당시 ‘알비파’이단의 세력이 교회를 위협하자 성모님이 도미니꼬 성인에게 나타나셔서 이단을 없애는 무기로
|
묵주를 주셨고, 성인은 신자들에게 묵주기도를 적극적으로 권장하여 알비파 이단을 물리쳤다고 한다.
|
이때부터 ‘묵주기도’라는 정식명칭이 생겼고, 그후 15세기부터는 도미니꼬 수도회에의해 전 세계로 퍼쳐
|
성모신심의 기도가 ‘매괴회’가 생길 정도로 공식화 된 기도가 되었다.
|
|
|
3. 묵주기도의 내용
|
묵주기도는 환희의 신비와 고통의 신비, 영광의 신비, 빛의 신비가 있다. 4가지 신비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1) 환희의 신비
|
1단 마리아께서 예수님을 잉태하심을 묵상합시다.
|
2단 마리아께서 엘리사벳을 찾아보심을 묵상합시다.
|
3단 마리아께서 예수님을 낳으심을 묵상합시다.
|
4단 마리아께서 예수님을 성전에 바치심을 묵상합시다.
|
5단 마리아께서 잃으셨던 예수님을 성전에서 찾으심을 묵상합시다.
|
|
2) 고통의신비
|
1단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피땀 흘리심을 묵상합시다.
|
2단 예수님게서 우리를 위하여 매맞으심을 묵상합시다.
|
3단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가시관 쓰심을 묵상합시다.
|
4단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심자가 지심을 묵상합시다.
|
5단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심을 묵상합시다.
|
|
3) 영광의 신비
|
1단 예수님께서 부활하심을 묵상합시다.
|
2단 예수님께서 승천하심을 묵상합시다.
|
3단 예수님께서 성령을 보내심을 묵상합시다.
|
4단 예수님께서 마리아를 하늘에 불러올리심을 묵상합시다.
|
5단 예수님께서 마리아께 천상 모후의 관을 씌우심을 묵상합시다.
|
|
4) 빛의 신비
|
1단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심을 묵상합시다.
|
2단 예수님께서 가나에서 첫 기적을 행하심을 묵상합시다.
|
3단 예수님께서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심을 묵상합시다.
|
4단 예수님께서 거룩하게 변모하심을 묵상합시다.
|
5단 예수님께서 성체성사를 세우심을 묵상합시다.
|
|
우리가 묵주기도를 바칠 때에는, 각 단의 신비 내용을 진정으로 묵상하여야 한다.
|
그러므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지향을 생각한다거나 성모송, 주님의 기도 등을 생각해서는 안된다.
|
지향은 묵상 전에 세우고 생각해야지 묵상 중에 하면 역시 일종의 분심이 되는 것이고
|
주님의 기도나 성모송을 암송하는 것은 이런 간단한 내용의 기도를 반복하여 외움으로써 잡념을 쫓고 마음을 가라앉혀
|
기도와 묵상에 전념케 하려는 것이지 그 기도의 내용을 생각하라는 것은 아니다.
|
묵주기도의 원칙은 15단을 모두 바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그러나 1/3도 ‘묵주기도’라 한다. 그래서 전대사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이 따라 온다.
|
① 묵주기도 15단의 1/3을 바치면 되지만, 5단을 계속 바쳐야 한다.
|
② 구원의 신비를 묵상하면서 소리 내어 바쳐야 한다.
|
③ 공동으로 바칠 때는 지역게 따라 인정받는 구원의 신비를 알리는 기도문(구원의 기도)을 외워야 한다.
|
그러나 사적으로 바칠 때엔 기도문을 반복하면서 구원의 신비를 묵상하는 것으로 족하다.
|
|
묵주기도 중에서 7단으로 된 묵주가 있다. 이는 성모님의 칠고칠락을 묵상하면서 바치기 위한 것이다.
|
5단의 색이 각각인 5색 묵주는 각각 5대륙을 상징하며 세계 평화의 뜻을 나타낸다.
|
|
|
4. 묵주기도의 영성
|
묵주기도는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가 아니다.
|
묵주기도는 성모님과 함께 하느님께 바치는 기도이다.
|
만약 묵주기도가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라면, 왜 성모님 상(像) 중에 묵주를 들고 묵주기도를 드리고 있는
|
성모님 상이 있겠는가?
|
만약기도가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라면 성모님이 묵주를 들고 기도하는 모습이 있을 필요가 없지 않는가?
|
그러므로 묵주기도를 성모님께 바친다는 이야기는 맞지 않는다.
|
그리스도교 신자는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깊숙이 묵상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예수를 중심으로 하지 않고
|
마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묵주기도는 오히려 성모님을 슬프게 한다.
|
왜냐하면 성모님의 중심은 예수였고 성모님의 모든 것이 예수를 향하고 있었으므로 묵주기도의 모든 묵상은
|
예수님을 향해야 한다.
|
|
|
5. 묵주기도를 통한 성모님의 약속
|
① 1872년, “만일 네가 구원을 찾는다면 묵주기도를 전파하라”
|
② 묵주의 구일 기도 ? 1884년, “나의 은혜를 받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간청의 뜻으로, 감사의 뜻으로
|
각각 세 번의 묵주기도를 9일간 할 것이다.
|
(환희, 고통, 영광의 신비 3*9 = 27 일 / 간청, 감사 27*2 = 54일)
|
③ 파티마의 기도(1917년 7월 13일) ? “예수여 우리 죄를 용서하시며 우리를 지옥불에서 구하시고,
|
연옥 영혼을 돌보시되 가장 버림받은 영혼을 돌보소서”라는 구원의 기도를 알려 주셨다.
|
④ 위대한 약속 ? 1917년 파티마에서 루시아에게 발현하셨을 때 여섯 달 동안 계속하여 첫 토요일에
|
고해성사, 영성체, 묵주기도를 바치면 죽을 때 필요한 은총으로 도와주겠다고 약속하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