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순종의 배움터 -순종 예찬- 2013.1.21 월요일, 이수철 프란치스코 성 요셉 수도원 원장신부님
작성자김명준 쪽지 캡슐 작성일2013-01-21 조회수361 추천수5 반대(0) 신고

2013.1.21 월요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292-305) 기념일

 

히브5,1-10 마르2,18-22

 

 

 



순종의 배움터

 

-순종 예찬-

 

 

 

 

 


우리 삶은 ‘섬김의 배움터’이자 ‘순종의 배움터’입니다.

오늘은 ‘순종’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순종의 원조’는 예수님이십니다.

우리의 순종 한 가운데 중심에 자리 잡고 계신

순종의 대사제 예수님이십니다.

죽기까지, 십자가에 달려 죽기까지 순종하신 예수님이십니다.

 


바로 예수님의 십자가는 그대로 순종의 표지입니다.

무엇보다 아버지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요,

우리의 궁극의 순종 역시 아버지의 뜻에의 순종입니다.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순종하는 것이요,

예수님 역시 게세마니 동산에서

‘내 뜻이 아닌 아버지의 뜻이 이루어지도록’ 기도했습니다.


이런 순종은 맹목적인, 마지못해 하는 순종이 아니라

자발적 사랑의 순종입니다.

 


며칠 전 종신 서원 미사 때 봉헌예식 중

성전 제대 앞에 바닥에 바짝 엎드린 수도형제들의 모습도

그대로 순종의 표지로 보였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아드님이시지만 고난을 겪으심으로써 순종을 배우셨습니다.

  그리고 완전하게 되신 뒤에는

  당신께 순종하는 모든 이에게 구원의 근원이 되셨으며,

  하느님에게서 멜키체덱과 같은 대사제로 임명하셨습니다.”

 


참 의미심장하고 아름다운 구절입니다.


이런 저런 크고 작은 고난을 겪어가면서

그 고난을 순종의 계기로 삼을 때 내적성숙이요 내면의 아름다움입니다.

 


알게 모르게 끊임없이 계속되는 고난이니

결국 우리 삶은 고난을 통해 평생 순종을 배워가는 배움터임을 깨닫습니다.


바로 이런 깨달음이 지혜요 겸손입니다.

만일 이런 고난을 순종의 계기로 삼지 않고 내버려 두면

우리의 영육은 원망과 불평, 상처와 스트레스 등으로 병들게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순종의 중심에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신,

순종의 원조인 대사제 예수님이 계십니다.

 


순종을 통해 아드님을 닮아 내적성숙과 더불어 하느님께 이르게 되고,

이 ‘순종의 길’ 아닌 다른 길은 없습니다.

이런 순종은 그대로 성숙의 표지이자 영성의 표지입니다.


진정 성숙한 사람만이 제대로 순종할 수 있습니다.

 

‘삶은 기도이다’란 말과 더불어 ‘삶은 순종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평생 이런저런 크고 작은 순종을 잘 해야

마지막 순종인 죽음도 잘 할 수 있어 선종의 죽음일 것입니다.


언젠가 갑자기 아름다운 순종의 죽음은 없습니다.

 


순종과 분별은 함께 갑니다.

하느님의 뜻에 따른 순종의 삶이 깊어 갈 때 저절로 분별의 지혜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의 분별의 지혜도 이런 순종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깨닫습니다.


단식논쟁에서 분별의 지혜를 통해 단식의 자리를 잡아 주십니다.

단식 자체가 목적이 아닌 하느님의 뜻에 따라야 되기 때문입니다.

신랑이신 당신과의 혼인잔치 같은 삶을 즐겨야 할 때는 그 삶을 즐겨야지,

시도 때도 없이 단식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고 단연코 거부하십니다.

 


“신랑이 함께 있는 동안에는 단식할 수 없다.

  그러나 그들이 신랑을 빼앗길 날이 올 것이다.

  그때에는 그들도 단식할 것이다.”

 


우리 삶은 그대로 순종의 여정임을 깨닫습니다.

매일 새롭게 시작하는 순종의 삶입니다.

바로 이런 순종의 삶과 더불어 마련되는

새 부대 같은 마음에 담기는 새 포도주와 같은 은총들입니다.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순종으로 부단히 새로워지는 새 마음 부대에 담기는

새 포도주 같은 은총들입니다.

 


대사제이신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의 새 날, 새 마음 부대에

당신의 새 포도주 은총을 가득 담아 주십니다.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