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서 공석 신부님의 강론.(부활 제6주일 2010년 5월 9일 )
작성자강점수 쪽지 캡슐 작성일2010-05-07 조회수401 추천수2 반대(0) 신고

부활 제6주일     2010년 5월 9일 


요한 14, 23-29


오늘 복음은 초기 신앙공동체가 그들이 믿고 있는 바를 예수님의 입을 빌려 말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부활하신 예수님이 그들 안에 살아 계시면서 말씀하신다고 믿었습니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내 말을 지킬 것이다.’는 말씀으로 오늘 복음은 시작합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그분의 말씀 따라 산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아버지와 나는 그를 찾아가 그와 함께 살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예수님의 말씀 따라 사는 신앙인은 예수님이 하신 일이 보인다는 말입니다.


‘너희가 듣는 말은 내 말이 아니라 나를 보내신 아버지의 말씀이다.’ 오늘 복음이 하는 말입니다. 예수님이 하신 말씀들은 그분을 파견하신 아버지의 말씀이라는 뜻입니다. 예수님이 하느님을 아버지라 부르면서 그분의 일을 실천하셨기에 초기 신앙인들은 그분 안에 하느님이 살아 계셨다고 믿었습니다. 예수님의 삶에서 우리가 읽어내는 것은 우리가 실천하며 살아야 하는 하느님의 일이라는 믿음입니다. 요한복음서는 그 서론에서 “정녕 말씀이 육신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거처하셨다.”고 말하였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삶에서 발견하는 것은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를 알려주는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뜻입니다.


오늘 복음은 이어서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께서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기억하게 해 주실 것이다.’고 말하였습니다. 예수님이 돌아가신 다음, 초기 신앙인들이 예수님의 말씀과 삶을 회상하고 그것을 배워 자기들의 삶 안에 실천하면서 하는 말입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들의 삶 안에 성령이 일하셔서 부활하신 예수님을 살아 계시게 하고, 그들이 예수님이 하신 일을 기억하게 해주신다는 말입니다. 초기 신앙인들은 하느님이 동기가 되어 인간 안에 또 인류 안에 일어나는 변화와 삶의 새로움을 성령이 하시는 일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마리아가 예수를 잉태한 것도 성령이 하신 새로운 일이었고, 예수님이 공생활을 시작하신 것도 성령의 인도를 받아 하신 새로운 일이었다고 말합니다. 예수님을 주님으로 부르고 따르는 공동체도 성령이 일하셔서 발생한 새로움이라고 그들은 믿었습니다. 


성령은 인간 안에 또 인류역사 안에 예수님을 따르는 삶이라는 새로움을 발생시켰습니다. 예수님은 인간의 생명을 소중히 생각하셨습니다. 그 시대 유대교 사회가 외면하던 병자들을 예수님은 고쳐주어 삶의 현장으로 돌아가게 하셨습니다. 인간의 병고(病苦)는 죄에 대한 대가로 하느님이 주셨다고 믿던 유대교사회였습니다. 반신불수와 나병환자를 포함한 모든 장애인은 그들의 죄 값을 치르고 있다고 그들은 믿었습니다. 예수님은 스스로 죄인이라고 절망하던 그들을 고쳐주면서, 하느님은 인간을 단죄하고 벌주지 않으신다고 가르쳤습니다. 예수님은 가난한 이들이 행복하다고 선언하셨습니다. 유대교 사회에서는 가난도 죄의 결과이고 하느님이 주신 벌이었습니다. 예수님이 하신 이런 일들은 유대교 사회에서는 새로운 일이었습니다. 예수님과 더불어 하느님의 새로운 역사가 인류 안에 시작한 것입니다. 초기 교회는 그 새로움들 안에 성령을 보았습니다.


예수님은 율법에 얽매여 살지 않으셨습니다. 그것은 그 시대 사람들에게 새로움이었습니다. 통치자의 땅에 사는 사람은 통치자의 법을 지켜야 하였습니다. 하느님의 땅에 사는 사람은 하느님의 법을 지켜야 한다고 그들은 믿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율법은 사람들이 하느님의 일을 실천하며 살도록 초대하는 지침이었습니다. 율법은 사람의 자유를 빼앗아 노예와 같이 맹종하며 살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이 자유롭게 하느님의 일을 실천하며 사는 데에 도움을 주는 지침이었습니다. 예수님이 보여주신 새로움이었습니다.


어느 안식일에 예수님이 유대교 회당에서 손이 오그라든 사람 하나를 회중 앞에 세워 놓고 그들에게 물으십니다. “안식일에 선한 일을 해야 합니까, 악한 일을 해야 합니까? 목숨을 구해야 합니까, 죽여야 합니까?”(마르 3,4). 회당의 회중은 침묵만 지킵니다. 유대교는 안식일에 병을 고치는 노동마저 금했습니다. 안식일은 하느님의 날이라 인간이 자기 자신을 위한 노동을 하지 않고 하느님을 생각하며 그분의 일을 실천하는 날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손이 오그라든 그 사람을 고치셨습니다. 안식일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선한 일, 곧 하느님의 일을 하는 날입니다. 새로움이었습니다.


예수님을 반대하고 비난하던 유대교 기득권자들은 가난한 이, 병든 이들을 위해 수고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하느님이 버린 이들이라 그들도 버려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사람을 죄인이라 부르고, 간음한 여인을 율법의 이름으로 돌로 칩니다. 그들에게는 그들이 만든 법과 제도와 그들의 권위가 중요합니다. 그들은 그런 것을 지키기 위해 인간을 희생시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도 그런 희생이었습니다. 오늘도 자기의 권위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종교 지도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만든 교회법을 빙자하여 사람을 희생시키면서 하느님의 일을 한다고 믿습니다. 오늘 교회에서 통용되는 대죄 혹은 조당이 사람을 살리는지, 아니면 사람을 희생시키는 지를 반성해야 합니다.


예수님이 부활하여 하느님 안에 살아계신다고 깨달은 제자들은 그분이 보여주신 새로움을 실천합니다. 그들은 이 새로움이 성령이 살아 계셔서 하시는 일이라고 믿었습니다. 율법과 제도로 경직된 유대교를 떠나 자비하신 하느님이 살아계신, 유연한 성령의 교회가 발족하였습니다. 법과 제도는 그 시대에 필요하여 사람이 만든 것입니다. 시대가 달라지면 예수님의 말씀도 새롭게 이해되고 성령이 하시는 일도 새로워집니다. 하느님은 죽음을 넘어 부활의 미래를 예수님에게 주셨습니다. 하느님은 모든 것을 새롭게 하십니다. 미래를 향한 우리의 신뢰가 살아 있어야 합니다. 새로움을 거부하는 것은 그 신뢰를 거부하는 것입니다. 성령은 역사 안에 우리를 새롭게 가르치고, 예수님의 일을 새로운 실천으로 기억하게 하십니다. 성령은 예수님이 보여주신 새로움을 깨닫게 하고, 그것을 시대에 따라 새롭게 표현하고, 새롭게 실천하게 하십니다. 성령은 과거의 법과 제도를 절대적인 것으로 만들지 않으십니다. 그것은 인간이 만든 것이고 인간이 하는 일에는 절대적인 것이 없습니다. 법과 제도에 얽매이면, 인간이 만든 것을 하느님의 이름으로 절대화하려 합니다. 인간이 만든 것을 절대화하면, 사람이 죽습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숨결은 사람을 살리십니다. 성령은 사람을 살리는 예수님의 섬김이 새로운 실천으로 기억되는 곳에 살아 계십니다. ◆

 

                           서 공석 신부님의 강론.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