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성모성월의 그 유래와 그 의미
작성자김중애 쪽지 캡슐 작성일2010-05-01 조회수618 추천수2 반대(0) 신고

 

 성모성월의 그 유래와 그 의미

성모님을 처음으로 연결시킨 사람은
카스티야(스페인의 중부 옛 왕국)의 왕

알폰소 10세(1221∼1284).
그는 5월이 주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성모님이 우리에게 주는 영적 풍요로움을 연결,
5월 한달간 특별히 성모마리아께 기도하자고 권고했다.
이때부터 5월을 성모님의 달로 기념하는 전통이

 서방교회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성모성월이 구체화한 것은 17세기말.
1677년 피렌체 부근의 도미니코 수도회 수련원에

성모님을 특별히 공경하는 단체가 생겨
5월 중에 성모님께 봉헌하는 축제를 마련,

'성모호칭기도'를 바치고,
성모님께 장미 화관을 봉헌하는 등
성모신심을 고취시켰다.


 이같은 행사는 그 뒤 유럽교회 전역으로 퍼져 나갔고,
여러 신학자들이 '성모성월'이라는 책을 내놓으면서

이를 정착시키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교황 비오 9세가 1854년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를 선포한 후
성모신심은 절정에 달했으며,

성모성월 행사는 공적으로 거행되기 시작했다.

교회가 성모성월을

제정한 것은 인간 구원을 위해
끊임없이 간구하고 있는

성모님의 은혜에 감사하기 위해서다.
또 성모 마리아가 보여준 하느님께 대한

 순명과 사랑을 본받기 위해서다.

그리스도와 완전한 일치를 이루고

평생을 하느님의 뜻에 순종했고,
하늘나라에 불려 올라간 성모님은
하느님과 얼굴을 마주뵙기를 염원하는

모든 그리스도인의 모범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교회도 성모성월 행사를 장엄하게 거행하고 있다.
본당마다 성모상을 아름답게 꾸미고, '성모의 밤'을 거행한다.
하지만 지금 많은 본당들이 성모성월 행사를
5월 중순 이후에 거행하고 있는 현실은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신자들이 성모성월을 더욱

 의미있게 보내도록 해아한다.

계절의 여왕이라하는

이 5월에 성모님과 함께
예수그리스도의 생애를 묵상하고,
하느님께서 이 세상을 극진히 사랑하시기에
구원사업에 한 여인의 삶을 필요로 하셨고,
하느님의 원의에 겸손과 순명으로

응답을 드리신 성모님의 삶을 생각하고,
하루하루 엮어지는 우리의 삶이  아름다운

 한 묶음의 장미꽃다발로 묶어져서
성모님께 바쳐지기를 바라며...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