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팔복................차동엽 신부님
작성자이은숙 쪽지 캡슐 작성일2009-11-06 조회수1,489 추천수6 반대(0) 신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팔복은 구체적인 생활 교본, 행복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차동엽 신부는 ‘산상수훈의 팔복’을 풀면서 “이건 행복으로 가는 지름길을 알려주는 내비게이션이다. 예수님이 일러주신 가르침, 그 핵심 중의 핵심이 여기에 담겨 있다”고 말했다.
[미래사목연구소 제공]


신약성서에는 두 개의 기둥이 있다. 하나는 ‘주님의 기도(주 기도문)’이고, 또 다른 하나는 ‘산상수훈의 팔복(八福)’이다. 거기에 예수의 메시지, 그 핵심이 담겨 있다. 지난해 11월 인터뷰에서 ‘주님의 기도’에 얽힌 코드 (본지 2008년 12월 4일자)를 풀었던 차동엽(51) 신부는 “내년 이맘때 다시 오라. 그때는 산상수훈에 담긴 팔복을 풀자”고 말했다.


‘슬픔 끝의 위로’알면 고통 속에도 희망 생겨 …‘내 뜻대로 마시고 당신 뜻대로 하소서’가 온유함

꼬박 1년 만이었다. 지난달 30일 철새 떼가 줄지어 하늘을 날아가던 경기도 김포의 미래사목연구소로 차 신부를 찾아갔다. 그는 약속을 기억하고 있었다. “왜 산상수훈의 팔복인가”라는 물음에 그는 “쇼트컷(지름길)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무엇을 향한 쇼트컷일까. 차 신부는 “현대인의 소망은 하나다. 행복해지는 거다. 그런데 방법을 모른다. 대체 어떡해야 행복해질까. 그 비밀이 팔복에 있다”고 말했다. 팔복의 비밀, 행복의 비밀, 그걸 차 신부에게 물었다.

-‘산상수훈의 팔복’은 아무리 읽어도, 읽어도 애매하다.

“예수님은 유대인이었다. 히브리어를 썼다. 더 정확히 말하면 히브리어 사투리인 아람어를 썼다. 제자에게, 과부에게, 고아에게, 병자에게 예수님은 아람어로 말했다. 그런데 예수님 사후, 성서는 그리스어로 기록됐다. 유대 문화와 그리스 문화, 그 사이에는 큰 간격이 있다. 이 간격을 회복하지 않으면 ‘팔복’의 정확한 의미를 간파할 수가 없다. 게다가 그리스어 성서는 다시 라틴어로, 다시 독일어로, 다시 영어로, 다시 한국어로 바뀌었다. 그 와중에 또다시 간격이 생겼다.”

- 그 간격을 어떻게 넘으려 하나.

“저는 자연과학도(서울대 공대) 출신이다. 저의 접근법은 연역이 아니라 귀납이다. 2000년 전, 갈릴리 호숫가에서 군중에게 설했던 예수님의 산상수훈은 ‘척하면 삼천리’였다. 그만큼 알아듣기 쉬운 말이었다. 그런데 그곳에 영어권 기자가 왔다고 치자. 그 기자는 ‘척하면 삼천리’식의 표현부터 막힐 거다. 왜 삼천리인가. 그건 한국 문화를 알아야 이해되는 표현이다. 산상수훈의 팔복에도 그런 코드가 있다. 열쇠는 결국 ‘언어’다. 히브리어에 대한 언어사적인 추적, 그걸 통해 간격을 뛰어넘으려 한다.”

-‘주 기도문’과 ‘산상수훈’은 신약성서의 두 기둥이다. 각각 어떤 의미인가.

“주 기도문은 수직선이다. 나와 하느님의 관계를 말한다. 한마디로 말하면 ‘영성 교본’이다. 산상수훈의 팔복은 수평선이다. 우리에게 수평적인 삶의 방식을 제시한다. 한 마디로 ‘실존 교본이자 생활 교본’이다.”

- 이 ‘생활 교본’의 종점은 어디인가.

“행복이다. 팔복은 모두 ‘행복하여라, ~한 사람들!’로 시작한다. 현대인은 다들 고민한다.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예수님께선 거기에 대한 답을 던지셨다. 삶의 목표를 ‘행복’으로 정한 거다. 그리고 행복에 이르는 8가지 길을 제시한 거다.”

- 그 길이 추상적이지 않나.

“아니다. 팔복은 관념적인 길이 아니다. 매우 구체적인 길이다. 그래서 ‘팔복’은 아름다운 시(詩)가 아니라 구체적인 실천강령이다. 굳이 시라고 하자면 현자(賢者)의 시에 해당한다. 우리가 인생에서 헛다리 짚지 않게, 시간을 허송하지 않게, 거짓에 속지 않게 도와준다. 그래서 팔복이 행복으로 가는지름길이 된다.”

1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 행복하여라. 어떤 행복인가.

“‘행복(Happiness)’의 어원은 ‘Happen(일어나다·발생하다)’이다. 행복은 발생하는 것이다. 쟁취하는 것이 아니다. 그럼 누가 발생시키느냐. 바로 나 자신이다. 이건 행복에 대한 원리이자 법칙이다. 테크닉이 아니다. 예수님께선 그렇게 행복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마음을 알려주신 거다.”

- 대체 ‘마음이 가난한’게 뭔가.

“먼저 예수님께서 사용했던 히브리어를 보자. ‘가난’은 ‘에비온(ebiyon)’이다. 이 말은 ‘더 이상 기댈 곳이 없는 가난’을 뜻한다. 성서에선 고아들, 과부들, 나그네들에게 이 말이 종종 쓰였다. 요즘 말로 하면 갈 데도 없고, 기댈 데도 없는 노숙자쯤 된다. 그런 절대적 가난을 가리킨다.”

- 그럼 ‘물질적 가난’을 뜻하나.

“아니다. 그렇게 의미가 얕지 않다. 이건 ‘영성적인 가난’을 뜻한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의 ‘마음’도 ‘마인드(Mind)’가 아니라 ‘영(Spirit)’이란 의미다. 구약 시편의 영성가들은 ‘저는 가난한 사람입니다. 하느님, 저를 돌봐주세요. 주님의 도움 없이 저는 살 수가 없는 사람입니다’라고 고백했다. 영적인 가난은 그런 가난이다.”

-‘영적인 가난’을 한마디로 해달라.

“하늘의 은혜, 자연의 은혜에 맡기면서 살려는 자세다. 내가 인공적으로 나의 안전을 구하지 않고, 하늘과 자연에 맡기고 의지하면서 살려는 태도다.”

-‘영적인 가난’이 왜 중요한가.

“사람들은 다들 ‘내 삶의 안전장치’를 마련한다. 돈을 통해, 직장을 통해, 가족을 통해, 명예를 통해 그걸 구축한다. 그리고 안전장치가 버텨주길 바란다. 그런데 이런 장치는 결국 무너지게 마련이다. 궁극적 안전장치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적인 가난’의 바탕에는 무너지지 않는 안전장치가 있다.”

- 구체적인 일상에선 어떻게 써먹나.

“이 세상을 소유하려 하지 않고, 누리려고 하는 거다. 내게 주어진, 이미 주어진 이 하늘의 은혜, 자연의 은혜를 누리는 거다. 그게 영적으로 가난한 거다.”

- 그래서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 되나.

“그렇다. 우물 안 개구리와 우물 밖 개구리가 있다. 그들이 보는 하늘은 다르다. 우물 안 개구리는 집 천장에 달린 샹들리에를 보고 행복해하려고 한다. 그런데 우물 밖 개구리는 하늘에 달린 별을 보고 행복해한다. 우물 밖 하늘을 보면 다시 우물 속으로 들어가도 개구리의 삶은 달라진다. 여유 있고, 지혜롭고, 넉넉하고, 자∼알 살 수 있게 된다. 하늘나라가 그의 것이기 때문이다.”

2 행복하여라, 슬퍼하는 사람들 ! 그들은 위로를 받을 것이다

- 슬퍼하는 사람들. 어떤 슬픔인가.

“마태오 복음에선 ‘펜툰테스(Penthoun-tes)’라고 썼다. 이건 상실의 슬픔이다. 사별 등 매우 소중한 걸 잃은 극심한 슬픔을 뜻한다. 루카 복음에선 ‘클라이온테스(Klaiontes)’란 말을 썼다. 그건 땅을 치면서 우는 걸 뜻한다.”

- 예수는 무슨 단어를 썼나.

“히브리어로는 ‘사파드(Sapad)’다. 애통해하면서 우는 걸 뜻한다. 예수님은 이 말을 썼을 것이다. 슬픔은 감정이고, 우는 건 표출이다. 사파드에는 이 두 의미가 통합돼 있다.”

- 이상하다. 슬퍼하는 사람이 왜 행복한가.

“맞다. 사람들은 ‘불난 집에 부채질하느냐?’고 반문할 것이다. 도대체 슬퍼하는 사람이 왜 행복할까. 그 답이 ‘위로’에 있다. 유대인은 하느님의 이름을 헛되이 부르지 않으려 했다. 그래서 성서를 기록할 때 수동태를 많이 썼다. ‘하느님’이란 주어를 생략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이 구절의 ‘위로’는 ‘하느님이 주시는 위로’가 된다.”

- 슬프다고 다 위로를 받는 건 아니지 않나.

“이런 말이 있다. ‘슬픔은 비와 같다. 장미꽃을 피울 수도 있고, 진흙탕을 만들 수도 있다.’ 결국 슬픔도 선택의 문제다. 헤리 로더라는 가수가 있었다. 그는 공연 중에 아들의 전사 소식을 들었다. 그런데도 평소처럼 노래하며 공연을 마쳤다. 그리고 야전병원으로 달려갔다. 그는 아들의 시신을 붙들고 우는 대신, 그곳에 있던 군인들을 위해 노래를 불렀다. 훗날 잡지사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아들의 죽음이 너무도 슬펐다. 그러나 하느님께 제 슬픔을 맡겼다. 그러자 놀라운 위로와 힘을 받았다. 나는 그걸 보여줬을 뿐이다.”

- 우리의 일상에 극심한 슬픔이 닥칠 때는 어찌해야 하나.

“슬픔과 절망을 겪지 않은 사람의 삶은 싱겁다. 그래서 누리는 행복도 싱겁다. 우리가 명심할 건 슬픔의 끝에 위로가 있다는 거다. 슬픔의 크기와 비례하는 위로가 말이다. 그걸 가슴 깊이 받아들이면 희망이 생겨난다. 고통이 와도, 슬픔이 와도 두렵지만은 않게 된다. 그 고통의 끝에 무엇이 있는 줄 아니까.”

3 행복하여라, 온유한 사람들 ! 그들은 땅을 차지할 것이다

-‘온유’의 히브리어는?

“‘아나브(Anab)’다. 온유함, 겸손함의 뜻을 담고 있다.”

- ‘온유함’의 정확한 의미가 뭔가.

“온유한가, 아닌가. 그건 식당에 가보면 안다. ‘뭘 드실래요?’할 때 ‘아무거나’하는 건 우유부단한 거다. 온유한 사람은 ‘오늘은 네가 시키는 걸 먹어볼게’라고 한다. 나의 자유의지를 양보하고 상대방의 뜻을 존중하는 거다. 가장 성숙한 사랑이 뭔가. 그건 상대방에게 자유의지를 주는 거다.”

- 종교적으로 볼 때는 어떤가.

“어마어마한 뜻이 된다. 여덟 가지 복 중 하나를 고르라면 저는 ‘온유’를 고르겠다. 거기에는 ‘내 뜻대로 마시고 당신 뜻대로 하소서’하는 고백(겟세마네 동산에서 예수님이 올렸던 기도)이 녹아있다. 항상 내 뜻은 생각이 짧다. 그러나 당신 뜻이 이뤄지면 다르다. 거기에는 큰 지혜와 큰 능력이 흐른다. 그래서 온유한 사람에게 무한 지혜와 무한 능력이 흘러 드는 거다. ”

- 생활 속의 예를 들어달라.

“인생을 바둑이라고 치자. 우리의 바둑은 18급이다. 하느님의 바둑은 100단이다. 18급은 100단의 훈수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나 온유한 사람은 자신을 열고 100단의 훈수를 따른다. 그러나 고집이 센 사람은 어떤 훈수가 와도 자기 바둑을 고집한다. 그는 결국 18급 바둑, 18급 인생에 머물게 된다.”

백성호 기자

◆차동엽(51) 신부=서울 관악산의 달동네 난곡에서 자랐다. 연탄과 쌀 배달을 하며 유년을 보냈다.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가톨릭대에 들어가 1991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오스트리아 빈 대학에서 성서신학으로 석사, 사목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천가톨릭대 교수, 미래사목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 『무지개 원리』는 100만 부 이상 팔렸다. 11월 중순에 산상수훈 팔복을 풀이한 저서 『행복선언』을 출간할 예정이다.

※<하>편은 12일자에 싣습니다.
백성호 기자

 

 

 

 

 

 

 

 


 

 

 

 

 

 

 

 

 

 

 

 

 

**    무지개 신부님 얼굴을  클릭...!!^^    **하시면

   [무지개다리]로 이어집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