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타의 축일에
우리가 듣는 독서와 복음은 둘 다
요한의 편지와 복음입니다.
요한은 오늘 편지에서
“사랑하는 여러분, 서로 사랑합시다.
사랑은 하느님에게서 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랑하는 이는 모두
하느님에게서 태어났으며, 하느님을 압니다.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느님을 알지 못합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고 얘기함으로써
“하느님=사랑”,
“하느님을 아는 것=하느님을 사랑하는 것”이라는
우리 그리스도교의 핵심에 대한
그 뛰어난 통찰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요한이 편지에서
하느님을 안다고 했을 때
그 안다는 것이 머리로 아는
객관적인 정보의 습득이요,
사변적이고 지식적인 앎이었겠습니까?
부산에 사는,
아니 저기 아프리카 어디에 사는 누구를
소문으로 들어서 또는
신문을 보고 아는 것도 아는 것이긴 합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정보는
몇 가지 내 안에 들어와 있지만
나는 그를 만나지도 보지도 못했고
아무런 관계도 없습니다.
그는 그로서 부산 또는
아프리카에 객관적으로 있고
나는 나로서 여기에 주관적으로 있습니다.
그래서 아는 것은 아는 것 이상의
아무 의미 발생이 없습니다.
그러나 요한이 말하는 앎은
이런 앎이 아니라 경험적인 앎입니다.
그 경험은 만나고 부대끼고
함께 울고 웃는 경험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사랑의 경험입니다.
사랑을 받고 사랑을 하면서
내 안에 사랑하는 이가 있고
사랑하는 이 안에 내가 있게 되어
점점 더 깊이 알게 되고
점점 더 넓게 알게 되고
점점 더 많이 알게 되고
마침내 존재로 상대의 전 존재를 알게 되고
존재의 진면목을 알게 됩니다.
마르타는 예수님을
누구 못지않게 사랑한 여인이었습니다.
어쩌면 동생 마리아와
사랑 경쟁을 하였을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점점 깊이 사랑하게 되었고
예수님과 관련하여 많은 것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주님께서 청하시는 것은
무엇이나 들어주신다는 것을
저는 지금도 알고 있습니다.”
“마지막 부활 때에 오빠도 다시
살아나리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예수님과 하느님과의 관계를 그는 아는 것이고
예수님과 오빠의 관계를 아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예수님의 정체를
그는 알고 믿게 되었습니다.
앞에서 사랑을 깊이 하게 되면
존재로 상대의 전 존재를 알게 된다고 하였지만
하느님은 우리가 아무리 사랑하여도
전 존재를 다 알 수는 없지요.
우리가 다 알 수 있는 존재라면
하느님이 아니시기 때문이고
우리의 사랑은 하느님의
그 큰 사랑에 어림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우리의 사랑으로
그분이 사랑이심을 알 뿐이고
그 이상은 사랑을 바탕으로 믿을 뿐입니다.
그래서 그는 이렇게 믿음을 고백합니다.
“저는 주님께서
이 세상에 오시기로 되어 있는 메시아시며
하느님의 아드님이심을 믿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이렇게 노래하는 것입니다.
“내가 아는 그분을
나는 사랑하고
내가 사랑하는 그분을
이제 나는 믿습니다.”
- 김찬선(레오나르도)신부 작은형제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