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9.4 연중 제23주일 - 송영진 모세 신부
작성자노병규 쪽지 캡슐 작성일2011-09-04 조회수469 추천수4 반대(0) 신고
<연중 제23주일>(2011. 9. 4.)(마태 18,15-20)

 

<공동체의 기도>

 

9월 4일의 복음 말씀은 마태오복음 18장 15절-20절인데,

이 말씀 앞에는 '되찾은 양의 비유'(마태 18,12-14)가 있고,

뒤에는 '용서'에 관한 가르침(마태 18,21-35)이 있습니다.

이 내용들은 모두 공동체의 형제애에 관한 가르침입니다.

 

교회 공동체는 단순히 사람들이 모여 있는 집단이 아니라 '한 몸'입니다.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지체입니다(1코린 12,27)."

한 몸이기 때문에 "한 지체가 고통을 겪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고통을 겪습니다.

한 지체가 영광을 받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기뻐합니다(1코린 12,26)."

 

우리가 길 잃은 양을 찾아 나서는 것은 그 양이 우리 몸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발에 상처가 생기면 손이 그 발을 치료하는 것과 같습니다.

손도 내 몸이고, 발도 내 몸입니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하라.' 라는 예수님 말씀은

사실상 '이웃은 너 자신이기 때문에 사랑하라.' 라는 뜻입니다.

형제애, 또는 이웃 사랑은 단순한 선행이나 자비가 아닙니다.

내가 내 몸을 사랑하는 것에 대해서 선행이니 자비니 하고 생색낼 이유가 없습니다.

당연히 하게 되는 일이고, 해야 하는 일입니다.

 

공동체의 어떤 형제가 죄를 지었다는 것은 병들었다는 것과 같습니다.

그에게 가서 충고하는 것은 그 병을 치료하는 것과 같습니다.

처음에는 혼자서, 그 다음에는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을 더 데리고 가서,

그 다음에는 교회가 나서서 그 형제를 타이르라고 하신 예수님 말씀은

치료 과정이 점점 확대되는 것과 같습니다.

 

자기 혼자 치료할 수 있다면 병원이나 약국에 가지 않아도 됩니다.

그게 안 되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병원에 가게 됩니다.

죄를 지은 그 형제가 교회 말도 안 들으면

'다른 민족 사람이나 세리처럼 여겨라.' 라고 하신 예수님 말씀은,

더 이상 치료가 안 된다면 마지막 방법으로 수술을 하라는 뜻과 같습니다.

 

사실 죄라는 것은 영혼의 병입니다.

그래서 고해성사를 '치유의 성사'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길 잃은 한 마리 양은 아픈 신자입니다.

그 양을 되찾는 것은 치료해서 건강을 회복시켜 주는 일입니다.

 

그러나 스스로 떠나 버린 양, 돌아올 생각이 전혀 없는 양은

아픈 양이 아니라 배반한 양입니다.

암세포도 몸의 일부이지만 한 몸이 될 수 없는 세포이고,

몸 전체를 위험하게 만드는 세포입니다.

그러니 암세포는 서둘러서 제거해야 합니다.

 

그러나 암세포가 아니라 그냥 병들고 고장이 난 것이라면

치료해서 건강한 세포로 회복시켜야 합니다.

그것이 온 몸을 위한 일입니다.

------------

 

"너희 가운데 두 사람이 이 땅에서 마음을 모아 무엇이든 청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이루어 주실 것이다.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19-20)."

(이 말씀은 공동체의 기도는 반드시 들어 주시겠다는 약속인데,

그렇다고 해서 혼자 하는 기도는 안 들어 주신다는 뜻은 아닙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인 공동체의 기도는 사실상 예수님의 기도이고,

예수님 자신의 기도이기 때문에

아버지 하느님께서 반드시 들어 주실 것이라는 뜻이기도 하고,

예수님께서 그 기도를 직접 들어 주시겠다고 약속하시는 말씀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아무 기도나 다 들어 주신다는 뜻은 아니고,

하느님 뜻에 일치하는 기도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이 말씀에 대해서 전에 이런 질문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온 교회가 마음을 모아서 열렬하게 기도하고 있는데도

왜 하느님께서는 아무런 응답도 주시지 않는가?"

예를 들어서, 어떤 사회 문제에 대해서

주교단, 사제단, 신자들이 모두 나서서 기도하는데도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런 경우에 과연 온 교회가 한 마음이 되어 있는지 의문입니다.

기도는 다수결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 말씀대로 '마음을 모아', 한 마음으로 바쳐야 합니다.

아니면, 아직 때가 안 된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인간의 시간과 하느님의 시간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포기하지 말고 계속 끈질기게 기도해야 합니다.

 

- 송영진 모세 신부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