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갈등 --- 창세기 28장 10절
작성자강헌모 쪽지 캡슐 작성일2013-03-14 조회수438 추천수4 반대(0) 신고

 

 

 심리학으로 보는 창세기 / 도반 홍성남 신부                       첨부이미지                       

 

갈등 ---

 

 

창세기 28장 10절~



야곱이 베델에서 꿈에 하느님을 뵙다



사람은 대개는 속상해 하며 산다

밖의 일이 날 건드리지 않을 때는 자신을 보게 되고

자신이 바뀌지 않는 것에 대해 속상해 한다



이것이 갈등이다

모든 갈등은 관계 안에서 생긴다



1. 갈등(conflict, 속상함)



나와 너의 관계에서

나와 나의 관계에서

나와 하느님의 관계에서


예를 들어 처음에는 아이들 때문에 속상해서

아이들한테 화를 내다가 자기에게 화를 낸다

그 다음에는 하느님에게 화를 낸다



갈등들이 첨예하게 대립이 되어 있을 때 망연자실(茫然自失)하다고 한다

반대되는 힘(절대로 용서할 수 없는 소리)들이

서로 힘겨루기를 하고 있을 때 제일 많이 속상하다고 한다


-야곱이 집을 떠나 라반의 외삼촌 집으로 갈 때가 이런 상태이다



여러 가지 찢어지는 생각들이 맞서 있을 때

이런 망년자실한 때의 기도는 하느님이 못 들어 주신다

도와 줄 수가 없다


이 상태에서는 기다려줘야 한다

항의하는 기도의 응답이 안 올 때는 하느님이 기다리시는 것이다

그 반대되는 힘들이 다 빠질 때까지 기다리시는 것이다


-야곱이 돌베개를 베고 잤다는 것은

내 안에 있는 긴장관계의 힘들이 손을 놓았다는 것이다

갈등을 놓았다는, 힘을 놓았다는 얘기이다

갈등이 완화된 상태에서,

하느님이 하실 일을 그때 하신다





하느님이 야곱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야훼, 네 할아버지 아브라함의 하느님이요,

네 아버지 이사악의 하느님이다.

나는 네가 지금 누워있는 이 땅을 너와 네 후손에게 주리라.

네 후손은 땅의 티끌만큼 불어나서 동서남북으로 널리 퍼질 것이다.

 

땅에 사는 모든 종족이 너와 네 후손의 덕을 입을 것이다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가 어디로 가든지 너를 지켜주다가 기어이 이리로 다시 데려오

 

리라.

너에게 약속한 것을 다 이루어줄 때까지 나는 곁을 떠나지 않으리라.'


-야곱은 아침 일찍 일어나 베고 자던 돌을 세워 석상을 삼고

그 꼭대기에 기름을 붓고는

그 곳을 베델이라 불렀다.



석상에 기름을 붓고 축성을 했다는 것은 거룩한 상이라는 것이다





2. -그런 석상을 왜 세우는가-


*임시대상(transitional object)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감정 중에 외로움, 고독, 허전함-->심리적 & 신체적,

사람은 신체적 허전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허전함을 느낀다


생리적 단계의 허전함; 춥고 배고픔

정서적 단계의 허전함; 내가 한 일에 대해 알아주는 사람이 없을 때

영적 단계의 허전함; 내가 죽고 난 후에 누가 나와 같이 가주지? 하는,,,


내 존재가 혼자 떨어져 나와 있을 때 누가 나와 함께 해줄 것인가

(연미사; 돌아가신 분들에게 함께 해주기를 기도하는)


실체적인 대상물을 잡고 기도를 할 때 집중이 더 잘 된다

이것이 임시대상이다(야곱의 석상의 의미)


-야곱의 석상이 임시대상이었다=성물


성물의 유래가 구약시대부터이다

내가 인생을 살아가는데

내게 위로를 주는 무엇인가가 있어야 한다



3. 기도의 내용



야곱의 기도



'만일 제가 이 길을 가는 동안 하느님께서 저와 함께 하여주시고

저를 지켜주셔서 먹을 양식과 입을 옷을 마련해 주시고,

무사히 아버지 집으로 돌아가게만 하여주신다면,

저는 야훼님을 제 하느님으로 모시고

제가 세운 이 석상을 하느님의 집으로 삼겠습니다.

하느님께서 저에게 무엇을 주시든지 그 십분의 일을 반드시 드리겠습니다.'



나와 너의 관계,

사람마다 다 친구가 있다

친구가 하나도 없다면 문제가 많은 것이다

친구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공동체 안에서 살아가는데 친구가 하나도 없다하면

내가 다른 사람에게 혐오감을 주고 있는 것이다

너무 많은 것도 안 좋고 적당히 있는 것이 좋다


*친밀감-친숙하다

친밀감은 종교생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신심의 깊이

신자들이 기도를 많이 하거나 봉사를 많이 하면 신심이 깊다고 오해하고 있다

내가 하느님께 대한 친밀감을 깊이 느낀다는 것에 따라 알 수 있다

어느 정도까지 하느님과 대화를 하는가에 따라


'터놓다'는 것은 내가 갖고 있는 내 세계를 네게 보여준다는 것이다


하느님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하느님께 내가 갖고 있는 생각과 감정을 얼마만큼 터놓는 것에 달려있다

하느님과 나와의 관계는 나와 친구와의 대화의 관계와 비슷하다




-하느님과 관계 맺는 수준


1)인습적인 안면수준(conventional acquaintance)

처음 만난 사람은 대개 인사만 한다

겉 인사이다

이 단계의 신심은 매우 낮은 단계의 친밀감이다


2)탐색적 업무수준(exploratory associates)

대화 중 제일 중요한 것은 자기노출인데

나를 보여주는 자기노출 없이 하는 대화이다


3)참여적 친구수준(participating friends)

지지와 이해

하느님 꼭 그렇게 하셔야만 합니까 하면서 묻는 기도

게쎄마니 동산에서의 예수님의 기도


이 단계에서 만난 친구들이 느낌이 좋다

저 사람 괜찮은 사람이야, 좋은 말만 해준다

내 속을 서로 안 건드리기 때문에

끼리끼리의 만남(서로 통하기 때문이 아니라)

대화도 부드럽지만 속은 모른다


4)사적인 친밀수준

그 사람과 나하고 미운 정 고운 정을 쌓는 것이다

싸우다가 심심하면 전화 걸어 만나고 또 싸운다

하느님을 원망하다가 감사하다가 또 왔다 갔다 하는 것이 신심이 깊다한다

하느님께 가까이 간 것이다

옛날 성인들은 반대였다(하느님 가까이 가지 못한 것이다, 하느님이 보시기에 안된 사람이다)


절에서 스님들을 높이 평가하는 기준이 선승, 학승, 주지승의 순이듯,,

이런 평가의 이유가 기도와 연관이 있다




갈등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갈등은 내 마음 안에 불안감(不安感)을 불러일으킨다

불안의 종류가 많다


아이들이 갖는 불안 중에 제일 큰 것은

엄마 아빠가 날 버리고 떠날지도 몰라 하는 것이다

자기가 고아가 될까봐,,,


청소년기에는

남들이 나를 어떻게 평가하는 것에 대해 예민하고 불안해 한다

사춘기의 아이들은 분리(separation)를 원한다

부모로부터 떨어지려 한다

특히 이성(異性)에 대해 민감해진다

사춘기 때의 불안은 타인에 대한 불안이다


어른이 되면 일에 대한 불안이 있다

주위 사람들이 나에 대해 인정 하는가 아닌가에 대해


노인이 되어 나이 들면 내가 죽은 다음에

어디로 갈 것 인가에 대한 불안이 있다


인생살이가 불안으로 시작해서 불안으로 끝나는 것이기도 하기에

신앙이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점쟁이 집을 찾기도 하는 것이다


내 마음 안의 불안감은 갈등 때문에 생긴다

이런 갈등이 늘 엇갈리는 분들이 불안을 발생시킨다

갈등이 발생하면 불안감이 올라온다





-이런 불안감을 어떻게 해소해야 하는가-

기도하는 것이다


*기도 방법

non-doing prayer

-아무 생각도 안하는 기도이다


생각이 감정을 일으키고 감정이 행동을 만들고

감정에 대해 타인의 반응이 생기고 거기에 대해 또 생각하고

다시 감정을 일으키며 이렇게 순환된다


생각과 감정은 거의 동시에 발생하지만 생각이 먼저다

그래서 생각을 어떻게 정리하느냐 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를 내는 것은 뒤에 있는 생각 때문이다

분노보다 생각이 먼저이다

그래서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범 불안장애인 사람들은 오만가지 생각이 떠돌아 다녀 그렇다

그럴 때에는 우선 생각 그 자체에서 떠나 있어야 한다

생각들에 치이게 되어 생각을 통제를 못하면 정신병에 걸리는 것이다


시달려서 기운(힘)이 딸리면 치인다

그럴 때는 아무 생각도 하지 말고 가만히 있어야 한다

건드리면 같이 건드려진다

생각을 그냥 두면 견디다 지쳐서 내려간다


분심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은 분심에 손을 안대면 된다

손을 대면 번지고 커진다

그럴 때는 대지 않고 그냥 두면 된다

그냥 가만히 있으면 된다

하느님 이름만 부르는 기도도 그래서 가르쳐 주는 것이다


내 안에 있는 생각에서 내가 손을 떼는 것을 못하면 그것이 갈등의 시작이 된다

배 째라 하는 것이다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타인에게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사람은 non-doing prayer가 못 된다

해주고 칭찬 듣는 것에 대한 학습을 부모로부터 받아서 그렇다

내 역할을 해야만 내 정체성이 확인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냥 손 놓고 당신이 알아서 하라고 해보라

자기 자신을 존중하면서 살라는 것이다

 

 

 

        

                                             : 도반 홍성남 신부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