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Fr.조명연 마태오]
작성자이미경 쪽지 캡슐 작성일2009-12-13 조회수805 추천수12 반대(0) 신고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09년 12월 13일 대림 제3주일(자선주일)
 
 
 
 Whoever has two cloaks
should share with the person who has none.
And whoever has food should do likewise.
Stop collecting more than what is prescribed.
Do not practice extortion,
do not falsely accuse anyone,
and be satisfied with your wages.
(Lk.3.11.13.14)
 
 
제1독서 스바니야 3,14-18ㄱ
제2독서 필리피 4,4-7
복음 루카 3,10-18
 
어떤 소년이 학교에 지각을 했습니다. 선생님은 소년에게 지각 사유를 물었지요. 그랬더니 소년은 학교에 오는 도중 어떤 아저씨가 동전을 떨어뜨려서 그걸 함께 찾느라고 늦었다고 말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물론 동전을 같이 찾아드리는 일도 좋지만, 학교에 오는 일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그 아저씩에게 미안하다고 말하고 지각하지 않게 와야 한다고 타일렀습니다. 그러나 이 소년은 그럴 수 없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선생님은 다시 그 이유를 물었지요. 소년은 당연하다는 듯이 이렇게 답했습니다.

“선생님, 제가 그 동전을 밟고 서 있어서 빨리 학교에 올 수 없었어요.”

소년은 동전을 떨어뜨린 아저씨가 찾기를 포기하고 갈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었지요. 그래야 자기 발밑에 있는 동전을 주워서 학교에 올 수 있으니까요. 이때 아이의 모습을 한 번 상상해 보세요. 한쪽 발로는 동전을 밟고 서서 다른 발로 빙빙 돌면서 동전 찾는 시늉하는 모습을 말입니다. 자세도 불편했겠지만, 마음도 편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 주변에는 이렇게 불편한 몸과 마음을 간직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은 것 같습니다. 즉, 이 소년처럼 무언가를 밟은 채 한쪽 발로만 움직이면서 언제까지나 그 자리를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이 참 많습니다. 정치인들은 떳떳하지 못한 정치자금이라는 동전을 밟고 서 있고, 부패 관리들은 뇌물이라는 동전을 밟고 있습니다. 그밖에도 술이라는 동전, 쾌락이라는 동전, 허영이라는 동전 등을 밟고 있으면서 불편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가 꽉 움켜잡으려는 것, 이것 없이는 안 된다고 생각을 갖게 하는 욕심들이 나를 불편하게 그래서 행복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서 세례자 요한은 오늘 복음말씀을 통해 우리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들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줍니다.

옷을 두 벌 가진 사람, 먹을 가진 사람은 못 가진 이에게 나누어 주고, 정해진 것보다 더 요구해서도 안 되며, 강탈하거나 갈취하지 않으면서 자기의 것에 만족하며 살아야 한다고 하십니다.

나눔과 사랑의 실천을 통해서 우리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사람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교회는 대림 제3주일인 오늘을 자선주일로 지냅니다. 고통 받고 소외당하는 이웃에게 자선을 베푸는 날입니다. 내 것을 내어 주는 것이지만, 사실 내가 더 많은 것을 얻게 됩니다. 왜냐하면 내 욕심에서 벗어나게 됨으로 인해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아직 때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자기가 지금은 여유가 없기 때문에, 나중에 여유가 생길 때 완벽한 자선을 베풀겠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런 완벽한 때는 결코 오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 함께 생각해 봐요.

목표에 37% 달성했다면 성공일까요? 실패일까요? 겨우 37%라고 말씀하실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대단한 성공입니다. 올해 프로야구 정규리그 타격 순위를 보면 1위가 박용택 선수입니다. 이 선수의 타율은 10할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두 번 중에 한 번의 안타는 쳤을까요? 그것도 아닙니다. 고작 37%에 해당하는 3할7푼2리 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은 대단하다고 말합니다.

아직 완벽한 때가 아니라고 하면서 자선을 뒤로 미루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100% 완벽한 때는 절대로 오지 않습니다. 100% 완벽한 때는 환상일 뿐입니다. 대신 37%면 되어도 완벽한 때라는 것을 기억하면서, 지금의 상황에서 최선을 다해 나눔과 사랑을 실천하는 우리들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 모습이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한 아기 예수님을 잘 준비하는 신앙인의 모습입니다.



어는 위대한 기업이든지 보라. 그들은 모두 한 가지 생각을 가진 한 사람에서 시작하여 그것을 잘 실천했다(어빈 로빈스).




재산이 없어도 줄 수 있는 7가지(‘좋은 글’ 중에서)

어떤 이가 석가모니를 찾아가 호소를 하였답니다. "저는 하는 일마다 제대로 되는 일이 없으니 이 무슨 이유입니까?"

"그것은 네가 남에게 베풀지 않았기 때문이니라"

"저는 아무 것도 가진 게 없는 빈 털털이입니다. 남에게 줄 것이 있어야 주지 뭘 준단 말입니까?"

"그렇지 않느니라. 아무리 재산이 없더라도 줄 수 있는 일곱 가지는 누구나 다 있는 것이다."

첫째는 화안시(和顔施) 얼굴에 화색을 띠고 부드럽고 정다운 얼굴로 남을 대하는 것이요

둘째는 언시(言施) 말로써 얼마든지 베풀 수 있으니 사랑의 말, 칭찬의 말, 위로의 말, 격려의 말, 양보의 말, 부드러운 말 등이다.

셋째는 심시(心施) 마음의 문을 열고 따뜻한 마음을 주는 것이다.

넷째는 안시(眼施) 호의를 담은 눈으로 사람을 보는 것처럼 눈으로 베푸는 것이요.

다섯째는 신시(身施) 몸으로 때우는 것으로 남의 짐을 들어준다거나 일을 돕는 것이요.

여섯째는 좌시(座施) 때와 장소에 맞게 자리를 내주어 양보하는 것이고,

일곱째는 찰시(察施) 굳이 묻지 않고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 알아서 도와주는 것이다.

네가 이 일곱 가지를 행하여 "습관이 붙으면 너에게 행운이 따르리라." 라고 하셨답니다.
 
 
 
 
Together - Giovanni Marradi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