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허윤석신부의 강론: 아들이 아닌 아버지의 마음으로!
작성자허윤석 쪽지 캡슐 작성일2013-03-02 조회수339 추천수1 반대(0) 신고
제목: 아들이 아닌 아버지의 마음으로!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5,1-3.11-32
그때에 1 세리들과 죄인들이 모두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가까이 모여들고 있었다. 2 그러자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이, “저 사람은 죄인들을 받아들이고 또 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군.” 하고 투덜거렸다.
3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 비유를 말씀하셨다.
11 “어떤 사람에게 아들이 둘 있었다. 12 그런데 작은아들이, ‘아버지, 재산 가운데에서 저에게 돌아올 몫을 주십시오.’ 하고 아버지에게 말하였다. 그래서 아버지는 아들들에게 가산을 나누어 주었다. 13 며칠 뒤에 작은아들은 자기 것을 모두 챙겨서 먼 고장으로 떠났다. 그러고는 그곳에서 방종한 생활을 하며 자기 재산을 허비하였다.
14 모든 것을 탕진하였을 즈음 그 고장에 심한 기근이 들어, 그가 곤궁에 허덕이기 시작하였다. 15 그래서 그 고장 주민을 찾아가서 매달렸다. 그 주민은 그를 자기 소유의 들로 보내어 돼지를 치게 하였다. 16 그는 돼지들이 먹는 열매 꼬투리로라도 배를 채우기를 간절히 바랐지만, 아무도 주지 않았다.
17 그제야 제정신이 든 그는 이렇게 말하였다. ‘내 아버지의 그 많은 품팔이꾼들은 먹을 것이 남아도는데, 나는 여기에서 굶어 죽는구나. 18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렇게 말씀드려야지. 아버지, 제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습니다. 19 저는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저를 아버지의 품팔이꾼 가운데 하나로 삼아 주십시오.
20 그리하여 그는 일어나 아버지에게로 갔다. 그가 아직도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 아버지가 그를 보고 가엾은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달려가 아들의 목을 껴안고 입을 맞추었다. 21 아들이 아버지에게 말하였다. ‘아버지, 제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습니다. 저는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22 그러나 아버지는 종들에게 일렀다. ‘어서 가장 좋은 옷을 가져다 입히고 손에 반지를 끼우고 발에 신발을 신겨 주어라.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아라. 먹고 즐기자. 24 나의 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도로 찾았다.’ 그리하여 그들은 즐거운 잔치를 벌이기 시작하였다.
25 그때에 큰아들은 들에 나가 있었다. 그가 집에 가까이 이르러 노래하며 춤추는 소리를 들었다. 26 그래서 하인 하나를 불러 무슨 일이냐고 묻자, 27 하인이 그에게 말하였다. ‘아우님이 오셨습니다. 아우님이 몸성히 돌아오셨다고 하여 아버님이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28 큰아들은 화가 나서 들어가려고도 하지 않았다. 그래서 아버지가 나와 그를 타이르자, 29 그가 아버지에게 대답하였다.
보십시오, 저는 여러 해 동안 종처럼 아버지를 섬기며 아버지의 명을 한 번도 어기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저에게 아버지는 친구들과 즐기라고 염소 한 마리 주신 적이 없습니다. 30 그런데 창녀들과 어울려 아버지의 가산을 들어먹은 저 아들이 오니까, 살진 송아지를 잡아 주시는군요.’
31 그러자 아버지가 그에게 일렀다. ‘얘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고 내 것이 다 네 것이다. 32 너의 저 아우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되찾았다. 그러니 즐기고 기뻐해야 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과연 오늘 복음의 주인공 즉 주연은 누구일까?
돌아온 탕자일까? 아버지일까? 아님 큰 아들?
오늘 복음을 영화로 생각하고 주연을 정하자면 내가 감독이라면 영화포스터에 주연을
아버지와 큰 아들이라고 쓰고 싶다.
우리는 주님의 기도에서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 와같이 땅에서도 이루어 지소서!”라고 기도한다.
사실 오늘 복음의 아버지와 큰 아들의 대화에서 우리는 큰 아들의 입장에 큰 공감을 느낀다.
그리고 나자신을 포함한 죄인들에 대해 큰 아들같은 마음을 갖게 된다.
오늘 복음에서 탕자인 막내아들이 집으로 돌아와 어떻게 아버지와 특히 큰형에게 사과하고 관계를 풀었는지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상하리 만큼 말이다.
십자가의 예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아버지 저들을 용서하소서. 저들은 저희들이 한 일을 알지 못합니다.”
우리는 죄에 대해 따지고 책망한다. 아버지의 뜻은 과연 무엇일까? 큰 아들처럼 따지는 것이 아니라 램브란트의 성화처럼 죄인인 형제를 먼저 안아주는 것이다.
그 그림을 보면 화해가 언어적 대화가 아닌 포옹임을 말해준다.
오늘 어쩌면 큰 아들인 우리가 하느님이신 아버지와 대화하는 장면이 하이라이트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우리는 탕자인 막내아들과 큰아들을 오가며 살아가는지 모른다. 그러나 아버지의 뜻은 오늘 복음의 아버지가 되는 것이다.
나는 많은 경우 큰아들의 입장에서 살아온 것 같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