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대림 제2주일/주님의 길을 곧게 내어라./배광하 신부
작성자원근식 쪽지 캡슐 작성일2009-12-05 조회수576 추천수5 반대(0) 신고

 

 

    ★ 먹자! 영혼의 배 채울 양식을 ★ 주님의 길을 곧게 내어라. 대림 제2주일 루카 3, 1~6 : 세례자 요한의 설교 세상길을 걸었는가? 교회 전례력으로는 새해를 지내고 있습니다. 새해가 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떡국을 먹고 한 살을 먹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이같이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이어령 선생님은 다음과 같이 쓰셨습니다. “이 지구상에는 3000종 이상의 언어가 있다고 하지만 나이를 밥처럼 ‘먹는 다’고 하는 민족은 아마 우리밖에 없을 것 같다. 음식이나 시간만이 아니다. 마음도 먹는다고 한다. 마음먹기에 따라 한국인은 무엇이든 먹을 수 있다. 돈도 떼어먹고, 욕도 얻어먹고, 때로는 챔피언도 먹는다. 심리적으로는 겁을 먹고 애를 먹는다.” 아마도 어려웠던 시절에 잘 먹지를 못해서 모든 말을 먹는 것에 연결 시켰는지도 모릅니다. 때문에 옛 아침 인사도 ‘아침 먹었느냐?’ 엿 습니다. 그래서인지 먹는 이야기와 먹는 것에 대한 TV 방송도 그렇게 많은 것 같습니다. 도대체 TV 방송에 출연하지 않은 음식점이 없을 정도로 길에 즐비합니다. 어느 방송국에 방영 되었다는 현수막을 수없이 걸어놓은 나라도 아마 우리나라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때문에 먹는 것에 대해서는 무척이나 까다롭기 까지 합니다. 오늘은 어디에서 회식을 할까? 등으로 참 많이도 고민합니다. 육신의 배는 채워도 영혼의 배를 채우는 데에는 그렇게 느리고 무관심 한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늘 세상길을 걷는데 익숙하였고, 그 길에 예민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제 주님께서는 당신의 길을 걷도록 우리를 부르십니다. “너희는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 그분의 길을 곧게 내어라.”(루카 3,4) 내 영혼의 배가 채워지지 않았는데 어찌 영혼과 육신의 주관자이신 주님의 길이 보일 것이며, 그분의 길을 곧게 할 수 있겠습니까? 유한의 생을 살아 가는 우리들의 삶이 지상에서 서러운 날들이 더 많을 텐데 영원의 삶을 꿈 꾸지 않고 그 많은 슬픔을 어찌 보상 받을 수 있겠습니까? 다시 오시는 주님을 맞을 수 있는 길은 세상길이 아니라, 먼저 주님의 길을 걸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 길은 끊임없는 영적인 양식을 채워야 걸을 수 있는 힘이 생기는 법입니다. 거지 구유 프랑스 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집 없는 사람들의 대부이며, 현시대의 참된 목자이신 아베 피에르 신부님(1912~)은 당신 생애의 황혼기를 맞으며 지나온 삶을 회상하시며 이 같은 글을 쓰셨습니다. “인생의 황혼기에 이르러 나는 세 가지 절대적 필요를 느낀다. 내가 받은 것 가운데 무엇보다 소중한 것은 나의 내면적 삶에 물을 대어 준 세 가지 샘이다. 성경을 통해 유일하며 정의롭고 자비로우신 하느님을 믿게 해준 유다 민족이 그 첫째 샘이요, 하느님은 사랑이시며 언제나 우리 가운데 모습을 드러내 보이신다는 확신을 내게 심어준 교회가 그 둘째요, 누구보다 고통 받는 자들과 함께 살며 예수님을 긴밀하게 접할 수 있게 해준 곳, 엠마우스가 그 셋째이다. 내가 이처럼 오래 살아오면서 아무리 진정으로 사랑과 진리를 추구하며 살고자 노력했다 할지라도, 어찌 존경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지 않았겠는가? 그 반대로 어찌 나 또한 잔인한 공격을 받은 적이 없었 겠는가? 생애 마지막 날에는 우리 모두가 하느님과 형제들에게 ‘우리가 용서하듯 우리를 용서 하소서’라고 말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골짜기는 모두 메워지고 산과 언덕은 모두 낮아져라. 굽은 데는 곧아지고 거친 길은 평탄하게 되어라. 그리하여 모든 사람이 하느님의 구원을 보리라.” (루카 3,5~6) 그렇습니다. 우리는 신앙을 통해 너무도 좋으신 하느님을 만났습니다. 그분 때문에 온갖 시련과 눈물 가운데서도 또다시 일어설 수 있는 용기 와 힘을 얻었습니다. 이제 그 소중함을 가지고 하느님께서 기뻐하실 일을 해 나가야 합니다. 그 일은 오늘 복음 말씀의 일들입니다. 반목과 미움과 폭력으로 얼룩진 지난 일들, 그 깊은 골짜기를 메우고 교만 과 자존심의 산과 언덕들을 낮추는 일, 그리고 상처를 주고받으며 파이고 잘려나간 거친 마음의 길을 평탄하게 만들어 진정 가슴 속에서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의 기도를 올릴 수 있어야 합니다. 그 같은 평화의 길을 걷는 것이 주님의 길을 걷는 것 입니다. 그 길 위에서 만날 수 있는 분이 오시는 아기 예수님이신 것입니다. 그분께서 손짓 하시며 우리와의 만남을 기다리고 계십니다. 그리고 바오로 사도의 오늘 말씀으로 용기를 주십니다. “여러분 가운데에서 좋은 일을 시작하신 분께서 그리스도 예수님의 날까지 그 일을 완성하시리라고 나는 확신합니다.”(필리 1,6)..........◆

    ☆ [말씀자료 : 배광하 신부] ☆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