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자비하신 아버지 - 3.10. 이수철 프란치스코 성 요셉 수도원 원장신부님
작성자김명준 쪽지 캡슐 작성일2012-03-10 조회수352 추천수7 반대(0) 신고

2012.3.10 사순 제2주간 토요일 미카7,14-15.18-20 루카15,1-3.11ㄴ-32

 

 

 

 

 




자비하신 아버지

 

 

 

 

 



오늘은 자비하신 아버지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오늘 새벽 성무일도 독서의 기도 계속된 시편(136,1-26) 후렴은

‘당신의 자비는 영원하시다.’였고,

미사 중 화답송 후렴은 ‘주님은 자비롭고 너그러우시네!’였습니다.

 


“너희 하느님께서 거룩하신 것처럼 너희도 거룩한 사람이 되어라.”

 

“너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너희도 완전한 사람이 되어라.”

 


거룩한 사람, 완전한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다음 말씀을 통해 분명해집니다.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자비로운 사람이 바로 거룩한 사람이요 완전한 사람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복음 역시 주인공은 자비하신 아버지입니다.

 



어제 두 신문의 일면에 나온 두 사진이 묘한 대조를 이루고 있어

예사롭지 않았습니다.

한 신문(경향)은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위한

제44차 조찬기도회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힘차게 찬송가를 부르는

정장 차림의 이명박 장로 대통령의 사진이었고,

한 신문(한겨레)은 제주도 강정마을에서 해군기지건설현장에서

윗옷을 벗고 시위하다 울음을 터트리는

백발 머리 흰 수염의 문 정현 노신부의 사진이었습니다.

 



과연 하느님의 마음은 어떠할까,

누구의 기도를 들어줘야 하나,

하느님의 심정도 참 난감할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비하신 아버지이십니다.

이명박 대통령의 아버지이자 문정현 신부의 아버지입니다.

복음의 큰 아들의 아버지이자 작은 아들의 아버지입니다.

율법학자들, 바리사이들의 아버지이자 세리, 죄인들의 아버지입니다.

우파의 아버지이자 좌파의 아버지요,

보수의 아버지이자 진보의 아버지입니다.

부자의 아버지이자 빈자의 아버지요 선인의 아버지이자 악인의 아버지,

의인의 아버지이자 죄인의 아버지입니다.

 



그러나 이 두 부류의 골은 얼마나 깊고 큰 지요.

환상의 골을 실재의 골로 착각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마치 어떤 부자와 라자로의 건널 수 없는 큰 구렁을 연상케 합니다.

 



어쨌든 이 두부류의 사람들이 공존하는 교회에서 사목하는

목회자들의 어려움이 참으로 크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과연 어떻게 하면 서로간의 깊고 큰 골을 없이하고

아버지의 자녀로서 함께 살 수 있을까요?

 


희망은, 답은 자비하신 아버지께 있습니다.

서로 간 싸우기로 하면 끝이 없습니다.

끊임없는 자아성찰의 회개를 통해

자비하신 아버지를 닮아 자비로운 사람이 되는 길, 하나뿐입니다.

 



오늘 큰 아들과 작은 아들은 모두 우리의 모습입니다.

둘 다 자비하신 아버지의 아들답게 사는 데 실패했습니다.


참으로 두 아들들에게 이해받지 못한 외로운 아버지였습니다.

자식 이기는 아버지 없다고

이런 아버지를 통해 하느님의 외로움을 묵상합니다.

 


“아버지, 제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습니다.

  저는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저를 아버지의 품팔이꾼 가운데 하나로 삼아주십시오.”

 



과연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있는 이들은 몇이나 될까요.

이런 면에서 우리 모두는 작은 아들입니다.

 

아버지 곁에서 평생 살았다는 큰 아들 역시 아들 자격 없긴 마찬가지입니다.

아버지와 함께 살았으면서도 자비로운 아버지를 닮은 아들이 아니라

아버지의 종처럼 살았던 인정머리 없는 큰 아들이었음은

아우의 귀환 시 확연히 들어납니다.

 

진정 아버지의 효자 아들이었다면

아버지의 기쁨에 흔쾌히 동참했을 것입니다만

 

실제 이런 형들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아버지의 집에서 아버지와 함께 평생 정주의 삶을 살아가는

큰 아들 같은 우리 수도승들에겐 큰 경종이 됩니다.

 


아버지의 집인 수도원을 찾는 작은 아들 같은 피정자들에게

고답적인 태도를 취한 큰 아들 같은 수도자는 아닌지

자주 성찰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과연 큰 아들이 아버지의 호소와 설득에 회개하여

환영 잔치에 참여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바로 오늘 복음의 자비하신 아버지는

예수님이 체험한 자비하신 하느님임이 분명합니다.

미카 예언자가 역시 이런 자비하신 하느님 체험을 고백합니다.

 


“그분은 분노를 영원히 품지 않으시고,

  오히려 기꺼이 자애를 베푸시는 분이시다.

  그분께서는 다시 우리를 가엾이 여기시고,

  우리의 허물을 모르는 체해 주시리라.”

 


이런 하느님이기에 미카는 간절한 마음으로 주님의 자비를 청합니다.

 


“당신께서 저희의 모든 죄악을, 바다 깊은 곳으로 던져 주십시오.

  먼 옛날 당신께서 저희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대로,

  우리를 성실히 대하시고 자애를 베풀어주십시오.”

 

 
이런 자비하신 아버지를 체험할 때 회개요

회개할 때 자비로운 아버지체험입니다.

 


자비로운 아버지 체험과 회개는 함께 갑니다.

깨달음의 깊은 눈으로 보면 서로 간의 불화의 큰 골도 환상일 것입니다.


회개를 통한 자비로운 아버지체험으로 눈이 열려

서로 아버지의 아들임을 깨달아 알 때

저절로 사라지는 크고 깊은 큰 골이라는 것입니다.


메워야 할 큰 골이 아니라 사라져야 할 환상의 큰 골입니다.

 


자비로운 아버지는 강요하거나 강제하는 분이 아니라

호소하고 설득하시는 분이시며,

추궁하고 따지고 캐는 분이 아니라

봐도 못 본체, 알아도 모르는 체, 들어도 못 들은 체 덮어 주시며,

끝까지 기다리며 지켜보는 분이십니다.

 


어찌 보면 참 무력하고 무능한 분이시며,

과거는 불문에 붙이시고

지금 여기 회개하여 돌아 온 자녀들에 기뻐하시는 분이십니다.

 


복음의 작은 아들의 귀환에 기뻐 큰 잔치를 베풀어 주신 아버지는

당신 아드님의 미사 잔치에 우리 모두를 초대해 주시어

당신 자비를 닮은 당신의 자녀가 되게 하시고

우리 사이의 큰 골을 없애 주십니다.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