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서 공석 신부님의 강론.
작성자강점수 쪽지 캡슐 작성일2009-12-18 조회수517 추천수3 반대(0) 신고

대림 제4 주일   2009년 12월 20일 


루가 1, 39-45.


오늘 복음은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한 이야기입니다. 마리아는 하느님의 배려로 수태하였다는 말을 가브리엘 천사로부터 듣고, 즉시 길을 떠나 엘리사벳을 방문하였습니다. 오늘 복음은 마리아가 ‘길을 떠나 서둘러’ 갔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엘리사벳이 마리아의 인사말을 듣는 순간 그의 태 안에서 아기가 뛰놀았다.’고도 말합니다. 이어서 나오는 엘리사벳의 말은 기쁨에 차 있습니다. ‘당신은 여인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되십니다.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된 일입니까?’ 엘리사벳이 마리아를 영접하며 기쁨에 가득 차서 하는 인사의 말입니다. 


그리스도 신앙은 예수님이 돌아가시고 부활하신 후에 시작하였습니다. 제자들은 예수님이 살아 계실 때, 하신 말씀과 행동을 회상하면서 예수님은 하느님에 대해 당신이 가르치신 대로 실천하셨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복음서들은 제자들이 예수님에 대해 깨닫고, 그분 따라 그들도 실천하던 바를 글로 남긴 것입니다. 그러나 제자들이 예수님을 알기 전의 일들, 특히 그분의 탄생과 어린 시절에 관한 일들은 그들이 회상할 수 없는 부분이었습니다. 그들이 복음서에 남긴 예수님의 탄생에 관한 기록들은 사실을 보도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이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믿는 예수님에 대한 그들의 믿음을 담고 있는 이야기들입니다. 그들은 그들에게 친숙한 구약성서를 참고하여 이야기들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런 복음서의 이야기들 안에서 그들의 믿음을 알아들어야 합니다.


오늘 복음의 이야기는 이 세상에 오신 예수님이 인류를 위해 어떤 축복과 기쁨인지를 말합니다. 현대인은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는 데에 일차적 관심을 가지지만, 옛날 사람들은 그들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아 한 폭의 그림과 같은 이야기들을 만들어 전하였습니다. 기록하고 전달하는 수단이 지극히 한정되어 있던 시대입니다. 따라서 쉽게 전달될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서 그것이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게 하였습니다. 오늘 복음의 이야기가 전하고자 하는 것은 예수님을 수태한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찾아갔고, 엘리사벳과 태중의 아기는 예수님을 기뻐 영접하였다는 말입니다.


대단히 소박한 이야기입니다. 위대한 것도 화려한 것도 없습니다. 한 여인 안에 장차 하느님의 아들이라 불릴 분이 수태된 것입니다. 그것은 마리아를 우상으로 만드는 일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축복과 기쁨에 넘치게 하는 일이었습니다. 하느님이 하시는 일은 우리를 영광스럽게 혹은 존경 받는 사람으로 만들어주는 일이 아닙니다. 하느님이 우리 안에 일하시면, 우리는 사람들을 섬기고 그들을 기쁘게 합니다. 오늘 마리아는 서둘러 가서 엘리사벳과 그 태중의 아기를 축복과 기쁨으로 가득 차게 하였습니다. 예수님은 수태되면서부터 사람들 안에 축복과 기쁨을 발생시키며 섬기는 분이었다는 초기교회의 믿음입니다.


하느님은 지킬 계명을 주고 정성을 바치라고 요구하지 않으십니다. 그것은 이 세상의 지배자들이 하는 일입니다. 하느님은 인간에게 축복과 기쁨이십니다. 예수님이 하신 일들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예수님은 사람들을 다스리고 명령하며 죄인으로 판단하지 않으셨습니다. 예수님은 병든 이를 고쳐 주고 죄인에게 용서를 선포하여 삶의 기쁨을 맛보게 하셨습니다. 그것은 섬김이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 주는 축복이었습니다. 생명을 주고 살리시는 하느님입니다. 예수님은 사람들의 병을 고쳐주고 그들을 축복하여 하느님의 일을 실천하셨습니다. 


우리가 흔히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은 재물과 권력입니다. 그러나 재물과 권력이 소중하게 보이는 곳에 사람들은 정직하지 못하고, 무자비하며, 섬김은 사라집니다. 사람들은 하느님에게 빌어서 재물과 권력을 얻어 누린다고 오해하기도 합니다. 하느님에게 많이 바치면, 많이 주신다고, 혹은 하느님에게 순종해서 그분의 사랑을 받는다고도 말합니다. 이런 말 뒤에는 하느님을 후광으로 삼아 재물도 얻고 존경도 받는 종교 지도자들이 있습니다. 예수님 시대 유대교 지도자들이 한 일이고, 인류 역사 안에 종교 지도자들이 자주 한 일입니다.


예수님이 하신 일은 그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에게 하느님은 은혜롭고 사람을 살리시는 분이었습니다. 예수님은 말씀하십니다. “수고하고 짐진 여러분은 나에게로 오시오. 내가 여러분을 쉬게 하겠습니다.”(마태 11,28). 예수님은 유대교 지도자들이 죄인이라 버린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11,30)고도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은혜로우신 하느님, 삶의 기쁨을 주시는 하느님을 가르치셨습니다. 오늘 복음의 이야기에서도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찾아간 것은 하느님으로 오는 축복과 기쁨을 나누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우리의 삶이 주어진 것은 은혜로운 일입니다. 그리스도 신앙인은 그 은혜로움을 영접하여 살면서 주변 사람들에게도 그 은혜로움을 알립니다. 그것이 선교입니다. 교회가 유럽에서 일찍이 교육과 의료에 눈 뜨고 그 분야에서 많은 일을 한 것도 교육으로 삶의 은혜로움을 사람들의 마음속에 심고, 의료로 그 은혜로움을 잃은 사람에게 그것을 되찾아주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오늘 복음에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찾아가 한 일은 예수 믿어서 구원받으라는 말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사람의 깊은 곳, 그 태중의 아기까지도 기뻐 뛰놀게 하는 축복이었습니다.


마리아와 엘리사벳에 대한 오늘의 이야기는 요란하거나, 신비롭고 화려하여 인류를 놀라게 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소박하고 일상적인 이야기입니다. 은혜로우신 하느님을 만나는 기쁨은 그런 곳에 있습니다. 매일의 일상적 삶 안에 우리는 하느님을 만납니다. 은혜로움을 볼 줄 아는 시선과 아버지의 뜻을 비는 마음에 하느님이 계십니다. 은혜로움을 본 사람은 주변의 사람들과도 그것을 나누어 그들도 같은 기쁨을 체험하게 합니다. 기쁨을 체험한 사람은 이웃도 기쁘게 합니다. 오늘 복음의 마리아가 엘리사벳에게 한 일입니다.


그리스도 신앙은 하느님으로부터 온 축복과 기쁨을 영접하고 나누는 데에 있습니다. 예수님은 그 수태에서부터 축복이고 기쁨이었다는 오늘 복음의 메시지입니다. 하느님은 우리 이론의 대상도 아니고, 높은 옥좌에서 우리를 지배하는 분도 아닙니다. 하느님은 우리의 삶 안에 축복과 기쁨으로 살아계십니다. 축복과 기쁨을 이웃과 나누는 마음이 우리와 함께 계시는 하느님을 만날 것입니다. ◆

 

                                        서 공석 신부님의 강론.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