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죽음에 대한 고귀한 말씀 / [복음과 묵상]
작성자장병찬 쪽지 캡슐 작성일2010-01-03 조회수742 추천수2 반대(0) 신고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주 우리 하느님 찬미받으소서. 하늘 높은 곳에는 하느님께 영광. 내 영혼아, 주님을 찬미하여라! 지극히 거룩하시고 만군의 왕이시며 살아 계신 하느님, 자비를 베푸소서.
*~*~*~*~*~*~*~*~*~*~*~*~*~*~*~*~*~*~*~*~*~*
[ 평화가 여러분과 여러분의 가정에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
♪♬♪즐거운 성탄과 힘찬 새해를 맞으시길 바랍니다 ♬♪♬♪
♬♪♬♪♬♪ Merry  Christmas  &  Happy  New  Year ♬♪♬♪♬♪


죽음에 대한 고귀한 말씀


확실히 죽음은 부유하고 젊은 사람들의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돈으로만 부유하고 나이로만 젊은 사람들 말입니다. 그러나 덕행으로 부유하고 그들의 행실의 깨끗함으로 젊은 사람들에게는 죽음이 고통스럽지 않습니다.

참다운 현자는 철이 들자마자. 평온한 죽음을 준비하기 위해 자기의 행실을 조절합니다. 죽음은 가장 큰 생명에 대한 준비인 것과 같이 삶은 죽음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참 현자는 삶과 죽음의 진리, 부활하기 위한 죽음의 진리를 이해하는 순간부터 무익한 것은 모두 자기에게서 떼어버리고, 유익한 것으로 풍부해지려고 여러 가지로 힘씁니다. 즉 그를 심판하셔서 완전히 공평하게 상을 주시거나 벌을 주시려고 당신께로 도로 불러 가시는 분 앞에 선행의 짐을 가지고 나타나기 위하여 덕행과 진실한 행위로 자기 자신을 풍부하게 하려고 힘씁니다.

참 현자는 지혜로 노인보다도 더 어른스럽게 되게 하고, 청소년보다도 더 젊은 사람이 되게 하는 생활을 합니다. 그것은 덕행과 정의 안에서 살면, 때로는 아주 어린 사람들도 가지지 못하는 감정의 신선함을 마음속에 간직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되면 죽는 것이 얼마나 기분 좋습니까! 피곤한 머리를 아버지의 품에 기대고, 아버지께 안겨서 묵상을 하곤 지나가는 구름과 같은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 ‘아버지를 사랑하고, 아버지께 바라고, 아버지를 믿습니다’하고 말하고, 세상에서 마지막으로 그 말을 하고, 그 다음에는 천국의 광채 속에서 영원히 ‘아버지를 사랑합니다!’하고 기쁘게 말하게 되는 것이 얼마나 기분 좋으냐 말입니다.

죽음은 거슬리는 생각입니까? 아닙니다. 모든 사람에 대한 공평한 명령입니다. 죽음은 믿지 않고 죄가 많은 사람들에게만 힘드는 고민이 되는 것입니다. 일생 동안에 착하게 살지 않다가 죽어가는 사람의 말로 할 수 없는 고민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 사람은 아무 선행도 하지 않았거나 또는 별로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죽고 싶지 않고, 속죄를 하기 위해 아직 살기를 원하기 때문이야’하고 말하는 사람은 쓸데없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더 오래 살았으면 더 많은 일을 했을 것이니까 더 큰 상급을 받을 수 있었을 건데’ 하고 말하는 것은 쓸데없는 일입니다.

영혼은 시간이 얼마나 그에게 주어졌는지를 적어도 희미하게는 압니다. 영원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닌 시간입니다. 그래서 영혼은 자아(自我)를 온전히 행동하는 데로 몰고 갑니다. 그러나 가엾은 영혼입니다! 그의 말을 듣지 않으려고 사람들은 얼마나 많이 영혼을 찍어 누르고, 짓밟고, 입을 틀어막습니까! 이런 일은 착한 뜻이 없는 사람들에게서 일어납니다.

이와 반대로 의로운 사람들은 어린 시절부터 영혼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그의 권고를 따르고, 끊임없이 활동하는 상태에 있습니다. 그래서 성인이 때로는 인생의 여명(黎明)에 죽어도 나이는 어리지만 공로는 많이 가지고 죽습니다. 그리고 가지가지 형태로 그리고 완전히 너그럽게 실천한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그가 완전하게 되었기 때문에, 백년이나 천년을 더 산다하더라도 벌써 거룩하게 된 것 이상으로 더 거룩하게 되지 못할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나이를 따지지 않고, 어떻게 살았느냐를 따지는 것입니다.

시체들을 보고 슬퍼하고, 시체들 위에 눈물을 뿌립니다. 그러나 시체는 울지 않습니다. 죽어야 한다는 생각에 몸을 떨지만, 죽을 때에 떨지 않도록 살 걱정은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가장 실제적인 시체, 즉 무덤 안에 같이 육체 안에 죽은 영혼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왜 울지 않고, 슬퍼하지 않습니까? 그리고 그들의 육체가 죽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면서 우는 사람들이 왜 그들 안에 가지고 있는 시체를 보고는 울지 않습니까?
웃고 농담하고, 자기 자신들에 대해서 슬퍼하지 않는 얼마나 많은 시체를 내가 보는지 모릅니다! 완덕의 꽃장식과 같은 일생을 보낸 다음, 분명히 하느님과 친한 가운데 죽은 아들이나 남편, 형제, 아버지, 친구, 신자, 제자에게는 어리석게 슬퍼하면서, 악습과 죄로 인하여 죽고, 또 생각을 고치지 않으면 영원히 죽고 영원히 멸망하는 아들이나 남편, 형제, 아버지, 친구, 신자, 제자의 영혼의 시체를 보고는 슬퍼하지 않는 아버지, 어머니, 남편, 형제, 아들, 친구, 사제, 그리고 선생을 나는 얼마나 많이 보는지 모릅니다! 왜 그들을 다시 살리려고 애쓰지 않습니까? 그것은 사랑입니다. 아시겠습니까? 그리고 가장 큰 사랑입니다. 오! 다시 먼지가 된 먼지에 흘리는 어리석은 눈물! 위선적인 애정! 우시오. 그러나 여러분에게 가장 소중한 사람들의 죽은 영혼을 슬퍼하시오. 그 영혼들을 생명으로 다시 데려오도록 힘쓰시오.

(어느 성인의 말씀 참조, cp)




[1월 3일] 거룩한 생명의 말씀 '복음' 
<마태 4,12-17.23-25>
[오늘의 묵상 - 신은근 바오로신부님, 마산 호계성당]


[복음]
 그때에 예수님께서는 요한이 잡혔다는 말을 들으시고 갈릴래아로 물러가셨다. 그리고 나자렛을 떠나, 즈불룬과 납탈리 지방 호숫가에 있는 카파르나움으로 가시어 자리를 잡으셨다.
이사야 예언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그리된 것이다.
즈불룬 땅과 납탈리 땅, 바다로 가는 길, 요르단 건너편, 이민족들의 갈릴래아, 어둠 속에 앉아 있는 백성이 큰 빛을 보았다.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운 고장에 앉아 있는 이들에게 빛이 떠올랐다.”
그때부터 예수님께서는 “회개하여라.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하고 선포하기 시작하셨다.
예수님께서는 온 갈릴래아를 두루 다니시며 회당에서 가르치시고, 하늘 나라의 복음을 선포하시며, 백성 가운데에서 병자와 허약한 이들을 모두 고쳐 주셨다. 그분의 소문이 온 시리아에 퍼졌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갖가지 질병과 고통에 시달리는 환자들과 마귀 들린 이들, 간질 병자들과 중풍 병자들을 그분께 데려왔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고쳐 주셨다. 그러자 갈릴래아, 데카폴리스, 예루살렘, 유다, 그리고 요르단 건너편에서 온 많은 군중이 그분을 따랐다.



[오늘의 묵상]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활동을 시작하십니다. ‘하느님의 권능’을 알리시는 일입니다. 그분께서는 먼저 아픈 이들을 고쳐 주십니다. 치유를 통해 ‘주님의 힘’을 드러내시려는 의도입니다. 사람들은 앞다투어 병자들을 데리고 왔습니다. 예수님의 소문은 삽시간에 퍼져 나가기 시작합니다.

이렇듯 예수님께서는 ‘치유의 주님’을 우선적으로 알려 주셨습니다. 아픔을 없애 주시는 모습입니다. 육체적 질병만이 아닙니다. 내면 세계의 어둠도 없애시고, ‘나쁜 습관’도 바로잡아 주셨습니다. 악습을 고치는 것이 ‘회개의 본모습’이기도 하다는 가르침입니다.
“회개하여라.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하느님의 힘과 능력이 ‘바로 곁에’ 있다는 말씀입니다. 그러니 바꾸어야 합니다. ‘정말 주님의 힘이 내 곁에 있을까?’ 이런 생각부터 바꾸어야 합니다. 그러면 달라집니다. 예수님의 ‘기운’을 작게나마 느끼게 됩니다. 그분의 힘이 함께하시면, 우리 곁을 어정거리던 ‘악한 기운’은 물러가게 되어 있습니다.

그토록 성체를 많이 모셨으면서도 우리가 바뀌지 않은 것은 예수님의 힘을 못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분의 힘이 삶에 영향을 미치게 해야 합니다. 말씀을 실천하려고 애쓰는 것이지요. 그분처럼 사랑하며 살려고 노력하는 것이지요. 주님께서 봐 주시면 안 될 일이 없습니다. 삶의 태도가 바뀌면 하늘의 힘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 곁에 와 있습니다.


*~*~*~*~*~*~*~*~*~*~*~*~*~*~*~*~*~*~*~*~*~*
“거룩한 연옥 영혼들과 하느님을 모르는 사람들과 하느님을 반대하는 사람들과 다른 신들을 믿는 사람들과 쉬는 교우들을 위해서” 라는 지향을 미사에 참례때 혹은 기도하면서 붙이면 매우 큰 선행과 보속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성인의 통공 교리를 생활화 한다면 지상에서 행할 수 있는 선행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느님과 예수님과 성령께 찬미와 흠숭을, 하느님의 어머니이신 마리아와 성가정의 수호자이신 요셉께 사랑을! ) 

( http://예수.kr   ,  http://마리아.kr )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